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역사이야기 (책소개)/2.서울이야기 47

경성천도

책소개 일본 수도가 서울에 들어선다면 한반도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1933년, 서울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학교) 앞에는 흥아興亞연구소라는 특수 목적의 조직이 꾸려진다. 도요카와 젠요豊川善曄는 이곳에서 그동안 벼려왔던《경성천도론》을 발행한다. 이 책에서 그는 만주와 한반도를 아우르는 대동아공영권을 목표로 일본의 수도를 조선의 경성(서울)으로 옮겨 대륙 침략을 더욱 가열차게 벌여 나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목차 ■ 78년 봉금서封禁書! 국내 최초 완역본 출간 서문에 붙여 : 역사를 아는 민족만이 살아남는다 ■ 서언: 제국의 수도를 서울로 옮겨 동북아 지배의 화룡점정을 찍어라 1장 서론 1절 제국의 운명과 사명 2절 동양평화의 보전 3절 바다의 생명선과 육지의 생명선 2장 극동점거론 1절 극동의 지리학적..

경성의 아파트

책소개 1930년대를 ‘아파트 시대’로 명명해도 어색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책이 나왔다. 주거문화사, 아파트 설계, 아파트단지와 건축 공간이라는 각기 다른 주제를 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4명이 공동 집필한 『경성의 아파트』이다. 경성 어디에 얼마나 많은 아파트가 지어졌을까? 어느 곳에 많이 있었을까? 당시 사람들은 아파트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무슨 일을 하는 어떤 사람이 아파트에 살았을까? 경영 주체는 누구였을까? 어느 정도 규모였을까? … 『경성의 아파트』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오는 경성의 아파트에 관한 질문의 답을 찾는 여정이자 결과물이다. 당시 발행된 신문과 잡지는 물론 건축물에 관한 정보를 비교적 상세하게 다룬 건축잡지 『조선과건축』에 소개된 아파트 관련 자료 분석, 『대경성사진첩』, ..

경성의 건축가들

책소개 경성을 사랑한 건축가들, 그들이 남긴 또다른 이야기 대한민국 건축 1세대들의 자취를 따라서 암살, 밀정, 경성 스캔들, 모던보이 같은 일제강점기를 다룬 시대극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배경이 있다. 바로 근대건축이다. 일본은 죽도록 싫어하면서도 미쓰코시백화점 앞에서는 입이 딱 벌어졌던 사람들, 암울한 현실을 비관하면서도 경성역에서 들려오는 문명의 소리에 들떴던 사람들, 카페와 살롱에서 벌겋게 상기된 얼굴로 서구를 동경했던 민족주의자들…. 이들에게 식민지의 근대건축은 이상과 현실, 이성과 감성의 불협화음이 요동치던 장소였다. 『경성의 건축가들』은 일제가 세운 학교에서 건축을 배우고 건축가로 성장했던 일제강점기 조선인 건축가들과 비주류 외국인 건축가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수탈을 위해 만들어지는 건..

100년전 한성을 누비다 (오인환)

책소개 이 책은 저자가 "독립신문사 사옥이 있던 곳이 어디였을까"에 관한 우연한 호기심에서 시작해 구한말 서울에서 발행되던 우리 신문사들 발행소 위치를 찾는 7년간의 자취를 기록하고 있다.각종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 그리고 저자가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직접 발로 뛴 흔적들의 면면에 가득한 책으로서 구한말의 시대적 상황과 당시 발행되었던 우리 신문에 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목차 서 문 제1장 서언: 우리 초기신문사들의 발행 개관 제2장 한성순보와 한성주보 제3장 독립신문 제4장 매일신문 제5장 황성신문 제6장 제국신문 제7장 대한매일신보 제8장 기타 신문들―기타 우리 신문들 발행소 터의 현재 위치― 제9장 결어: 추정연구를 넘어선 확정연구를 기대하며 부 록 일본인 발행 신문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자..

경성을 누비다 : 신문사 사옥의 터를 찿아 2

책소개 “구한말 독립신문사가 어디 있었지?” 20여 년 전 던진 이 작은 질문은 2008년 『한성을 누비다』란 책으로 이어졌다. 우리나라 최근대사의 격동기, 나라마저 일제에 빼앗겨 가고 있었던 구한말의 혼란한 시기에 당시의 “한성” 우리의 서울에서 발행되었던 신문들의 사옥 터를 찾아 나섰던 이 작업은 구한말 우리의 언론 지형에 관한 이해에 배경을 만들어 주었다. 『경성을 누비다』는 그 후속 작업이다. 일제가 우리나라를 35년간 식민지로 강점하고 있었을 때, 당시의 “경성”이라 불리던 서울에서 어떤 신문들이 어디에서 발행되고 있었는지를 찾아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강탈한 억압자 일본인 신문들, 나라를 잃은 피억압자 조선인 신문들, 이들 신문들은 당시의 역사적 사건들 그리고 그 흐름의 목격자들이고 기록자..

