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 480

유가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2002)

책소개 오랜 역사 과정에서 우리 민족과 긴밀하게 관계해왔고, 앞으로도 더욱 광범위하게 관계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인의 사유 구조를 전통 사상과 현대 사상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책. 중국인들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유가 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의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목차 1. 연구 목적과 시대 배경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시대 배경과 생애 2. 인식과 실천 개념 및 진리관 '인식' 과 '실천' 개념 진리 개념과 진리 기준 3. 인식의 대상과 기원 및 방법 인식의 대상과 주체의 관계 인식의 가능성과 기원 인식의 방법 4. 인식과 실천의 관계 인식과 실천의 관계 문제 인식과 실천의 통일 역사의 변혁 5. 전통과 현대 유학과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의 실상 6. 중국식 사회주의의 ..

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 (2019)

책소개 유가사상과 중국적 역사 사유가 기원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과정을 일별할 수 있는 책 유가하면 현재보다 과거에 초점을 둔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유가 역사관의 특성이 옛날 또는 옛것을 높인다는 상고尙古 또는 숭고崇古에 있다고 한다. 특히 유가가 하夏·상商·주周의 삼대三代, 즉 세 왕조를 황금시대로 보고 있고 이를 현실에서 재현하려고 하는 점에서 상고 또는 숭고의 특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황준걸은 유가의 상고와 숭고 특성을 애써 감추거나 부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대신 유가의 역사가 왜 상고 또는 숭고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지 그 연원을 끈질기게 추적하여 밝히고 또 그 영향을 꾸준하게 조사하여 밝히는데 이 점에서 이 책의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황준걸은 상고 또는 숭고가 옛..

유가사상과 현대사회 (2009)

책소개 수천 년 전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활약했던 공자, 노자, 장자, 순자, 한비자에 이르기까지 제자백가들의 유가사상을 조명해 보고 그들의 사상이 현대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심도 있게 접근하고 있다.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유가사상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 고민하고, 나아가 우리의 삶에 유익하도록 발전시키는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중국의 고전이 공자나 맹자의 유가사상을 시작으로 많은 학술사상이 나타나서 당시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관련한 여러 고민거리를 다루고 있으며, 이것들은 오늘날의 우리들에게도 과거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게끔 할 만한 시사점을 던져주는 학술이나 사상으로 발전해 갔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렇듯 공자의 유가사상은 오늘날 우리들에게 보다 절실하고도 실질적인 도..

유가사상의 인문학적 숨결 (2011)

책소개 저자는 유가사상을 인간경영학이라는 관점에서 이 책을 썼다. 제1부는 사람답게 사는 것이 인간의 생명을 제대로 산다는 의미로서 사람다움의 들숨이라 하고, 제2부는 아름답게 사는 것이 인간의 삶의 가치를 자진다는 뜻에서 아름다움의 날숨이라 하였다. 목차 서 문 서 설_사람답게, 아름답게 세상사는 법 제1부 사람다움의 들숨 1장 유가의 사람다움과 인간 덕성 2장 유교공동체와 인간사회의 문화환경 3장 인륜사회의 생명윤리 4장 효제자의 환경윤리 5장 성사상의 시종여일 6장 성명의리학의 인극론 7장 실사구시의 과학 정신 제2부 아름다움의 날숨 1장 예악사상의 아름다운 문화의식 2장 우리 무도의 인체문화 3장 석전제사의 집회 문화적 양식 4장 제례악무의 생명미학 5장 공문심법의 중화사상 6장 나눔의 부자 경영..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소개 공자 유가사상 - 제자백가의 생각 (중국사 다이제스트 1) 孔子-공자(B.C. 551-479)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라고 하였다. 그는 노국(魯國) 사람으로 숙량흘(叔梁紇)의 아들이다. 그는 15세에 학문 탐구에 뜻을 두고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라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다. 이처럼 노력 정진한 결과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점차 나이가 들면서 많은 제자들이 그에게 배움을 청하였다. 공자는 실천적인 교육가인 동시에 정치가이다. 그는 교육자생활 이외에 노국의 사공(司空)과 사구(司寇)라는 벼슬을 지낸 일도 있다. 그러나 뒷날 그의 정치적 이상이 실현되지 않게 되어 B.C. 497년 노나라를 떠나 위(衛)나라로 갔고, 이로부터 13년 동안 열국(列國)를 ..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1998)

