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동양철학의 이해 (책소개)/2.한국철학(성리학.실학) 94

연암 박지원 연구 (2012)

목차간행사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연암의 경제사상과 이용후생론 " 임형택 "1. 한국실학의 인식사에서의 연암2. 사와 실학3.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과 화폐론4. "열하일기"와 이용후생론5. 결론을 대신해서-연암학파의 성립, 그 이후의 이용후생학연암의 실학사상에 미친 서학의 영향 " 김명호 "1. 머리말2. 우정 담론의 발전과 "교우론"3. 염세주의 및 천주만물창조설 비판과 "천주실의"4. ‘경계’의 철학과 "기하원본"5. 맺음말연암의 "과농소초"에 대한 종합적 검토 " 염정섭 "1. 머리말2. "과농소초"의 편찬 과정3. "과농소초"의 내용 구성과 의의4. 맺음말필담을 통해 본 "열하일기" " 리쉐탕 "1. 머리말2. "열하일기"에서 필담의 의미와 위상3. 필담의 실제와 성취4. 필담의 문학적 구상 및 인물..

동아시아 실학 그 의미와 발전 1.2/ (2012) - 실학

목차간행사동아시아 실학의 개념정립을 위하여|임형택1. '동아시아 실학'이란 개념문제2.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역사적 의미의 실학의 기원3. 동아시아 실학의 범위, 그 중심과 외연4. 맺음말磻溪 柳馨遠의 變法論的 實學風|김태영1. 머리말2. 반계의 실리론3. 반계에서 조선 실학의 탄생4. 반계의 현실 개혁 구상5. 반계 실학의 변법론6. 반계 실학의 특성과 의미시대는 동아시아의 '新實學'을 부르고 있다|葛-晋1. 머리말2. '신실학' 구축의 방법3. '신실학' 구축을 위한 원칙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오가와 하루히사1. 前言2. 전근대(근대이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3. 實心實學의 實心은 왜 중요할까4. 結語실천 윤리학과 실학 : 도덕수양에 대한 다산의 접근|Don Baker丁若鏞 四書詮釋의 체계와 ..

환재 박규수 연구 (2018) - 실학

책소개박규수는 19세기 조선의 역사적 격변 한가운데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평안 감사와 우의정 등을 역임하면서, 셔먼호 사건(1866)·강화도조약 체결(1876)과 같은 한국 근대사의 중대 사건들에 깊이 관여하였다. 한편 그는 연암 박지원의 손자로서 영정조 시대의 실학을 누구보다 충실히 계승한 19세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였다. 뿐만 아니라 박규수는 실학을 개화사상으로 발전시킨 선각자로 평가되기도 한다. 김윤식·김홍집·유길준 등 개화파가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 박규수는 주로 19세기 후반의 저명한 정치가이자 개화파의 사상적 스승으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그는 서유구·윤정현(尹定鉉)·홍양후(洪良厚)·조면호(趙冕鎬)·신석희(申錫禧)·남병철 등 당대의 유수한 인재들과 교유했고, 천문..

환재 박규수 연구 (2008) - 실학

책소개연암 박지원의 손자인 환재 박규수의 사상과 정치, 문학적 업적을 집대성한 연구 서적. 19세기 조선의 역사적 격변 한가운데에서 다방면에 걸쳐 그가 보여준 폭넓은 활동이 담겨져 있으며, 자주적 근대화의 길을 찾기 위해 분투했던 그 시대의 총체적 진실에 접근하고자 한다. 연암 박지원 연구의 권위자인 저자가 십수년에 걸친 자료 발굴과 학제간 연구를 통해 개화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박규수의 본모습을 완벽히 복원했다.목차책머리에서론제1부 수학기제1장 가문과 성장과정1. 연암 박지원의 손자2. 외종조 유화의 영향3. 척숙 이정리ㆍ이정관의 지도제2장 북학파의 후예들1. 담헌 손자 홍양후와의 만남2. 홍양후의 연행과 그 영향제3장 효명세자의 지우(知遇)1. 순조 말의 정국과 효명세자2. 효명세자 승하 후의 은둔..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격암유록 (2024)

책소개동양 최고의 예언서에서 만나는 대한민국과 인류의 미래에 대한 희망기후위기로 인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이상기후와 기후재난,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의 재난 이후로도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는 위험한 전염병들,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쟁, 계속되는 경제 불안과 저출생으로 인한 지방 소멸의 위기…. 대한민국은 ‘잿더미 위의 장미’에서 전 세게를 놀라게 한 신흥 선진국의 위치로 변모했지만 2024년 현재, 과거와는 전혀 다른 도전과 위기에 봉착하여 새로운 국민적 각성을 요구받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현 상황에 한 명의 교육자로서, 한 명의 국민으로서 강한 문제의식과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최정용 저자는 이 책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격암유록』을 통해 ‘동양 최고의 예언서’ 『격암유..