서울을 누비다 : 신문 사옥 터를 찿아 (해방공간: 1945~1948)

책소개 [큰글자도서] “구한말 독립신문사가 어디 있었지?” 20여 년 전 던진 이 작은 질문은 2008년 『1040년 전 한성을 누비다』란 책으로 이어졌다. 우리나라 최근대사의 격동기, 나라마저 일제에 빼앗겨 가고 있었던 구한말의 혼란한 시기에 당시의 “한성” 우리의 서울에서 발행되었던 신문들의 사옥 터를 찾아 나섰던 이 작업은 구한말 우리의 언론 지형에 관한 이해에 배경을 만들어 주었다. 그 후속 책으로 『일제 강점기 경성을 누비다』를 펴냈다. 일제가 우리나라를 35년간 식민지로 강점하고 있었을 때, 당시의 “경성”이라 불리던 서울에서 어떤 신문들이 어디에서 발행되고 있었는지를 찾아 정리한 것이다. 속편의 속편으로 세 번째 책 『해방공간 서울을 누비다』를 펴냈다. ‘1945년 8월 15일 解放에서 19..

서울 특별시 서울 보통시

책소개 현재는 과거의 되새김질이요, 미래의 모태母胎이다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여러 시간대에 걸쳐 중첩돼 흘러간 것들은 결코 과거의 영역에 머 물지 않는다. 서울의 역사는 자신의 이름을 잃고 아내와 엄마로 살아가는 여자처럼 수도首都라는 권력에 함몰된 역사였다. 수도 행세에 이골이 났다. 그래서인지 서울사람 대부분이 서울을 내 것도, 네 것도 아니라고 여긴다.” -본문 중에서 서울의 변화상과 진화과정을 ‘장소 인문학적’ 관점에서 그려내 주목받았던 『서울 택리지』의 연작, 『서울특별시 vs. 서울보통시』가 출간되었다. 『서울 택리지』와 마찬가지로, 이번 책 또한 2013년 6월부터 2015년 2월까지 3년에 걸쳐 「서울신문」에 장기 연재되었던 『노주석의 서울택리지』를 바탕으로 재구성되었다. 『서울 택리지』가 ..

서울선언

책소개 문헌학자답게 서울 걷기 규장각한국학연구소 김시덕(金時?) 교수의 새 책 『서울 선언』은 좀 의외의 주제를 다룬다. 제목과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일종의 답사기다. 고문헌학자가 왜 서울 답사에 나섰을까? 그가 걷고 본 서울은 어떤 도시일까? 문헌학자가 서울 답사기를 썼다고 하면 아마도 [문화유산 답사]를 떠올릴 것이다. 궁궐과 박물관, 역사 유적을 돌아보겠거니 생각할 만하다. 그러나 이 책에 그런 장소는 등장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찬란한 문화유산이나, 아픈 근대의 흔적 같은 이야기는 없다. 물론 이 책도 역사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 시점은 대체로 현재에 가깝다. 저자는 주로 [여기도 서울인가?] 싶은 장소들을 걷는다. 그 장소들은 그가 40여 년간 살고 생활했던 곳들이다. 특별할 것 없..

골목길 산책 (서울편)

책소개 조선 건국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 서울골목에 서린 우리 역사를 걷다! 우리는 미래를 계획하고 지향하며 현재를 살아간다. 그 미래가 현재를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아 결정되듯, 지금 발 딛고 선 현재도 과거로부터 축적된 모든 시간이 모여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생각, 행동, 외적인 환경 등 그 어느 것도 지난 역사에서 비롯되지 않은 것이 없다. 오늘은 어제의 산물이며 내일도 그렇게 오늘의 산물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그 사실을 잊은 채 현재의 뿌리를 찾아 나서는 일에 인색한 상태로 지금 이 순간만을 바쁘게 살아가고 있다. 현재의 나를 알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처럼, 자랑스러운 조국이어야 할 대한민국을 알고자 하는 일에도 무심하다. 《골목길 역사산책_서울편》은 바로 이 부분에 주..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

책소개 우리의 일상은 어떻게 인문학이 되는가 서울의 100년을 걷는 인문학 여행 『100년의 서울을 걷는 인문학』은 서울이라는 도시 혹은 도시로서의 서울을 인문적 관점에서 이야기한다. 저자는 100여 년의 시공간을 넘나들며 도시 산책자의 시선으로 서울의 이모저모를 들여다본다. 식민지하의 경성에서 세계적인 거대도시로 거듭난 현재의 서울에 이르기까지, 서울의 방방곡곡을 누비는 저자의 발길은 막힘없다. 관찰과 탐구와 사유로써 서울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돌아보는 일. 이는 서울뿐만 아니라 우리가 발 딛고 사는 공간으로서의 도시와 근대성을 성찰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서울은 지난했던 우리 근대사를 온몸으로 견디며 성장해 온 도시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곧 우리 삶과 역사의 오늘과 내일을 헤아리는 일이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