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31 6

[학술]2024년 통일보건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 감염병 대유행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 2024년 6월 14일(금) 12:30~18:00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과 통일보건의료학회에서 이라는 주제로 춘계학술회의를 진행합니다.- 일시: 2024년 6월 14일(금) 12:30~18:00- 장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제1의학관 6층 강의실)- 사회: 노진원(연세대)- 개회사: 윤석준(통일보건의료학회)- 기조 강연: 김범수(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좌장: 김희숙(동남보건대)- 발표: 김상무(동국대), 이도영(창신대), 추상희(연세대)- 토론: 박형빈(서울교육대), 최순미(총신대), 전희원(안산대)- 좌장: 문진수(서울대)- 발표: 김초임(서울대), 윤지현(서울대)- 토론: 오경원(질병관리청), 심재은(대전대), 안동환(서울대)- 좌장: 전우택(연세대)- 발표: 이해우(강원대학교병원), 이소희(국립중앙의료원)- 토론: 김석주(성균관대), 전진용(울..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2020)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책소개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삼국시대의 타임캡슐을 열다!대한민국 최고의 명품 강의를 책으로 만난다!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를 엄선한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시리즈의 열두 번째 책이 출간됐다. 역사, 철학, 과학, 의학, 예술 등 각 분야 최고의 서울대 교수진들의 명강의를 책으로 옮긴 서가명강 시리즈는 독자들에게 지식의 확장과 배움의 기쁨을 선사하고 있다.『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의 저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권오영 교수는 무수한 발굴 현장을 직접 발로 뛴 한국사 권위자로,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 출연해 고대사의 가치와 매력을 대중에게 알리면서 주목받았다. 저자는 유물과 유적을 통해 하남 위례성, 임나일본부설 등 기존의 통설이 ..

우리가 몰랐던 백제사 (2024)

책소개『삼국사기』 기록의 한계를 극복한 신박한 백제사다. 저자는 중국과 일본의 사서 기록이 『삼국사기』 기록과 연결되지 않는 점을 주시하고 남당필사본의 삼국사 기록을 통해 시조 구태계통의 역사를 명확히 복원한다. 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내용 자체가 다소 생소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생소함은 오히려 백제사를 새롭게 이해하는 혜안을 가져다 줄 것이다.목차chapter1. 건국의 요람과 여명시조와 건국과정 16┃첫 도읍지 위례성을 찾아서┃미추홀의 슬픈 자화상┃┃건국시조, 온조와 비류 그리고 구태┃백제 국호의 변천 과정┃┃건국의 숨은 주역, 소서노와 을음┃《광개토왕릉비》가 기록한 백제 건국의 비밀┃┃고구려 영토내의 백제 땅 한남┃온조계통의 3루왕 42┃초기 3루왕, 부여왕족 혈통 강조┃다루왕과 석탈해의 치열한 ..

5.한성백제박물관 제3전시실 - 삼국의 각축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4.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3) - 백제, 동아시아를 품다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

3.한성백제박물관 제2전시실 (2) - 백제인의 삶 / 2024-05-29

한성백제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 개관일 2012년 4월 30일한성백제박물관(漢城百濟博物館, Seoul Baekje Muse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서울시립박물관이다. 올림픽공원 내부에 있으며, 지하3층과 지상2층으로 나뉘어 있다. 상설전시는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공간은 지하 2층부터 지상 1층까지이다.건립 배경 및 목적서울은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간 백제의 수도였으며, 현재 서울에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고, 출토된 유물만도 수만 여점에 이른다. 이러한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여 관광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