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2.서울이야기 47

쉽게 읽는 서울사 (개항기편)

목차 개항 이후 정치 제도의 변동과 한성의 변화상 008 한철호 한성, 외국 공사관의 설치와 함께 국제 사회로 편입되다 022 한승훈 근대식 건축물들, 한성의 경관을 새롭게 하다 036 김현숙 개항 이후 한성의 인구 분포는 어땠을까? 054 박준형 한성에 은행이 들어선 것은 언제였을까? 068 김윤희 한성에서 일본군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084 조 건 동학 농민군 지도자 전봉준은 왜 서울에서 재판을 받았을까? 098 왕현종 1898년 횃불 시위 서울을 뒤흔들다 112 김종준 1907년 의병전쟁과 서울 124 심철기 600년 조선 역사, 한성에서 끝나다 138 한성민 극장은 혜화동에 최초로 생긴 것이 아니다 156 김기란 한성에 생긴 최초의 신문과 잡지들 174 장영숙 근대 체육인 만들기, 운동회 18..

서울 역사의 시작 한성 백제

목차 첫머리에 제1장 한강 역사의 시작, 한성백제 1. 한강 유역 고대 유적으로 가는 길 2. 불교와 유교의 만남, 암사(嚴寺, 바위절터)와 구암서원터 3. 신석기 시대의 간판스타, 빗살무늬 토기가 발견된 암사동 유적 4. 백제의 첫 도읍지는 어디인가? 5. 백제의 폼페이, 풍납동 토성 6. 백제의 꿈마을, 몽촌토성과 한성백제박물관 7. 백제의 왕들이 잠든 곳, 석촌동 고분군, 8. 방이동 고분군의 주인공은 백제인가 신라인가? 제2장 | 백제의 건국 과정 1. 머리말 2. 동명東明-온조溫祚 집단의 남하와 백제의 건국 3. 온조溫祚가 내려온 한산漢山 부아악負兒握 4. 백제 건국의 고고학적 증거 5. 부여·고구려의 동명 신화와 백제 신화로써의 동명 신화 6. 방위명 부여국과 고구려·백제 7. 해부루解夫-우태..

서울 사람들의 생로 병사

목차 ㅇ 1강 : 한양사람들은 어떻게 태어났을까?(김지영) ㅇ 2강 : 한양사람들은 아이를 어떻게 길렀을까?(정해은) ㅇ 3강 : 심봉사가 한양에 살았다면? - 조선시대 장애인 복지정책과 사회적 처우-(정창권) ㅇ 4강 : 한양의 관리들은 퇴직 후 무엇을 했을까?(송희경) ㅇ 5강 : 한양선비들의 건강 관리와 질병 대응(이경록) ㅇ 6강 : 조선시대 국왕의 질병과 치료, 그리고 내의원(김성수) ㅇ 7강 : 남녀유별의 시대, 한양에 최초로 의녀를 두다(한혜숙) ㅇ 8강 : 한양사람들은 병들면 어떻게 했을까?(신동원) ㅇ 9강 : 서울을 습격한 콜레라, 수많은 목숨을 앗아가다(신규환) ㅇ 10강 : 이 약 한 번 잡숴봐! 서울의 신문을 메운 의약 광고(김영수) ㅇ 11강 : DDT는 서울의 보건위생에 기여했..

식민조시 경성, 차별에서 파괴까지

목차 제 1강 식민사관의 실상과 문제점 제 2강 경복궁 파괴와 조선총독부 박물관 설치 제 3강 창덕궁'창경궁 파괴와 창경원 탄생 과정 제 4강 경희궁의 훼철과 전각의 향방 제 5강 철도와 서울, 그리고 식민지 근대 제 6강 일제강점기 주택지 개발과 서울의 변화 제 7강 한반도 문화재들이 일본에 소장되어 있는 이유 제 8강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충돌, 장충단과 박문사 제 9강 일제 경찰의 간섭과 폭력 제 10강 경성부내 조선인의 교육차별 제 11강 남산신궁 건립에 담긴 의미 제 12강 일제가 한글을 없앤 방식 제 13강 일본군 '위안부'피해와 서울 : 끌고간 자, 끌려간 자 제 14강 일제의 경성 금융 장악 저자 소개 저 : 서울역사편찬원

일제 말기경성지역의 강제동원과 일상

목차 총론 제1장 전시체제기 경성부의 부정 운영 제2장 일제 말기 경성부민으 전시생활 제3장 전시체제기 경성 사람들의 저항 제4장 서울의 아시아태평양전쟁유적 제5장 일제 말기 일본군의 경성지역 조선인 군사동원과 관련유적 현황 제6장 전시체제기 경성지역 조선인노무자의 강제동원 제7장 경성 출신자의 사망과 유골 문제 저자 소개 저 : 서울역사편찬원 『조선시대 서울의 관청』의 저자이다.

