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한국역사의 이해 (책소개)/2.한국사일반

가야의 기록, 가락국기 를 이야기 하다

동방박사님 2022. 5. 5. 05:51
728x90

책소개

국립김해박물관이 2020년 7월 11일부터 11월 20일까지 5회에 걸쳐 실시한 학술대회 ‘2020 가야학술제전’의 자료집인 『2020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가 5권 전집으로 간행되었습니다. 국립김해박물관은 2019년에도 6월부터 10월에 걸쳐 오프라인 학술대회 ‘2019 가야학술 제전’을 개최하여 가야의 문자 문화, 삼한의 신앙과 의례, 삼국시대 마구, 가야의 편두 문화, 가야의 직물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토론하였으며, 그 결과를 『2019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로 발간한 바 있습니다. 가야학술제전 학술행사는 올해에도 4월부터 시작되어 11월 성료를 앞두고 있으며, 그 결과물은 내년에 정리되어 간행될 예정입니다.

올해 발간된 『2020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는 1권 『가야의 기록, 『가락국기』를 이야기하다』, 2권『영남의 지석묘 사회-가야 선주민의 무덤』, 3권 『삼국시대 금동관 비교연구』, 4권 『가야의 비늘갑옷』, 5권 『가야의 주거문화』 등 총 5권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권 별로 4~8명의 전문연구자가 작성한 발표문 총 26편이 수록되었고, 전체 분량은 1,000쪽에 이릅니다.

1권 『가야의 기록, 『가락국기』를 이야기하다』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기록인 『가락국기』의 문헌학적 연구와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총망라하여, 금관가야의 문화와 역사를 상세하게 소개했습니다. 3편의 문헌사 논문과 5편의 고고학 논문이 실려 있습니다.

2019년부터 2021년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가야학술제전 학술행사는 한반도 철기 문화 및 고대국가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 백제에 비해 연구 실적이 부족한 가야 역사 및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히고 한층 심화하는데 기여하여, 향후 가야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목차

1 「가락국기」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선석열

I. 머리말·11
II. 「가락국기」의 구성과 그 특성·12
1. 「가락국기」 내용의 배분 비율·12
2. 「가락국기」의 역사서적 특징·13
3. 신화 서술의 비교 ·14
4. 「가락국기」와 『개황력(록)』의 성씨 유래·17
5. 수로왕廟 제사의 특성·18
6. 『삼국유사』 왕력과 「가락국기」 왕대의 역대 가락국왕의 曆數 비교·20
Ⅲ. 나머지말: 「가락국기」의 사료적 가치 모색·20

2 「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유우창

I. 머리말·27
II. 「가락국기」 편찬의 배경·28
III. 「가락국기」 편찬의 저본·34
IV. 「가락국기」의 역사적 의미·45
V. 맺음말·52

3 가락국의 건국신화와 역사적 의미 이연심

I. 머리말·63
II. 가락국의 건국신화·65
Ⅲ. 가락국 건국신화의 역사적 의미·74
Ⅳ. 맺음말·79

4 「가락국기」의 고고학적 접근 시도 송원영

I. 머리말·89
II. 「가락국기」 내용 분석과 고고학적 검토·91
1. 탄강설화의 고고학적 의미·91
2. 나성 축조 기사의 해석 ·99
3. 수로왕비 혼인설화 검토·105
4. 왕과 왕비의 능에 대한 검토·108
III. 「가락국기」의 고고학적 접근·112
IV. 맺음말·117

5 「가락국기」로 본 가락국의 형성 안홍좌

I. 머리말·135
II. 「가락국기」의 검토·136
1. 「가락국기」의 편찬 시기·136
2. 「가락국기」의 편찬자·138
3. 「가락국기」의 자료·140
III. 「가락국기」로 본 가락국의 형성·142
1. 구간사회와 가락국·142
2. 가락국의 형성·147
IV. 맺음말·157

6 전기 가야의 대중국 교류-중국 북방 지역과의 교류를 중심으로- 김일규

I. 머리말·165
II. 장송의례에서의 중국 북방의 문물 ·166
1. 주·부곽식 목곽묘·168
2. 석곽묘·170
3. 殉葬·170
III. 부장 유물에서의 중국 북방 문물·174
1. 동복·174
2. 보요부 금동관·175
3. 마구·177
4. 무기와 무구·181
IV. 맺음말: 전기 가야의 대중국 교류의 범위와 성격·182

7 「가락국기」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이현태

I. 머리말·191
II. 殯宮의 성격·193
III. 首陵王廟의 의미와 성격·200
IV. 首陵王廟의 구조·207
V. 맺음말·214

8 가야불교와 파사석탑 조원영

I. 머리말·225
II. 가야불교를 보는 관점·227
1. 가야국명 및 수로왕과 불교와의 관계·227
2. 전승 자료를 통해 본 가야불교·230
3. 전래된 불교의 성격·235
III. 「금관성파사석탑」조 분석·238
1. 아유타국과 허왕후의 정체·238
2. 「금관성파사석탑」조에 나타난 가야불교 전래 시기·244
IV. 파사석탑의 양식과 조성 시기·248
V. 맺음말·256

편집 후기·267
 

저자 소개 

저 : 김일규
 
한국고고학 전공, 부산대학교 강사.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2015), 「중국제 유물의 편년을 통해 본 와질토기 출현시점 검토」(2016), 「금관가야 고분 출토 외래유물의 성격과 의의」(2018) 등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