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문학의 이해 (책소개)/1.서양고전문학

73.외투 (고골리)

동방박사님 2022. 1. 12. 18:51
728x90

책소개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라 불리는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은 러시아 문학사에서 중단편소설의 시대를 연 작가로 평가받는다. 이전까지의 러시아 문학이 주콥스키, 푸시킨 등이 주도하는 ‘시의 시대’였다면 고골은 ‘산문의 시대’라는 새로운 역사를 쓰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 고골의 작품 중에서도 특히 『외투』는 이후 대부분의 러시아 단편소설의 모태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러시아 작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러시아의 문학 비평가 벨린스키는 이전까지 러시아 작가들에게 주목받지 못한 현실의 어두운 측면, 사회 최하층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고골을 높이 평가했다.

『외투』에는 스페인 일러스트레이터 노에미 비야무사의 그림이 더해져 고전을 읽는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노에미 비야무사는 섬세하면서도 터치감 있는 무채색의 일러스트로 『외투』의 주인공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의 모습과 소설의 주요 장면은 물론 배경이 되는 페테르부르크의 모습까지 생생하게 묘사해낸다.

 

목차

외투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 연보
옮긴이의 말
 

저자 소개

저 : 니콜라이 고골 (Nikolai Vasilievich Gogol,알로프)
 
1809년 폴타바 지방에서 폴란드-우크라이나계 소귀족 집안 출신으로 미르고로드 군의 작은 마을 소로친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문학을 좋아했으며, 고교 시절에는 직접 희곡을 써서 공연을 하고 잡지를 발행하기도 했다. 본래 성인 고골리야노프스키에서 앞부분만을 따 필명으로 사용했다. 네진의 김나지움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문화 예술을 섭렵했고, 알로프라는 필명으로 낭만주의 시와 서사시, 이야기...

역 : 이항재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투르게네프의 후기 중단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리키세계문학연구소 연구교수와 한국러시아문학회 회장을 지내고 현재 단국대학교 러시아어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소설의 정치학 : 투르게네프 소설 연구』『사냥꾼의 눈, 시인의 마음』『러시아 문학의 이해』(공저) 등이 있고 러시아 문학에 관한 많은 논문을 썼다. 옮긴 책으로 미르스키의 『러시아 문학사...

그림 : 노에미 비야무사 Noem? Villamuza

1971년 스페인 팔렌시아에서 태어났다.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했으며, 1998년부터 바르셀로나에 살며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림을 그린 『일곱 살 오스카의 비밀』이 스페인 정부가 수여하는 프레미오 나시오날 데 리테라투라 인판틸을 수상하며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서른 권이 넘는 책에 그림을 그렸다. 2007년 『바베트의 만찬』에 그린 일러스트로 훈세다 상을 받았다.
 
 

출판사 리뷰

러시아 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비판적 리얼리즘의 대가 고골
그가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그려낸 러시아 문학의 정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라 불리는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은 러시아 문학사에서 중단편소설의 시대를 연 작가로 평가받는다. 이전까지의 러시아 문학이 주콥스키, 푸시킨 등이 주도하는 ‘시의 시대’였다면 고골은 ‘산문의 시대’라는 새로운 역사를 쓰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 고골의 작품 중에서도 특히 『외투』는 이후 대부분의 러시아 단편소설의 모태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러시아 작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러시아의 문학 비평가 벨린스키는 이전까지 러시아 작가들에게 주목받지 못한 현실의 어두운 측면, 사회 최하층의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고골을 높이 평가했다.
이번에 문학동네에서 출간된 『외투』에는 스페인 일러스트레이터 노에미 비야무사의 그림이 더해져 고전을 읽는 새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노에미 비야무사는 섬세하면서도 터치감 있는 무채색의 일러스트로 『외투』의 주인공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의 모습과 소설의 주요 장면은 물론 배경이 되는 페테르부르크의 모습까지 생생하게 묘사해낸다.

