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국제평화 연구 (책소개)/1.국제관계

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

동방박사님 2022. 2. 11. 09:06
728x90

책소개

“희망은 (과거의) 경로를 되돌아봄으로써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세계와
우리가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 조건들을 탄생시킨 환경에 대해
좀 더 명확히 이해하는 데 존재한다.”(J. Cronin)


이 책의 필자들은 모두 한반도의 국제정치적 규정성, 그리고 그에 대한 미시적 탐구의 중요성에 공감하였다. 구성주의나 역사사회학 같은 이론적 틀의 적용과 그와 병행하는 실증적인 작업의 축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들은 북핵문제, 미중 갈등, 한일 분규 같은 현안의 역사적인 기원에 관해 심층적인 과정추적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로 했다. 이 책은 모두 7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에서 옥창준은 아시아 냉전사의 관점에서 ‘태평양’ 동맹 구상을 분석하고 있다. 그는 인도의 ‘비동맹’ 노선과 필리핀의 ‘연맹’ 노선을 함께 검토하고 있는데, 후자에서는 필리핀 대통령 키리노의 역할에 주목한다. 옥창준의 글은 냉전 초기 장개석이나 이승만이 주도하려 했던 반공동맹 이외에도 다양한 지역협력의 구상이 존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2장에서 신욱희는 위계성과 지위의 개념을 활용하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한 한미일 관계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고찰한다. 그는 한미일 사이의 삼자관계가 위계적으로 분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은 상대적인 주체성을 발휘한 측면이 있으며, 한국의 조약 참가국 지위는 정치적 결정에 의해 부정되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3장에서 구갑우는 외국군 철수와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명시한 정전협정 4조 60항의 탄생 과정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그 내용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다. 특히 그의 작업은 기존 연구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았던 정전협상 기간 동안 간행된 『로동신문』에 대한 실증적 검토에 기반하고 있다. 4장에서 오정현은 1954년의 제네바 정치회담 문제를 다룬다. 그는 회담의 준비 과정에서 아이젠하워 행정부가 한반도의 조건부 중립화 통일방안을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상대적 현상변경의 입장은 이후 중국과의 적수게임 및 한국과의 동맹게임의 결과에 따라 현상유지의 입장으로 선회하였다고 본다.

5장에서 이혜정은 1954년 한미 합의의사록의 서명에 이르기까지의 114일의 양국 간 분규를 검토하고 있다. 그는 이 기간이 한국의 주권과 발전의 문제가 다루어진 중요한 시간이었으며, 미국의 요구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저항과 굴복은 이승만 대미외교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6장에서 량미화는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이 연구는 김일성의 연안계와 소련계의 숙청이 중, 소의 내정간섭에 대한 전략적 대응의 측면을 갖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중국과 소련으로부터 북한이 상대적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는 계기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7장에서 은용수는 탈식민주의 이론을 해방 이후 한국외교정책사에 적용하고 있다. 그는 한반도에서 전개된 주요 국제정치적 사건들의 분석을 통해 한국의 대외정책에서 탈식민화가 상대적으로 유예되고 ‘혼종된 식민성’이 배태되는 측면이 있었음을 지적한다.

목차

차례
서문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1949년 태평양‘동맹’의 재해석

I. 머리말
II. “파도치는 태평양”과 1947년 아시아 관계회의
III. 비동맹의 기원: 1949년 뉴델리 회의
IV. 연맹과 동맹 사이의 ‘태맹(太盟)’
V. 맺음말: ‘태평양’의 유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한미일 관계의 위계성 구성

I. 서론
II. 위계성과 지위
III. 경험적 사례로서의 샌프란시스코 체제
IV. 결론

한반도 평화체제 만들기의 국제정치적 기원
―북한자료를 통해서 본 정전협정 4조 60항의 합의 과정―


I. 문제 설정
II. 정전협상과 외국군 철수의 의제화
III. 정전협정 4조 60항의 형성과 북한
IV. 정전협정 4조 60항의 평가
V. 정전협정 4조 60항의 현재성: 결론에 대신하여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반도 국제관계: 전후 분단체제의 형성

I. 문제 제기
II. 제네바 정치회담의 성립 배경
III. 제네바 정치회담과 미중 적수게임
IV.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미 동맹게임
V. 결론

1954년 한미 합의의사록의 재조명: ‘114일의 한미 분규’

I. 문제 제기
II. 배경: 휴전의 거래
III. 발단: 워싱턴 정상회담과 북진-군비증강
IV. 전개: 반일과 워싱턴 실무협상의 결렬
V. 파국: 환율-유류파동, 통일방안과 한미 ‘협의’
VI. 결론

북한의 상대적 자율성과 북중소 삼각관계
―8월 전원회의 사건의 전후 과정을 중심으로―


I. 문제 제기
II. 전후 북한 분파들의 정책 갈등과 “종파집단”의 부상
III. 반김일성 세력의 반격과 8월 전원회의
IV. 중소 개입과 김일성의 대응
V. 맺음말

한국 외교안보정책에 대한 탈식민주의 이론적 검토
―식민성의 역사적 형성과 변용에 관하여―


I. 서론
II. 탈식민주의 이론
III. 한국의 탈식민 역사 과정: 식민성의 생성과 변용
IV. 혼종 식민성 극복하기
V. 맺음말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저자 소개

저 : 옥창준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 박사과정을 마쳤다. 『냉전의 지구사(The Global Cold War)』 번역에 참여했으며, 「경합하는 ‘태평양’ 구상: 1949년 태평양 ‘동맹’의 재해석」, 「냉전기 북한의 상상 지리와 ‘평양 선언’」, 「냉전기 한국 지식인의 아시아·아프리카 상상」 등의 논문을 썼다. 우리가 어디로 나아갈지를 알기 위해서는 역사를 우회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고금을 넘나들며 역사와 정치를 결...
 

저 : 신욱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공 분야는 국제정치이론, 외교정책론, 동아시아 국제관계이다. Dynamics of Patron-Client State Relations, 『순응과 저항을 넘어서』, 『삼각관계의 국제정치』 등의 저서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의미와 한계」, 「압박과 ...

저 : 구갑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유럽연합의 공공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토야마대학 외래교수, 릿교대학 방문연구원을 역임했고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국제관계학 비판』, “한반도 안보 딜레마와 북한의 ‘경제·핵 조건부 병진노선’의 길”, “한반도 평화체제의 역사적, 이론적 쟁점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