서울 토박이의 서대문 안 기억

책소개 옛 서울의 생생한 모습을 담은 살아있는 자료집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울토박이들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사대문 안 지역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이 책은 평범한 우리 이웃들의 일상적인 삶을 통해 서울의 역사상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있다. 기존 역사서에서는 볼 수 없는 생동감과 세밀함으로 다양하고 폭 넓은 새로운 서울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의 구술자료 수집사업의 첫 프로젝트로 역사도시 서울 중에서도 중심지인 사대문 안 지역의 변천사를 서울토박이 15명과 북촌 토박이 1명의 생생한 증언을 통해 한층 신선하고 풍부한 서울의 풍속과 역사를 보여준다. 목차 서문 1장 사대문 안과 토박이 1. 역사 속의 사대문 안 2. 서울토박이, 그 이야기를 듣는 까닭 2장 ..

경성의 아파트

책소개 1930년대를 ‘아파트 시대’로 명명해도 어색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책이 나왔다. 주거문화사, 아파트 설계, 아파트단지와 건축 공간이라는 각기 다른 주제를 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4명이 공동 집필한 『경성의 아파트』이다. 경성 어디에 얼마나 많은 아파트가 지어졌을까? 어느 곳에 많이 있었을까? 당시 사람들은 아파트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무슨 일을 하는 어떤 사람이 아파트에 살았을까? 경영 주체는 누구였을까? 어느 정도 규모였을까? … 『경성의 아파트』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오는 경성의 아파트에 관한 질문의 답을 찾는 여정이자 결과물이다. 당시 발행된 신문과 잡지는 물론 건축물에 관한 정보를 비교적 상세하게 다룬 건축잡지 『조선과건축』에 소개된 아파트 관련 자료 분석, 『대경성사진첩』, ..

경성의 주택지 : 인구 폭증 시대 , 경성의 주택지 개발

책소개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개발 열풍이 불었을까. 주택과 주택지에 대한 열망과 좌절을 어떻게 봐야 할까. 『경성의 주택지: 인구 폭증 시대 경성의 주택지 개발』은 이런 호기심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집을 지으려는 사람과 지어주는 사람에 의해 주택 공급이 이루어지던 조선 시대와 달리 개발업자에 의한 주택지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 원인을 ‘인구 폭증’ 때문으로 본다. 조선 시대 500여 년 내내 10만에서 20만 내외로 유지되던 한양의 인구가 불과 30여 년 만에 100만에 육박하게 되면서 일제강점기 경성은 엄청난 주택난에 시달리게 된다. 이때 개발자나 개발회사들이 앞다투어 대규모 필지를 사들이고 택지로 개발해 사람들에게 비싸게 분양했다. 이 책에서는 당시 우리 건축가들의 주택 개량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시..

서울의 6000년

책소개 한강과 함께 흘러온 6000년의 대서사시 과거와 현재를 현지 기행으로 연결, 입체적 서술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정순태 작가의 신간『서울의 6000년』(428페이지, 2만원, 조갑제닷컴)이 나왔다. 선사(先史)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6000년의 시간이 담긴 ‘서울’ 이야기로, 서울이 목격한 대사건의 현장들을 사건 중심으로 풀어냈다. 목차 序 文 / 한강과 함께 흘러온 6000년의 大敍事詩 … 7 [1] 선사(先史)시대의 서울 … 19 메트로폴리스 서울을 성립시킨 제1의 입지조건은 한강 / 국내 최대의 암사동 신석기 유적지 / 서울과 수도권의 생명수 저장고―팔당댐과 팔당호 / 황홀한 한강본류의 황혼 [2] 古代서울은 한성백제의 500년 도읍지 … 31 아차산 홍련봉은 고구려군의 前線사령부 / 백제..

서울 탄생기 : 1960~19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의 서울 사회사

책소개 한국 현대사의 현장을 드러내는 ‘감수성의 고고학’ 작가 16인의 소설 110여 편으로 포착해낸 ‘서울 신드롬’ 서울은 ‘공룡’이자 블랙홀이다.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지방에 비해 압도적 비중을 과시하는 공룡이자 대한민국의 인구, 자본, 정보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다. 서울은 눈부시다. 불과 20여 년 만에 휘황찬란하게 변한 강남의 변화가 대표적이다. 3년만 외국에 갔다 와도 살던 동네를 못 찾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한편 서울은 눈물겹다. 하늘을 찌를 듯한 고층 빌딩의 그림자 뒤에는 쪽방촌이 함께하고, 세입자들의 고된 분투가 존재한다. 지은이는 현재 서울의 도시 경관, 시민들의 삶과 욕망이 1960~70년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1966년 이후 경제성장과 도시개발이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