부조리한 현실 속 ‘작은 인간’의 비극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관청에서 서류를 정서하는 일을 맡고 있는 9급 문관이다. 존재감도 없고, 간단한 서류를 베껴 적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그는 동료들의 놀림과 멸시의 대상이 되어왔다. 하지만 주위의 반응에도 아랑곳하지 않은 채 그는 묵묵히 서류를 정서하는 일에만 몰두한다. 퇴근 후 다른 관리들이 모두 유흥에 빠져 있을 때에도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오로지 자기만족을 위해 서류를 베껴 적곤 한다.

어느 날 등과 어깨가 유난히 시린 느낌이 들어 외투를 살펴본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자신의 외투가 너무 낡고 해져 더이상 페테르부르크의 혹한을 막아낼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외투를 수선하기 위해 재봉사 페트로비치를 찾아가지만, 페트로비치는 외투가 너무 낡아 수선은 불가능하며 새 외투를 장만해야 한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처음에는 크게 상심하지만 결국 새 외투를 맞출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받아들이고, 필요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 매일매일의 지출을 줄여나가기 시작한다. 저녁마다 마시던 차를 끊고, 촛불도 켜지 않고, 심지어 저녁을 굶는 것에도 익숙해지기에 이른다. 이런 절약으로 일상은 전보다 궁핍해졌지만 새로 생길 외투를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그는 삶의 활력을 느낀다.

……그는 앞으로 생길 외투를 늘 마음속에 그리며 정신적인 양식을 섭취했다. 이때부터 그는 존재 자체가 어쩐지 더 완전해진 것 같았고, 마치 결혼이라도 한 것 같았고, 어떤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것 같았고, 혼자가 아니라 마음에 드는 어떤 인생의 반려가 그와 함께 인생길을 가기로 동의한 것 같았다. 이 인생의 반려는 다름 아닌, 두툼하게 솜을 두고 닳지 않는 튼튼한 안감을 댄 바로 그 외투였다. 본문 33쪽

마침내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필요한 돈을 모두 모아 새 외투를 장만한다. 하지만 새 외투를 처음 입은 바로 그날, 강도에게 외투를 빼앗긴다.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외투를 찾기 위해 한 고관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오히려 절차를 무시한다며 호통만 듣고, 결국 심한 충격을 받아 죽고 만다. 그후 페테르부르크에는 밤마다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의 유령이 나타나 사람들의 외투를 빼앗는다.

고골 특유의 시선, ‘눈물 속의 웃음’

『외투』의 주인공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는 그야말로 ‘작은 인간’의 전형이다. 딱히 내세울 만한 능력도 없고, 여가를 함께 보낼 가족이나 친구도 없다. 그의 인생에 유일한 낙은 서류를 베껴 적는 것이며, 그 외의 일은 제대로 해내지 못한다. 거창한 인생의 목표나 희망도 없이 고작 외투에서 즐거움을 찾는 쓸쓸한 인간이 바로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다. 그는 동료들에게 일상적으로 멸시를 받는 것은 물론, 도움을 청하러 간 고관에게도 매서운 질책만을 당하며 관료제도, 더 나아가 러시아 사회로부터 철저하게 무시되고 소외당한다.

고골은 이러한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의 모습을 이중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한편으로는 억압받는 아카키의 모습을 동정과 연민으로 그려내며 부조리하고 비인간적인 관료제도를 비판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삶의 목표가 외투에 지나지 않는 보잘것없는 인간을 멸시하고 비웃으며 희극적으로 풍자하기도 한다. 『외투』를 읽는 독자는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의 비극을 보며 울 수도, 웃을 수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고골은 ‘눈물 속의 웃음’이라는 특유의 시선으로 당시 러시아 사회와 그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을 놀라우리만치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추천평

우리 모두는 고골의 『외투』에서 나왔다.
도스토옙스키
나는 이야기의 예술적 실현에는 내용과 형식의 균열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고골의 『외투』와 카프카의 『변신』에는 그러한 균열이 존재하지 않는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