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인문교양 (책소개)/3.글쓰기

스스로의 회고 : 당신의 삶 쓰기

동방박사님 2022. 1. 28. 08:37
728x90

책소개

『스스로의 회고록: 당신의 삶 쓰기』는 저널리스트이자 편집자였고, 대학에서 오래 논픽션 글쓰기를 가르쳤던 ‘작가들의 작가’ 윌리엄 진서의 자전적 글쓰기 지침서이다. 작가, 편집자, 강사, 여행가, 음악가로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삶을 산 윌리엄 진서가 우아하면서도 유머러스한 필치로 엮은 삶의 기록을 따라가면서 회고록을 쓰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소재 선택, 어조, 문체, 태도 등―에 대한 명쾌한 해답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목차

1. 자동응답기의 메시지_ 11
2. 학창시절의 기억_ 21
3. 크나큰 세상의 경험_ 43
4. 즐거웠던 순간들_ 59
5. 장소에 대한 기억_ 85
6. 인물에 대한 기억_ 109
7. 기억의 회고_ 133
8. 대학 캠퍼스의 삶_ 157
9. 이달의 북클럽_ 187
10. 회고록 글쓰기_ 207
11. 신성한 이야기들_ 229
12. 과거의 재발견_ 249
13. 변화는 삶의 활력소_ 275
책 찾아보기_ 299

 

저자 소개

 
1946년 『뉴욕 헤럴드 트리뷴』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한 이후『라이프』, 『뉴욕타임스』 등의 잡지에 기고하며 저널리스트, 논픽션 작가로 활동했다. 미국은 물론 한국의 독자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은 글쓰기의 고전 『글쓰기 생각쓰기』를 비롯해 『공부가 되는 글쓰기』, 『미국의 장소들』(American Places), 『미첼과 러프』(Mitchell & Ruff ) 등의 책을 썼다. 예일대학교 브랜퍼드 칼리지 ...

역 : 신지현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하고 SC은행과 삼정회계법인에서 다년간 근무했다. 현재는 프리랜서 번역가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역서로는 『남아 있는 날들의 글쓰기』, 『스스로의 회고록』, 『카테고리 킹』, 『회계는 필요 없다』, 『7주 만에 7년 젊어지기 프로젝트』 등이 있다.
 
 

책 속으로

자서전, 회고록, 개인사?가족사 기록 등 글의 형식이 뭐가 되었든 스스로의 삶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행동이다. 우리 모두는 우리가 성취한 일, 생각, 감정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픈 욕구가 있다. 가족사 기록은 자녀, 손자, 손녀들에게 그들의 정체성과 뿌리를 알려 주는 가치 있는 도구가 된다.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그 사람이 갖고 있던 기억은 사라지지만, 글을 남기면 그 기억을 지킬 수 있다.--- p.17

글을 쓰고 싶다는 마음을 품는 것과 실제로 책상 앞에 앉아 글을 쓰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이다. 글을 쓰려고 마음먹은 순간 걱정부터 밀려올지도 모른다. 뒤죽박죽 얽히고설킨 과거에서 어떻게 일관적인 내러티브를 끌어낼 수 있을까? 어떻게 내러티브를 시작해야 할까? 어디서 멈춰야 할까? 어떤 이야기를 취사선택해야 할까? 어떤 구조로써야 할까? 내 글을 읽고 기분이 상하는 사람은 없을까? 여러분의 머릿속에는 글로 남기고 싶은 기억들이 가득하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의심스러운 생각이 솔솔 피어오른다. 내가 제대로 이야기를 쓸 수 있을까? 이야기를 쓴다 한들 사람들이 관심이나 가져 줄까? 내 이야기가 재미있을 거라는 생각은 나만의 착각 아닐까?
자, 이제 이런 의심은 떨쳐 버려도 좋다. 작가란 무언가를 추구하는 존재다. 여러분도 글을 통해 무언가를 추구할 자격이 있다. 내가 이 책을 집필하는 목적은 여러분에게 글을 쓸 자격과 그에 필요한 도구를 쥐어 주기 위해서다. --- p.19

