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1.동양철학사상

이욱 사집 (이욱) :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동방박사님 2021. 12. 20. 10:55
728x90

책소개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사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자면 당연히 시(운문)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사를 시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와 시는 표현하는 내용과 사용 어휘도 다르다. 게다가 사는 대부분 악곡에 맞춰 노래하기 위한 가사로 지어졌다는 점이 시와 비교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는 이처럼 시와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이욱 사집』나라가 망하는 순간에도 사(詞)의 구절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다고 비난받는 남당의 마지막 황제 이욱의 작품집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보면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는 황제이기 이전에 예술가였다는 것을.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화려하고 우아한 표현, 섬세하고 처연한 감성의 극치를 보여 주는 이욱의 작품은 그야말로 사 문학의 왕도다.

목차

해설
지은이에 대해

완계사(浣溪沙)
일곡주(一斛珠)
옥루춘(玉樓春)
자야가(子夜歌)
보살만(菩薩蠻)
보살만(菩薩蠻)
보살만(菩薩蠻)
경루자(更漏子)
희천앵(喜遷鶯)
채상자(采桑子)
장상사(長相思)
유지(柳枝)
어부(漁父)
어부(漁父)
도련자령(搗練子令)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사신은(謝新恩)
청평악(淸平樂)
채상자(采桑子)
우미인(虞美人)
오야제(烏夜啼)
임강선(臨江仙)
파진자(破陣子)
망강남(望江南)
망강남(望江南)
망강남(望江南)
망강남(望江南)
완랑귀(阮郞歸)
상견환(相見歡)
후정화파자(後庭花破子)
도련자(搗練子)
자야가(子夜歌)
낭도사(浪淘沙)
삼대령(三臺令)
우미인(虞美人)
낭도사(浪淘沙)
상견환(相見歡)
장상사(長相思)
접련화(蝶戀花)
완계사(浣溪沙)

옮긴이에 대해
 

저자 소개

저자 : 이욱
이욱(李煜, 937∼978)은 서주(徐州) 출신으로, 초명은 종가(從嘉), 자는 중광(重光), 호는 종은(鍾隱)이다. 오대십국 시기 남당(南唐) 중주(中主) 이경(李璟)의 여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송(宋) 건륭(建隆) 2년(961) 금릉[지금의 난징(南京)]에서 즉위해 15년간 남당을 통치했기 때문에 세칭 이 후주(李後主)라고 한다. 이욱이 즉위할 때부터 남당은 이미 송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971년부터는 송에 대해 ‘칭신(稱臣)’했다. 개보(開寶) 7년(974) 송 태조가 여러 차례 이욱을 변경(?京)으로 오도록 했으나 끝내 가지 않자, 10월에 군대를 끌고 강남 토벌을 시작했다. 다음 해 11월에 금릉이 함락되고 항복한 후주는 포로의 신분으로 변경으로 압송당해 위명후(違命侯)에 봉해졌다. 포로가 된 지 3년째 되던 해(978), <우미인> 사의 “故國不堪回首月明中”, “一江春水向東流” 등의 구절이 문제가 되어 독살당하고 말았다. 향년 41세였다. 후에 오왕(吳王)에 추증되었고, 낙양(洛陽) 망산(邙山)에 장사 지내졌다.

이욱은 17세에 남당의 원로대신 주종(周宗)의 딸인 아황(娥皇)과 결혼했다. 이 여인이 바로 대주후(大周后)라고 불리는 소혜황후(昭惠皇后)였다. 결혼 후 10년 정도 지나서 대주후가 병이 들자 언니를 간호하러 궁정에 들어왔던 대주후의 동생과 눈이 맞았고, 소혜황후가 죽자 이욱은 이 여인을 황후에 봉했으며 언니보다 더 큰 사랑을 주었다. 이 여인이 바로 소주후(小周后)다. 소주후는 후주가 송에 항복한 후에도 변경에서 함께 생활했으며, 송 태종에게 개인적으로 멸시를 많이 받았다고 전해진다. 후주가 독살당하자 소주후도 슬픔 끝에 같은 해에 숨을 거두었다.
 
역자 : 이기면
이기면은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배재대학교 중국어과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중국 고전문학 이론을 전공했으며 대표 저서로는 ≪원굉도 문학 사상≫(한국학술정보)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명말청초 이단 문학론의 실학적 이해>, <명말청초 방외 문학론의 근대 지향성 연구> 등이 있다.
역자 : 문성자
문성자는 서울에서 태어나 숙명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어 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매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번역서로는 ≪금익?근세 중국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류짜이푸의 얼굴 찌푸리게 하는 인간 25종≫(예문서원), ≪잃어버린 천국 1, 2≫(플래닛) 등이 있다.
 
