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1.동양철학사상

소동파 시선 : 송나라 제1의 시인

동방박사님 2021. 12. 20. 10:58
728x90

책소개

과거시험 이후에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여 매년 과거 방이 나붙은 뒤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는 이규보의 말대로 한반도 시풍을 선도했던 소동파의 시문.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우리 조상들이 왜 그렇게 소동파의 시에 열광했는지 직접 한번 맛보고 판단하시라!

목차

1. 설니홍조(雪泥鴻爪)
소군촌 昭君村
설니홍조 和子由?池懷舊
소요대 逍遙臺
사주 승가탑 泗州僧伽塔
공을 보는 누각 吉祥寺僧求閣名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제5수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五
법혜사 횡취각 法惠寺橫翠閣
어잠 스님의 녹균헌 於潛僧綠筠軒
초산 윤장로의 벽에 書焦山綸長老壁
백보홍 百步洪
거문고 소리는 어디서 날까 琴詩
여산진면목 題西林壁
학 鶴歎
담이에서 ?耳
금산사의 초상화 앞에서 自題金山?像

2. 서호(西湖)는 월 서시(越西施)
배 위에서 산을 보니 江上看山
망호루에서 술에 취해 제1수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一
서호는 월 서시 飮湖上初晴後雨
유미당의 폭우 有美堂暴雨
한가위의 조수 구경 八月十五日看潮
보산에 새 길이 닦여 寶山新開徑
겨울 모란 和述古冬日牡丹
이사훈의 <장강절도도> 李思訓?長江絶島圖
여왕성 동쪽의 선장원에서 正月二十日, 往岐亭, 郡人潘古郭三人送余於女王城東禪莊院
홍매 紅梅
해당화 海棠
혜숭의 <춘강만경> 惠崇春江晩景
이세남의 <추경> 書李世南所?秋景
잠 못 드는 밤 倦夜

3. 오중 지방(吳中地方) 농촌 아낙의 탄식
천축산 영감관음원 雨中遊天竺靈感觀音院
오중 지방 농촌 아낙의 탄식 吳中田婦歎
신성 가는 길 新城道中
산촌 山村
어잠 여인 於潛女
무석으로 가는 길에 무자위를 보고 無錫道中賦水車
밤중에 배 안에서 舟中夜起
진계상이 소장한 <주진촌가취도> 陳季常所蓄朱陳村嫁娶圖
동파 東坡
조열지의 <고목도> 書晁說之考牧圖後
쌀 ?米
술에 취해 혼자서 여족 친구들의 집을 찾아 被酒獨行, 遍至子云威徽先覺四黎之舍

4. 살구꽃 밑에서 손님과 한잔하며
정주 서문 밖에서 자유와 작별하고 辛丑十一月十九日, 旣與子由別於鄭州西門之外, 馬上賦詩一篇寄之
밤에 영락에 있는 문장로의 절을 찾아 夜至永樂文長老院, 文時臥病退院
영락 문장로의 죽음 過永樂文長老已卒
이행중 수재의 취면정 李行中秀才醉眠亭
호수의 다리 湖橋
살구꽃 밑에서 손님과 한잔하며 月夜與客飮杏花下
자유와의 사별을 앞두고 予以事繫御史臺獄, 獄吏稍見侵, 自度不能堪, 死獄中, 不得一別子由, 故作二詩, 授獄卒梁成, 以遺子由
반병곽구 두 사람과 교외로 봄을 찾아 正月二十日, 與潘郭二生出郊尋春, 忽記去年是日同至女王城作詩, 乃和前韻
세아회 날 장난삼아 洗兒戱作
급제 동기 막군진과 서호에서 술 마시며 與莫同年雨中飮湖上
빗속에 자유와 작별하며 東府雨中別子由

5. 여지(?支)를 먹는 재미
황주에 갓 도착해 初到黃州
의흥으로 돌아가며 歸宜興留題竹西寺
두개가 보내준 물고기 杜介送魚
영하에 배 띄우고 泛潁
여지를 처음 먹고 四月十一日初食?支
여지를 먹는 재미 食?支
나물 ?菜
황하가 다시 북쪽으로 흐른다네 庚辰歲人日作, 時聞黃河已復北流, 老臣舊數論此, 今斯言乃驗
강물을 길어다 차를 끓여 마시고 汲江煎茶
징매역의 통조각에서 澄邁驛通潮閣
바다를 건너며 六月二十夜渡海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 소개