내가 회고록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는 학교가 아니라 사람이다. 여러분도 회고록을 쓰다 보면 여러분에게 소중했던 장소, 가령 학교, 교회, 회사, 봉사단체에 대해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 같은 장소나 단체는 살아 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남녀노소의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생명력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 오로지 장소가 주제인 글도 있긴 하다. 나이아가라 폭포에 대한 글은 폭포 자체가--- p.--- p.폭포를 등반한 사람이 아니라), 동아프리카 평원에 대한 글은 그곳에 사는 동물이 글의 핵심이다. 그랜드 캐년에 대한 글은…… 이 문제는 신학자들의 의견을 들어 보는 게 좋겠다. 아웃도어 잡지에 수록된 글은 낚시터, 둘레길, 스키 슬로프, 산 위에서 내려다본 풍경 같은 특정 장소가 글의 핵심이다. 하지만 이런 경우를 제외한 모든 글의 핵심은 결국 사람이다. 여러분의 과거 인간관계를 떠올려 보고, 여러분이 알고 지냈던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 p.35~36

작가는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낼 줄 알아야 한다. 여러분의 특별한 관심사 ? 자동차나 보트, 말이나 개, 정원 가꾸기나 낚시, 음악이나 춤 등 - 에 대해 글을 쓸 경우, 여러분이 처음 그 대상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이며 그로 인해 여러분의 삶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도입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하자. 우리의 취미나 관심사는 괴짜 같은 면이 있게 마련인데, 이런 괴짜 같은 면이 흥미로운 소재가 될 수 있다. 취미 자체는 흥미로운
소재가 아니다. ‘낚시’에 대해 사실적으로 쓴 글은 독자를 지루하게 만든다. 사실적인 글은 백과사전에나 필요한 것이다. 여러분의 글은 여러분과 낚시의 관계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낚시가 여러분의 스포츠나 취미인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것인지, 친구와 함께 또는 홀로 즐긴 것인지, 자연을 벗 삼기 위한 경험인지, 정신 수양을 위한 것인지, 먹거리를 잡기 위한 것인지, 그 관계를 설명해야 한다. 여러분의 관심사는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도구다.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 p.136~137


이렇게 현재와 과거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은 기억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결국 기억에 대한 것이다. 이 글의 핵심은 기억이다. 여러분이 쓰게 될 회고록은 대부분 어떤 장소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여러분은 회고록을 통해 그 장소가 어떻게 생겼는지, 장소의 느낌은 어땠는지 사실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하지만 여러분이 그 장소를 지금도 기억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그 장소 자체보다는 그 장소가 상징하는 이미지 때문이다. 그 이미지가 어떤 것이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자. 어떤 객관적인 사실에 지금까지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느낌이나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불어넣을 수 있다면 논픽션 장르의 글도 얼마든지 예술이 될 수 있다.
--- p.139~140
 

출판사 리뷰

“프로와 아마추어가 따로 없는 유일한 세상”
-내 삶의 이야기, 회고록을 쓰는 동안
나는 내 삶의 유일한 작가가 된다


작가가 아닐 때에도 ‘내 삶의 작가’로 살았던 윌리엄 진서의 자전적 글쓰기 지침서. 그는 편집자일 때도, 강사일 때도, 여행가일 때도, 음악가일 때도 항상 ‘작가’였다. 살아간다는 것은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므로. 인간이 된다는 건 들려줄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므로. 『스스로의 회고록』은 삶의 모든 과정이 어떻게 글이 되는지, 그렇게 삶이 글이 되는 과정에서 누구든 ‘내 삶의 작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책이다.

당구장 창업과 자서전의 상관관계
자서전과 당구장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 올해 2월 국세청이 발표한 개인사업자 업종별 창업 증감률을 보면 당구장 창업이 8.73% 증가했다는 다소 뜻밖의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때 이른, 혹은 원치 않는 은퇴를 맞이한 베이비붐 세대들을 떠올리게 한다. 회사생활이 곧 삶이었던 은퇴자들은 남는 시간을 어쩌지 못해 산으로, 당구장으로 발걸음을 옮기는데… 그렇게 살기에는 우리의 은퇴 후 인생이 너무 길다. “끝은 시작”이라는 말을 우리 개개인의 문제로 절실히 받아 안아야 할 때다.
우리나라보다 조금 더 일찍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맞은 일본의 경우, 인생의 마지막을 위한 활동이라는 뜻의 ‘슈카츠(終活)’라는 말이 일상적으로 쓰일 정도인 데다가 ‘나의 역사(自分史)’ 출판도 붐을 일으키고 있다. 한 신문사의 기획으로 전직 기자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전기를 갖게 된 사람들은 “내가 살았다는 증거가 남게 돼 기쁘다”며 감격을 숨기지 못했는데 왜 아니겠는가. 내가 이 세상에 살았다는 증거, 내 삶의 파편이 어떤 식으로든 후세에 전해진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가슴 벅찬 일 아니겠는가.
인생의 1막이 지나고 주어진 2막이라는 시간은 결코 ‘남는’ 게 아니다. 무엇이든 그냥 아무거나 하면서 ‘때워’버리는 잉여가 아니다. 새로운 인생의 2막을 준비하고 시작할 수 있는 이 시간은 우리에게 선물과도 같다. 그동안 스스로를 보살피지 못했으니 이제라도 삶을 돌아보라는 선물. 이 시간을 선물로 느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우리는 우리의 시간을 당구장에서 ‘때워’버리는 방식이 아니라 삶을 배려하고 정리하는 데 할애하는 게 맞다. 우리 모두 스스로의 회고록, 자서전을 써야 하는 이유이다.