 

책 속으로

●아름다운 난간과 옥 계단 그곳에 여전하련만
이내 홍안만 변했구나
내게 근심이 얼마나 많으냐 물으시었소?
봄날 동으로 흐르는 장강 같소이다그려


●바람 타고 향 가루 날리는 이 누구인가?
취해서 난간 두드리니 흥취 더욱 절절해지네
돌아갈 때 촛불은 밝히지 말아야지
청량한 달빛 타고 말발굽 소리 울려 퍼지도록


●노 하나 일엽편주에 봄바람 싣고
낚싯줄 한 가닥에 작은 갈고리 하나
꽃은 모래섬에 가득하고
술은 술 단지에 가득하니
만경창파 속에서 자유를 얻었노라

●앵두꽃 다 지고 달빛은 계단 앞에 가득한데
상아 침대에서 시름에 겨워 향로에 기대어 있자니
이 그리움의 고통은 작년의 오늘처럼 여전하구나
양 갈래 쪽 찐 머리 흐트러지고 구름 같던 머릿결 거칠어졌는데
흐르는 눈물은 붉은 앞섶을 적시네
어디라야 이 사랑의 고통을 풀어 놓으리
비단 창문 아래서 술에 취할거나 꿈을 꿀거나…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나라가 망하는 순간에도 사(詞)의 구절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다고 비난받는 남당의 마지막 황제 이욱.
그러나 그의 작품을 보면 누구나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는 황제이기 이전에 예술가였다는 것을.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화려하고 우아한 표현, 섬세하고 처연한 감성의 극치를 보여 주는 이욱의 작품은 그야말로 사 문학의 왕도다.

사(詞)는 당대 중엽에 발생해서 송대에 유행하다가 송의 멸망과 함께 사라진 장르다. 사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자면 당연히 시(운문)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사를 시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사와 시는 표현하는 내용과 사용 어휘도 다르다. 게다가 사는 대부분 악곡에 맞춰 노래하기 위한 가사로 지어졌다는 점이 시와 비교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는 이처럼 시와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모든 문학 장르와 마찬가지로 사 또한 민간에서 발생했다. 위진 남북조 이래 이민족과의 접촉이 빈번해지자 갖가지 경로를 통해 흘러 들어온 서역(西域)의 음악과 내륙의 민간 가곡이 결합하면서 신흥 속악이 생겨났다. 일반인들은 이 신흥 속악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시작했고, 그 노랫말이 바로 사다. 성당(盛唐) 시기에 접어들면서 사회가 안정되자 민간에서 대량의 사가 쏟아져 나왔고 유명 문인들도 이 신흥 장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악곡의 가사용으로 창작되던 사라는 신흥 문학 형식은 만당 시기에 이르러 더욱 발전해 정식 문학 장르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리고 오대십국 시대에는 이욱과 같은 황제마저도 사작(詞作)에 전념하는 등 사가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 장르가 되었다.

이욱이 즉위하기 전부터도 남당의 국력은 이미 기울어 있었다. 그의 아버지 중주 때에도 후주(後周)의 강공 전략 앞에서 후주의 명에 순종할 수밖에 없었다. 북송 건립 후에 중주는 남당의 수도를 강서성 남창(南昌)으로 옮기고 금릉에는 태자인 이욱만 남겨 놓았다. 그리고 몇 달 뒤 중주가 병사하고 이욱이 25세의 나이에 남당의 군주가 되었다.

이욱은 문장뿐 아니라 서예와 음악과 그림에도 뛰어났다. 그래서 그는 황제 이전에 문인이었고, 문인 중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훌륭한 사인이었다. 불행이라면 이런 그가 황제가 된 것이다. 문인의 감정과 시각으로 위기에 빠진 조국, 소용돌이치는 강대국과의 대치 국면을 헤쳐 나가는 것은 불가능 그 자체였을 것이다. 그런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신앙으로 불경을 낭송하고, 취미 활동으로 사를 짓고, 여흥으로 연회와 가무를 즐기며 취생몽사하듯 살아가면서 송나라가 와서 남당을 거두어 줄 날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욱의 부친이었던 중주 이경 또한 훌륭한 사인이었다. 게다가 대신들 중에는 시사의 대가였던 풍연사(馮延巳)도 있었다. 이런 남당의 문화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욱은 당시만 해도 신흥 문학 장르였던 사의 새로운 경계를 열었다. 이욱에 대한 일화로 빠지지 않고 회자되는 것은, 조광윤의 군대가 금릉을 포위하고 있을 때에도 “櫻桃落盡春歸去”로 시작하는 <임강선>의 사구를 놓고 고민했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이 사를 다 짓기도 전에 송의 군대가 금릉을 함락해 그는 포로의 신분으로 변경[?京: 개봉(開封)]으로 압송되었고, 변경에서 이 사의 마지막 세 구절을 완성했다고 한다.

이욱의 사풍은 송의 포로가 되어 변경으로 끌려가던 975년을 전후로 확연하게 나뉜다. 그래서 이욱의 사는 대체로 전기와 후기 두 단계로 구분한다. 전기는 중국 최초의 사집으로 후촉(後蜀)의 조숭조(趙崇祚)가 편찬한 ≪화간집(花間集)≫의 사풍을 그대로 답습해 궁궐의 호화로운 생활과 극도의 우수를 담아내던 시기였다. 그리고 후기는 송의 포로가 되어 생활하던 시기로, 이 시기의 사가 예술적으로나 후세에 대한 영향력 면에서 가장 뛰어나다. “春花秋月何時了”로 시작하는 <우미인>, “簾外雨潺潺”으로 시작하는 <낭도사>, “四十年來家國”으로 시작하는 <파진자>는 지금까지도 애송되는 천하의 절창이다. 특히 <우미인>은 덩리쥔(鄧麗君)이 <근심이 얼마나 많으신지요?(幾多愁)>라는 제목으로 노래함으로써 현대인의 열렬한 사랑을 받기도 했다. 이 후기의 사풍은 소식(蘇軾)과 신기질(辛棄疾) 등의 호방파 사풍을 선도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욱의 사는 ≪인간사화(人間詞話)≫에서 왕국유(王國維)가 이야기한 것처럼 “이 후주에 이르러서 사의 경계가 확대되고 느낌이 깊어졌다”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