책소개 유가사상의 사회 정치철학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유가의 정의관을 시작으로 공자/맹자, 맹자/순자, 유가/묵가의 정의관을 비교하고 있으며 유가와 권리, 유가와 자유주의의 양립 등 유가사상의 현대 적용의 문제 또한 살피고 있다. 목차 1. 유가의 정의관 유가의 정의관 공자 · 맹자의 정의관 비교 맹자 · 순자의 정의관 비교 유가 · 묵가의 정의관 비교 의리와 정의 2. 유가의 사회철학 유가는 '법치' 에 반대하였는가? 유가는 '권리' 의 개념이 있었는가? 유가는 '자유주의' 와 양립가능한가? 3. 신유가의 사회철학 주자를 통해 본 '합리성' 의 의미 주자와 진량의 왕패(王覇)논쟁 주자의 형이상학에 담긴 사회철학적 함의 책 속으로 유가의 예치는 법치와 무관하거나 배타적인 통치이념이 아니라, 실정법은 인간..

철학적 주제로 본 유가사상 (2010)

책소개 저자가 지금까지 주로 유가에서 철학문제를 중심으로 썼던 논문들을 엮어 제작한 책이다. 철학 문제만을 집중해서 논문으로 쓰려는 기획은 없엇지만 저자가 그동안 독서, 강의, 학회 발표 때 토론하면서 생각날 때무다 이와 관련된 논문을 썼고 그 논문들을 각각 형이상학, 마음, 지각, 윤리, 논리, 정치, 과학으로 분류하여 엮어내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형이상학 제1장 이약(理弱): 퇴계 이황 제2장 리와 상제의 관계: 퇴계 이황 제3장 이무위(理無爲)의 주재: 율곡 이이 제4장 초형기성(超形氣性)의 성립 검토: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제2부 마음 제1장 심성에 대한 시공간적 인식: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제2장 마음의 몸에 대한 주재: 간재 전우 제3장 인물성동이론 비판: 한주 이진상 제3부 지각 제..

공자와 맹자의 도덕철학 (2006)

책소개 이 책은 인간이 도덕적으로 행위하고 도덕적으로 살아야 하는 궁극적 이유는 무엇이며, 인간이 도덕적으로 행위하고 살아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어떠한 원칙(原則)과 규범(規範)에 의해서 도덕을 실현하며, 도덕을 실현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선진 유가 철학, 특히 공자와 맹자의 사상을 통해서 규명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논하는 것은 실천의 토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책의 목적은 우선 불변하는 도덕적 행위의 원칙과 시공에 따라 변화되는 도덕규범에 대해서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한 유가 철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유가의 도덕철학적 구조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현대의 도덕적 문제들에 대한 일정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7 1...

인도철학입문 (2005)

책소개 인도사상이 강력한 합리성의 전통을 지니고 있음을 설명한다. 저자는 인도철학의 시초로부터 출발해 철학적 논의가 어떻게 그리고 왜 다양한 사유학파로 발전하고 번성했는지를 보여준다. 인도철학의 다양한 학파의 핵심을 잘 보여주는 인도철학 입문서이다. 목차 서문 언어와 발음에 대한 주석 1 이성과 믿음 2 브라만교의 시작 3 출가 4 문제와 정당화 5 범주와 방법 6 사물과 비사물 7 목격과 감시당함 : 요가와 상키야 8 말과 책 후기 추천도서 색인 저자 소개 저자 : 슈 헤밀턴 킹스 칼리지와 런던대학에서 인도 종교에 대해 강의 한다. 저서로 『아이덴티티』『경험』『초기 부다이즘 : 새로운 접근』이 있다. 역자 : 고길환 한국외국어 대학교 영어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 현재 위덕대학교 영어학부 교수..

인도철학의 완전한 행복 (2022)

책소개 인도철학은 이성적 정신의 소유자가 존재와 우주 본성을 직관적으로 깨닫는 진리를 추구하며, 심장을 관통하는 무한의 미늘을 원하는 자의 철학이다. 인도철학에서 처음으로 행복을 탐구한 ??우파니샤드??는 정보화된 지식 체계로 이를 풀어놓지 않고 수수께끼처럼 은유한다. 그리고 수카와 아난다라는 두 가지 행복으로 신성하고 영적인 인간 가치를 비밀스럽게 직조한다. 수카에서 시작된 행복은 아난다를 지향하면서 완전해진다. 내 안에 존재하는 행복에 대한 확고한 자존적 직관, 성스러운 힘을 제외한 불완전함을 제거하려는 선한 의지, 이타적 행위를 지향하는 인도철학의 행복은 ‘완전한 행복’의 진정한 가치를 제공해 줄 것이다. 목차 인도철학과 행복 01 행복의 기원과 분류 02 상대적 행복, 수카 03 절대적 행복,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