글쓰기는 민주적이다, 회고록은 더더욱

글쓰기는 특별한 사람만 한다는 의식이 아직도 존재한다. 내가 뭐 대단한 사람이라고, 내가 뭐 배운 게 있다고 글을 쓰냐며 손사래를 치는 사람들 역시 적지 않다. 하지만 가족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SNS에 사진과 함께 단 글 몇 줄이라도 올려 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우리는 우리 삶의 작가가 되기에 충분하다. 내 생각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한 사이에 우리가 각자의 삶에서 해온 일들이고, 이제 글쓰기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면 된다. 글쓰기만큼 민주적인 인간의 활동은 없고, 그중에서도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쓰는 회고록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나는 나 자신의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내가 살았던 증거’를 가장 소중하게 보존할 수 있는 사람, 나 자신의 이야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은 오로지 나뿐이다.

글을 쓰고 싶다는 마음을 품는 것과 실제로 책상 앞에 앉아 글을 쓰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이다. 글을 쓰려고 마음먹은 순간 걱정부터 밀려올지도 모른다. 뒤죽박죽 얽히고설킨 과거에서 어떻게 일관적인 내러티브를 끌어낼 수 있을까? 어떻게 내러티브를 시작해야 할까? 어디서 멈춰야 할까? 어떤 이야기를 취사선택해야 할까? 어떤 구조로써야 할까? 내 글을 읽고 기분이 상하는 사람은 없을까? 여러분의 머릿속에는 글로 남기고 싶은 기억들이 가득하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의심스러운 생각이 솔솔 피어오른다. 내가 제대로 이야기를 쓸 수 있을까? 이야기를 쓴다 한들 사람들이 관심이나 가져 줄까? 내 이야기가 재미있을 거라는 생각은 나만의 착각 아닐까?
자, 이제 이런 의심은 떨쳐 버려도 좋다. 작가란 무언가를 추구하는 존재다. 여러분도 글을 통해 무언가를 추구할 자격이 있다. 내가 이 책을 집필하는 목적은 여러분에게 글을 쓸 자격과 그에 필요한 도구를 쥐어 주기 위해서다. (본문 19쪽)


내 이야기를 쓰는 일에 의미는 있는가

검색창에 ‘자서전’을 넣어본다. 자서전 쓰기, 준비와 실행에 대한 팁이 넘친다. 언뜻 쉬워 보인다. 일단 연대기를 구성해 보고 기억나는 에피소드를 떠올려본다. 아 맞다, 이런 일이 있었지 하고 열심히 적어 내려가다가 펜을 멈춘다. 이 이야기가 나한테는 재미있지만 다른 사람한테는 전혀 흥미롭지 않을 수 있다는 데 생각이 가닿자, 갑자기 위축된다. 까짓 거 쓰기야 쓴다 쳐도 이게 무슨 의미인가 싶다. 윌리엄 진서의 말마따나 “의심스러운 생각이 솔솔 피어오른다. 내가 제대로 이야기를 쓸 수 있을까? 이야기를 쓴다 한들 사람들이 관심이나 가져 줄까? 내 이야기가 재미있을 거라는 생각은 나만의 착각 아닐까?” -이렇게 머뭇거릴 때 윌리엄 진서는 우리에게 응원을 잊지 않는다.

자서전, 회고록, 개인사?가족사 기록 등 글의 형식이 뭐가 되었든 스스로의 삶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행동이다. 우리 모두는 우리가 성취한 일, 생각, 감정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픈 욕구가 있다. 가족사 기록은 자녀, 손자, 손녀들에게 그들의 정체성과 뿌리를 알려 주는 가치 있는 도구가 된다.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그 사람이 갖고 있던 기억은 사라지지만, 글을 남기면 그 기억을 지킬 수 있다.(17쪽)

내가 살았다는 증거를 남기는 일, 자녀에게 나의 생각을 전해주는 일, 혹 나를 만나보지 못할 손주, 증손주들에게 나라는 사람을 글로 전하는 일. 이 일은 인간의 본능이다. 인간의 삶은 유한하지만 무한한 언어의 세계에서 우리는 영원히 산다. 불멸을 꿈꾸는 인간이 발명해 낸 것이 아마도 텍스트이지 않을까.


