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서양철학의 이해 (책소개)/1.서양철학사상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한나 아렌트)

동방박사님 2021. 12. 15. 07:55
728x90

책소개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의 ‘어두운 시대’는 두 차례에 걸쳐 벌어진 세계대전 전후를 말하는 정치적 은유다. 한나 아렌트는 이 책에서 특정 정치체제나 정치적 사건을 다루지 않고 특정 인물이 ‘어두운 시대’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이를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를 다룬다.

목차

어두운 시대의 세계를 밝히는 빛
우정, 정치적 사유 그리고 후마니타스 | 홍원표
머리말 | 한나 아렌트

제1장 어두운 시대의 인간성: 레싱에 관한 사유
제2장 로자 룩셈부르크
제3장 안젤로 주세페 론칼리: 1958-63년의 교황
제4장 카를 야스퍼스: 찬사
제5장 카를 야스퍼스: 세계시민
제6장 이자크 디네센
제7장 헤르만 브로흐
제8장 발터 베냐민
제9장 베르톨트 브레히트
제10장 발데마르 구리안
제11장 랜달 자렐
제12장 팔순의 마르틴 하이데거
제13장 로베르트 길벗
제14장 나탈리 사로트
제15장 위스턴 휴 오든

용어해설
한나 아렌트 연보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
 
1906년 10월 14일 독일 하노버 근교에서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보냈는데, 이때 어머니를 통해 유대인의 삶을 이해하게 된다. 조숙하고 명석했던 그녀는 고등학교에서 교사에게 반항하다 퇴학당했지만, 가정교육과 베를린 대학교 청강을 거쳐 1924년 마부르크 대학교에 진학했다. 그곳에서 하이데거에게 수학하지만 현상학의 창시자인 후설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실존...

 

책 속으로

역사상 어두운 시대는 수없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시대에 공공영역은 희미해지고 세계의 상황은 수상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들의 사활적 이해나 개인적 자유에 대해 정당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 이외에 정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 p.38

살아 있으면서도 삶에 맞설 수 없는 사람은 자신의 운명에 드리워진 절망을 다소나마 피하기 위해 한쪽 손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그가 폐허 속에서 본 것을 다른 손으로 적을 수 있다. 그는 타인과는 다른 것, 타인보다 더 많은 것을 본다. 결국 그는 살아 있을 때는 죽은 것과 같지만 참된 생존자다.
- 프란츠 카프카, 『일기』(1921년 10월 19일자) --- p.299

이미 가라앉고 있는 돛대의 꼭대기에 기어 올라가 난파선에 몸을 의지하고 있는 사람처럼, 그러나 그곳에서도 그는 구조신호를 보낼 기회를 갖는다.
-발터 베냐민이 숄렘에게 보낸 편지(1931년 4월 17일자) --- p.299

브로흐는 자신의 지평 속에서 죽음의 체험으로부터 가장 포괄적이고 급진적인 결론을 끌어낸다. 이러한 주장은 확실히 죽음이 최고악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현세적 절대자에 대한 기대 속에서 형이상학적 실재로만 나타나고 초기의 가치이론에는 제시되지 않았다. “그것의 본질적인 의미로 측정한다면 죽음보자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현상, 죽음 이상으로 형이상학적인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 p.240
 

출판사 리뷰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에는 인간의 다양한 삶을 특징적으로 드러내는 세 가지 은유, ‘어두운 시대’ ‘텅 빈’ ‘붕괴된 기둥’이 나온다. 아렌트는 책의 머리말에서 ‘어두운 시대’를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 1898-1956)의 시 「후손들에게」에서 빌려왔다고 밝히는데 브레히트는 1930년대 독일의 암울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후손들에게」

참으로, 나는 어두운 시대에 살고 있구나!
악의 없는 언어는 어리석게 여겨진다.
주름살 없는 이마는
무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웃는 사람은
아직 끔찍한 소식을 듣지 못했을 따름이다.

이 시대는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이냐!
나무들이나 이야기하는 행위가 범죄가 되는 시대
곧 그 많은 범죄행위에 관한 침묵을 내포하고 있으니
천천히 길을 건너가는 사람은,
곤경에 빠진 그의 친구들을 아마
만날 수도 없겠지?

아렌트의 표현대로 “이 시는 무질서, 굶주림, 살육, 분노, 종말, 증오 등을 담고 있다.”(36쪽) 시에 전반에 깔린 분위기는 공공영역이 신뢰성을 상실하여 그 빛을 상실한 시대다.

역사상 어두운 시대는 수없이 있었습니다. 그러한 시대에 공공영역은 희미해지고 세계의 상황은 수상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들의 사활적 이해나 개인적 자유에 대해 정당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 이외에 정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습니다._38쪽.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은 세계에 대해 철저히 비관적이고 무신경적 태도를 견지하게끔 교육받는다. 이렇듯 어두운 시대는 공공영역이 고도로 위축되고 개인의 관심사만 부각되어 공과 사의 구별이 무의미해지는 시대다. 이때 공공영역은 사람의 숨결을 느끼지 못하는 ‘텅 빈’ 공간으로 바뀐다.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알지 못하며,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또한, 아렌트는 서구 전통을 지탱하던 ‘기둥’이 20세기 어두운 시대에 파괴되었다고 말하며 세계가 “인간적 필요에 우호적이지 못한, 즉 비인간적”(77쪽)일 때 정치질서의 기둥이 무너진다는 의미로 ‘붕괴된 기둥’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렇듯 아렌트는 ‘어두운 시대’ ‘텅 빈’ ‘붕괴된 기둥’으로 당시 서구를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