저 : 소동파 (蘇東坡)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 이름은 식(軾)이며, 1036년 중국 사천성에서 태어났다. 부친 소순(蘇洵), 아우 소철(蘇轍)과 더불어 ‘삼소(三蘇)’라 불린다. 송나라 제1의 시인이며, 시, 사(詞), 산문, 부(賦), 서예, 그림 등 여러 장르에 모두 뛰어나 각기 시대의 최고봉으로, 문장에 있어서도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22세에 진사에 급제하고, 구양수(歐陽修)에게 인정을 받아 문단에 등장하였고,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이 실시되자 ‘구법당(舊法黨)’에 속했던 그는 지방관으로 전출되었다. 그의 나이 44세에 “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律)은 읽지 않는다”는 말이 빌미가 된 필화사건으로 감옥에 갇혔고, 호북성 황주(黃州)로 유배되었다가, 50세 되던 해 구법당이 득세하자 그는 승진을 계속하여 57세에 병부상서(兵部尙書), 예부상서(禮部尙書) 등의 고관(高官)을 역임하였다. 황태후(皇太后)의 죽음을 계기로 신법당이 다시 세력을 잡자 광동성 혜주(惠州)와 중국 최남단인 해남도(海南島)로 유배되었다가 귀양살이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강소성 상주(常州)에서 1101년에 사망하였다.
 
역자 : 류종목(柳種睦)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대구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 ≪蘇軾詞硏究≫, ≪唐宋詞史≫, ≪여산진면목≫, ≪논어의 문법적 이해≫, ≪宋詩選≫, ≪范成大詩選≫, ≪팔방미인 蘇東坡≫, ≪완역 蘇軾詩集 1≫, ≪육유 시선≫, ≪소동파 시선≫, ≪당시삼백수≫, ≪소동파사≫ 등이 있다.
 
 

책 속으로

●만약에 거문고 소리가 거문고에서 난다면
통에 넣어 두었을 땐 어찌하여 안 울릴까?
만약에 거문고 소리가 손가락에서 난다면
어찌하여 손가락에 귀를 대지 아니할까?


●올해는 벼가 하도 늦게 익어서
서릿바람 불 때가 곧 닥칠 것 같았지요.
서릿바람 불 때에 비가 쏟아져
고무래는 곰팡이 슬고 낫은 녹이 슬었지요.
눈물샘은 말랐건만 비는 아직 아니 말라
벼이삭이 논바닥에 누운 꼴을 보았지요.
논 두둑에 거적 치고 한 달 동안 지내다가
날이 개자 벼를 베어 수레에 싣고 돌아왔지요.
땀 흘리며 멍든 어깨로 시장에 지고 가니
벼 값이 헐값이라 싸라기처럼 줘 버렸지요.
소 팔아 세금 내고 집을 뜯어 밥 지으며 
내년에 굶을 일은 생각할 수 없었지요.
관아에서 요즈음은 쌀 안 받고 돈만 받아
서북쪽 만 리 밖의 오랑캐를 달랬지요.
훌륭한 관리 많다건만 백성들은 더 괴로워
차라리 하백의 아내가 되고 싶었지요.


●살구꽃이 발로 날아와 남은 봄을 쓸어 내고
밝은 달이 문으로 들어와 외로운 이를 어루만져
바지 걷고 달빛 아래 꽃 그림자 밟노라니
휘영청 밝은 개울에 개구리밥 잠긴 모습인데
꽃 사이에 술상 차리니 향기가 아련하고
다투어 긴 가지 휘어잡으니 향긋한 눈이 내리네.
산성 술은 맛이 없어 마시기가 힘들 테니
술잔 속에 뜬 달이나 마셔 보소서.
달빛 속에 사라지는 퉁소 소리 들으며
달이 지면 술잔 빌까 그것만이 걱정이네.
내일 아침 봄바람이 땅을 쓸고 지나가면
푸른 잎에 붉은 꽃이 간간이 보이겠네.