정감록 (2005) - 새 세상을 꿈꾸는 민중들의 예언서

책소개다양한 형태의 전래 비결들을 집대성한 예언서. 고려 및 조선조의 흥망과 그 이후 새로운 정씨 왕조의 출현을 예견한 책으로 유명하다. 정확한 원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당시대의 민중사상이 집약되어 있어 조선시대의 민중 세계관과 역사관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남아있는 책을 번역하였다.목차들어가는 글1부 시대, 작가, 사상1. 살아숨쉬는 정감록2. 비결의 역사와 정감록의 등장3. 정감록 비판4. 정감록의 사상사적 의의2부 본문3부 관련서저자 소개저자 : 김탁한양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85년부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에서 철학박사를 받았다. 이후 정감록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경희대, 중앙승가대학 등에서 한국종교에 관한 강의를 맡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연구원.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2023)

책소개격변기이자 전환기인 근현대 시기 한국 유학의 사상적 모색과 전개 및 그 함의를 체계적 으로 정리하여 총 10권의 『한국근현대유학사상연구 총서』를 세상에 내놓는다. 근현대 시기에 주목한 것 은, 근현대 한국 유학계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사상적 모색과 실험들이 그 자체로서 매우 유의미하며 그 시 기 선각적 유학자들의 치열했던 학문적 탐구와 실천 적 노력들이 현재의 한국 사상계에 던지는 의미 또한 크기 때문이다. 한국문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 학이라는 학문의 진로를 두고 이렇게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진 시기는 일찍이 없었다. 흔히 ‘해체와 연속’ 의 시기로 규정하는 근현대는 한국사에서 하나의 사 상적 실험실과 같은 시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와 미래의 한국 사회를 염두에 두고 그들의 다양 한 ..

쾌락의 정원 (2018) - 동양의 에피쿠로스 이어의 『한정우기』

책소개동양의 에피쿠로스 이어의 『한정우기』 국내 초역동양 문화의 총수가 담긴 지식백과사전이자 양생기“삶을 건강하게 즐기는 법”에 대한 지식 총 망라청나라 초기에 쓰인 지식백과사전이자 양생서, 삶을 윤택하게 만들기 위한 온갖 지혜와 철학, 실용적 지식을 담은 『한정우기閑情偶寄』가 국내 초역되었다. 이 시기와 분야 연구를 꾸준히 해온 김의정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한국어판 제목을 ‘쾌락의 정원’이라 붙이고, 부제에 ‘동양의 에피쿠로스’라는 구절을 넣은 것은 이 책이 독자에게 안겨줄 충격을 반영한 것이다. 한 사람이 삶을 가꾸고 즐기는 데 있어서 이 정도의 열정이 과연 가능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게 만들기 때문이다. 책을 소개하기 전에 먼저 이어라는 인물에 대해 알아보자.‘이어李漁’라는 인물에 대하여명말 청..

한국의 철학자들 (2023) - 포함과 창조의 새길을 열다

책소개 한국철학을 한 사람들을 소개하며 대화를 하듯 철학하기를 시도하는 책이다. 최치원과 원효로부터 가장 최근의 동학이나 생명평화운동에 이르기까지 2000년 한국철학사를 논구한다. 철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철학자’의 철학하는 법을 견문하면서, 스스로 그리고 함께 ‘한국철학하기’를 도모한다. 한국철학은 중국에서 유래하는 유교, 불교, 도교 포함삼교와 접화군생의 풍류정신에 담아 조화함으로써, 한국인의 사유 방식을 드러내고 특유의 한국철학을 만들어 나갔다. 한국철학의 근본원리를 잘 이해하면, 오늘 K-POP과 같은 한류가 어떻게 세계적인 호응을 얻게 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대학 수업을 진행하듯이 전체 15강으로 구성하여, 이해의 깊이를 더하면서도, 결국은 내 철학함의 끈을 놓치지 않고 ‘내 철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