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5.서울역사박물관

1.서울 청계천

동방박사님 2018. 10. 19. 08:07
728x90

서울, 청계천

 1394년 조선왕조의 도읍지가 된 이래 600여 년간, 서울은 모든 면에서 한반도의 중심이었다. 도성 안과 성밖 10리 (4km)까지 였던 한성부의 행정권역은 조선시대 내내 유지 되었으나 1914년 축소되었다가 1936년 이후 팽창을 거듭했다. 현재의 서울은 인구 1천여 만명, 면적 605.4 제곱km 25개 행정구로 이루어진 세계유수의 거대도시다. 청계천은 엣 도성 한복판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로지르며 흐르는 하천이다. 이 하천은 서울 도시구조의 원형을 정한 뼈대였으며, 시민들의 일상과 깊이 관련 맺은 생활하천 이었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인구가 늘어나고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다라 청계천은 도시발전을 가로막는 요소로 취급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부터 지천들이 하나 둘 복개 되었고, 1977년에는 본류가 전부 복개되었다. 복개도로 좌우에는 시장과 공장이 들어서서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21세기에 접어들 무렵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가운데 삶의 질을 개선하려는 태도가 확산되면서, 청천에 대한 시민의시선도 달라졌다. 이에 다시지상으로 나온 청계천은 600여년 역사를 품고 면면히 흐르고 있다.




산과 물길의 도시, 한양

  

북한산, 덕양산.관악산,아차산,등의 외사산으로 둘러싸인 한강 이북의 넓은 문지가 한양 땅이다. 조선왕조는 이 한양 땅 가운데에 연이어 솟아 있는 백악산, 인왕산, 목멱산, 타락산, 내사산 능선을 잇는 성곽을  쌓아 도성을 완성했다. 내사산의 여러 계곡에서 시작된 작은 물줄기들이 도성 한가운데로 모여 개천을 이루었다. 백운동천 발원지에서 중랑천 합류부까지 길이는 약 11km, 광통교에서 오간수문에 이르는 본류의 하천 너비는 10~60m 정도 였다. 개천은 동쪽으로 흘러 오간수문을 지나 중랑천과 만난뒤 남행하여 다시 서쪽으로 흐르는 한강에 합류했다.개천과 한강이 만나는 형상이 마치 태극과 같아 엣 사람들은 한양이 개천으로 인해 명당 (明堂)의 자격을 제대로 갖추었다고 여겼다.




수표 手標

보물 제838호. 세종대왕기념관 소재

수표는 1441년 (세종23) 하천의 수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개천과 한강에 각각 설치한 기구이다. 처음에는 네모난 마무기둥 형태 였으나 성종때 돌기둥 형태로 바꾸었다. 돌기둥의 앞 뒷면에는 1척에서 10척까지 눈금을 새겼고, 뒷면에는 3척,6척,9척이 되는 곳에 "ㅇ"표시를 새겨 각각 갈수 (가뭄수위) 평수 (보통수위) 대수(홍수수위)의 기준으로 삼았다.


가산假山과 버드나무

1760년(영조36)준천 공사 때 개천 바닥에서 퍼낸 흙을 오간수문 양편에 쌓아 두었는데. 그 크기가 작은 산만 했기 때문에 가산假山 또는 조산造山 이라 불렀다. 개천 남쪽의 가산은 현재 남아있지 않으나 북쪽의 가산은 청게5가와 6가 사이 도애문시장 일대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개천변에는 홍수로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드나무를 많이 심었다. 특히 경진준천庚辰濬川의 대대적인 정비후 무성해진 버드나무로 인해 오간수문일대는 도성안 제일의 봄놀이 장소가 되었다. 버드나무 가지를 가공하여 가재도구를 만드는 사람을 '고리백정" 이라 했는데. 개천변 버드나무는 이들의 생계수단이기도 했다.

세차게 흐르는 물살에 철문 웽웽울리고 동풍에 버들개지 솜털처럼 도성안 제일의 봄놀이 장소는 수양버들 우거진 오간 수문이라네 - 유본학, 문암집 , <오수문유제>-


물길 다스리기

태종 때의 공사로 범람의 위험은 크게 줄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개천 바닥에 토사가 쌓였고 축대가 무너지기도 했다. 성종때에는 개천 양안에 버드나무를 심어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에방하고자 했으니 근본적인 처방이 되지는 못했다. 개천에 토사가 쌓이는 속도는 17~18세기에 특히 빨라졌다. 도성의 인구가 급증하여 생활하수가 늘어났고 사산四山에서는 법으로 금지된 개간과 벌목까지 행해졌다.도성 밖 목장 지대가 농지로 개간되면서 하류에도 토석土石이 쌓였다.  1760년 영조는 춘천사 湷川司를 설치하고 대대적인 개천 준설공사를 단행 했다. 이후 준천사는 개천을 관리하는 상설기관이 되엇고 2~3년마다  주기적으로 준설공사를 하였다. 준천사의 업무는 정조때 신설된 주교사 舟橋司로 이관되었다.





'04.역사문화기행 (2006~) (여행지) > 5.서울역사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15와 해외동포의 귀환  (0) 2018.10.19
4.일제시대의 청계천  (0) 2018.10.19
3.엣사진속의 개천  (0) 2018.10.19
2.개천의 역사  (0) 2018.10.19
4.19혁명기념관  (0) 2017.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