●산 불로 산 물을 끓여야 하매
낚시터에 직접 가서 깊고 맑은 물을 펐네.
바가지로 달을 떠서 항아리에 담고
국자로 강물을 덜어 병에 넣었네.
찻물에 이미 비 내리듯 차각이 나부끼매
찻잔에 따르니 갑자기 솔바람이 부는 소리.
속이 타서 세 사발을 들이켜고 앉았노라니
성안에서 길게 짧게 경치는 소리.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소동파(蘇東坡, 1036∼1101)가 우리 문단에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했다. 그러기에 이규보(李奎報, 1168∼1241)는 “세상의 학자들이 처음에는 과거 시험에 필요한 문체를 익히느라 풍월을 일삼을 겨를이 없다가 과거에 급제하고 나서 시 짓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면 소동파 시 읽기를 무척이나 좋아하기 때문에 매년 과거의 방이 나붙은 뒤에 사람마다 금년에 또 서른 명의 소동파가 나왔다고 여긴다”라고 했고,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까지는 오로지 만당(晩唐) 시만 익혔고 고려 중엽에는 오로지 소동파 시만 배웠다”라고 했다. 김부식(金富軾, 1075∼1151)과 동생 김부철(金富轍)의 이름이 소동파(본명 蘇軾)와 소철(蘇轍) 형제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은 소동파에 대한 우리 문인들의 추앙심을 보여 주는 단적인 예라고 하겠다. 이렇듯 우리의 선조들이 소동파 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면 우리가 소동파의 시를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요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소동파는 기본적으로 유교사상에 뿌리를 둔 현실참여주의자로서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을 구제해야 한다는 지식인으로서의 사명감이 매우 투철했다. 게다가 그는 워낙 다정다감한 성격의 소유자였기 때문에 백성에 대한 연민의 정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에 대한 인간적 애정과 관심도 유난히 깊었다. 그러나 그는 한편으로 불교사상과 도교사상에서 비롯된 현실도피적 사고방식도 동시에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물질세계의 허무성과 무가치성을 간파하고 물질세계 바깥에서 노닐려는 초월적 인생관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결과로 자연을 매우 사랑했고 나아가 그 자신이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의 일부가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이처럼 세속적인 가치에 대해 초연할 수 있었기에 그는 온갖 정치적 핍박 속에서 자신의 출중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해 보기는커녕 일생의 대부분을 유배 생활과 지방관 생활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긍정적인 태도로 삶에 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삶에 대한 생각과 태도가 그의 시에 반영되어 있을 것임은 당연한 이치다.
≪소동파 시선≫은 이 ≪소식시집≫에 수록된 2800여 수의 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 63수를 선정해 역주한 것이다. 소동파의 시 전체와 비교하면 이것은 그야말로 하나의 편린에 불과한 바, 비늘 한 조각을 가지고 물고기의 전모를 드러내 보이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독자들로 하여금 이 한정된 작품들을 통해 소동파 시의 성격을 엿볼 수 있게 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책은 선정된 시를 다섯 개의 범주로 나누고 그것을 다시 창작시기 순으로 배열했다. 제1부 <설니홍조(雪泥鴻爪)>에는 인생에 대한 갖가지 감개와 그것에 대한 사색의 결과로 얻어진 인생철학이나 사람 사는 이치를 노래한 시를 수록했고, 제2부 <서호(西湖)는 월 서시(越西施)>에는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각종 사물의 오묘한 모습을 노래한 시를 수록했으며, 제3부 <오중 지방(吳中地方) 농촌 아낙의 탄식>에는 자신이 직접 경험했거나 가까이서 목격한 전원생활의 이모저모를 노래한 시를 수록했다. 제4부 <살구꽃 밑에서 손님과 한잔하며>에는 가족·친척·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에 대한 인간적 애정과 관심을 노래한 시를 수록했고, 제5부 <여지(?支)를 먹는 재미>에는 인생에 있어서 결코 흔하지 않은 ‘사는 재미’를 노래한 시를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