회고록 쓰기의 비밀

결국 이 책은 회고록 쓰기 지침서다. 글쓰기 선생님 윌리엄 진서는 회고록을 어떻게 쓰는지 한번 살펴보자.

‘진실의 발명’이란 회고록 글쓰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 바로 사실관계만으로는 글을 쓸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여러분과 과거를 함께 했던 사람, 장소, 사건에 대해 열심히 디테일을 수집했어도 그 디테일만으로는 회고록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 디테일을 내러티브로 엮어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 (본문 213~214쪽)

윌리엄 진서는 말한다. 과거의 기록, 사진, 편지, 일기장 등을 뒤져 이야기를 찾아내는 것은 자신의 몫이고, 그 중 쓰고 싶은 이야기만 추리고 나머지는 과감하게 버려도 좋다고. 우리는 신문기사가 아니라 ‘나의 회고록’을 쓰는 것이고 ‘나만의 서사’를 발견해 내는 것이 관건인 까닭이다.

“모든 이야기에는 각자의 진실이 있다. 여러분의 목표는 여러분 자신의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다.”(본문 152쪽)

『스스로의 회고록』은 회고록 쓰기 지침서인 동시에 윌리엄 진서의 회고록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이 태어난 가정환경에서부터 시작해 학창 시절, 『뉴욕헤럴드트리뷴』에서의 기자 생활, 아내와 함께 세계 각국을 여행하며 있었던 일, 예일대에서 학생과 함께 지내던 시절, ‘이달의 북클럽’ 편집장 재직 시절, 음악가로서 살았던 시절의 에피소드 등 자신의 회고록을 실례로 제시하며 어떤 소재를 고르고, 버릴 것인지, 어떤 분위기나 어조로 쓰는 게 좋을지를 알려준다. 그리고 이 구체적 예를 통해 우리는, 대체로 질서 없는 우리 삶을 어떻게 문장으로, 문단으로, 글 한 편으로 조직해 내야 할지를 알게 된다. 이것은 오로지 윌리엄 진서에게서만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가르침이자 수확이다. 그러나 어쩐지 그 회고록 쓰기의 기술보다 더 마음이 가는 것은 인생 사는 법에 대한 이야기이다. “자기 자신이 누군지도 모르는 작가가 쓴 회고록을 읽고 싶어 할 독자는 없다”는 그의 말을 따라가 보면 결국 좋은 회고록을 쓰는 비법은 ‘나다운 삶을 사는 것’이라는 데에 가닿는다. 나다운 삶. 그것은 어렵지 않다. 우리의 삶은 모두 저마다 나답다. 그러므로 우린 모두 좋은 회고록 작가가 될 사람들인 것이다.
 

추천평

“윌리엄 진서의 솔직하고 긍정적인 스타일은 자전적 글쓰기에 도전하는 모든 독자들에게 용기를 불어넣는다.” - 퍼블리셔스 위클리

“윌리엄 진서만큼 회고록 글쓰기에 대해 유익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스스로의 회고록: 당신의 삶 쓰기』는 글쓰기 지침이자 작가의 자서전이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노련한 글쓰기 대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 더 라이터

“윌리엄 진서는 타고난 선생님이다. 그의 매력과 독창성이 담긴 이 책은 회고록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재미와 유익함을 선사할 것이다.” - 비비안 고르닉 (작가)

“『스스로의 회고록: 당신의 삶 쓰기』는 작가나 작가 지망생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내가 생각하는 이 책 최고의 장점은 작가의 따뜻함과 온정, 관심이 묻어나는 글의 분위기다. 윌리엄 진서가 스스로의 회고록을 소개하며 독자들에게 글쓰기를 설명하는 방식은 정말 대단하다. 독자들은 자기도 모르게 글쓰기에 매료되어 당장이라도 펜을 들고 회고록을 쓰고 싶어질 것이다.”
프랭크 매코트 (『안젤라의 재』의 작가)

'50.인문교양 (책소개) > 3.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은 글쓰기가 아니다  (0) 2022.01.28
남아 있는 날 들의 글쓰기  (0) 2022.01.28
공부가 되는 글쓰기  (0) 2022.01.28
글쓰기 생각쓰기  (0) 2022.01.28
서론과 결론 쓰기 노하우  (0) 202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