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 522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2022 /서울대) - 계보와 쟁점

책소개 군사적 갈등과 전쟁의 종식을 넘어 평화학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 평화학의 발전과 복합화 과정을 추적하고 전쟁 방지와 안보 실현 방안을 살펴보며 기후위기와 국제개발 등 오늘날의 주요 쟁점을 논하다 평화학이란 인류가 직면한 여러 문제, 즉 전쟁과 폭력, 경제적 불평등과 빈곤, 질병, 기후변화, 구조적 억압과 차별, 착취 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실천적·다학제적 성격의 학문이다.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오랜 역사를 가진 평화학이 근대 이후 어떠한 경로를 거쳐 발전해 왔는지 사상사적 맥락과 이론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해양분쟁·기후위기·국제개발 등 주요 쟁점을 짚어 본다. 목차 머리말 서론 제1장 평화학의 개념과 쟁점 | 김범수 1.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2. 근대와..

살아남은 여자들은 세계를 만든다 (2023 /사회학) - 북조선여성 재조명

책소개 “떠나온 여자들은 뒤돌아보지 않고 각자의 세계를 만들어간다” 전쟁과 분단의 격랑 속에서 여성들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남북이 분단된 지 어느덧 78년이 되었다. 분단 이전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이들도 생을 다할 때가 되었으며, 한국 현대사에 깊게 드리워져 있던 북에 대한 적대감보다 북에 대한 거리감이 훨씬 더 압도적인 감정이 된 지도 오래되었다. 이북의 사람들이 누구인지, 어떠한 삶을 살아왔는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미래를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갖는 것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마음’이라는 키워드로 분단의 문제를 탐구해온 김성경(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은 북에 대한 무관심은 남한사회의 역사적 중층성에 대한 무지로 이어진다며 그들이 사실은 우리의 거울상이라는 것을 역설한다. 『살아남은 여자들은 세계..

근대 동아시아 평화사상

책소개 근대 동아시아에서 펼쳐진 질서·저항·공동체와 평화 미래를 바라보는 평화사상의 문턱에 우리의 연구가 있다 평화사상은 근대의 지각변동이 동아시아에 초래한 국제적 현실, 혹은 ‘질서’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고, 그 변경을 의도한 ‘저항’이 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제국주의적 폭력의 본질을 꿰뚫어보기도 하고, 현재보다 더 나은 ‘공동체’의 도래를 염원하기도 한다. 근대 동아시아에서 평화사상이란 바로 이와 같은 지적 삶의 영위로서 존재한다. 이 책은 근대 동아시아를 교차하면서 때로는 갈등과 연대를, 또 때로는 어긋남과 일치를 보여줬던 평화사상의 한계와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이다. 3·1운동의 정신이기도 했던 평화는 식민지배라는 ‘특수한’ 역사적 경험에서 표출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 ..

어떤 인문 학자의 6.25 (2021 강인숙)

소개 어느 누구의 삶도 역사 앞에서 특별하지 않다. 모든 이의 삶은 ‘그 자신의 특별함’으로 제각기 역사와 연결된다. 전쟁이 터지던 1950년 6월 25일에 시작하여 휴전 전후까지를 다룬 이 책에서는 한강을 걸어서 건너던 피난길부터 천막학교에서의 학창생활, 부산에서 시작해 동숭동으로 옮겨진 대학시절로 소용돌이 같은 시간을 옮겨가며 기록한 ‘1950년대의 연대기’이자 하늘에서 불비가 쏟아지던 혼돈의 대한민국 ‘비상시’를 지낸 아이가 20여 년 동안 한 어른으로 성장하는 길고도 험한, 하지만 아름답고 따스한 6.25 한국 전쟁의 체험적 역사실록이다. 1. ‘나는 열세 살에 한탄강 철교를 기어서 건넜다.’ 소녀에서 여성으로 살아낸 1950년대, 무심코 지나쳐 온 6.25의 또 다른 희비극을 섬세하게 복원한다 ..

내가 겪은 6.25 (2007 김진수) - 1945년(5세)~1958년(18세까지)

책소개 1945년부터 1958년까지 저자의 생애 일부를 기록한 수기이다. 1950년 6월 25일 이전 38선 이북의 공산치하에서 살았던 그는 전쟁 후, 할머니와 동해 중부전선에 남아 공산 인민군과 대한민국 국방군이 대치하여 공방전을 치르는 와중에서 생명의 위험을 경험했다. 그러나 삶을 관통한 전쟁의 처절한 기억은 점차 왜곡되며 잊혀지고 있다. 저자는 전쟁의 참상을 바로보고,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신이 직접 겪은 6 · 25를 글로 옮겼다. 목차 1. 귀향 2. 인공치하 3. 아버지의 설악산 잠적 4. 감시 대상 우리 집 5. 깊은 밤중에 본 아버지 6. 금강산 수련과 아오지 탄광 7. 고향에 남은 할머니와 나 8. 김일성의 기습남침 9. 양양 군청 철수 이동 10. B-29 항공기의 강현 ..

끝나지 않은 6.25 (2020 이규상) - 눈빛아카이브 사진

책소개 이 책은 사진 전문 출판사 ‘눈빛’이 6.25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그동안 수집해 온 미공개 사진에 해설을 덧붙여 엮은 6.25전쟁사다. 이 책에 수록한 300여 장의 사진은 6.25 아카이브로 구축한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것을 중심으로 하고, 시각적 편향성을 극복하기 위해 영국, 중국, 러시아 그리고 북한 등 ‘눈빛아카이브’가 오랫동안 수집해온 것들로 엮었다. 전후 사진은 국내외 사진가들의 사진을 썼다(크리스 마커, 구와바라 시세이, 전대식, 한치규, 김봉규, 김용철). 이 책은 전쟁기(1950-53)의 전사(개전, 전투, 인천상륙작전, 북진, 고지전, 휴전 등)를 밟아가고 있으나 광복 이후와 조미정상의 판문점 회동(2019.6)에 이르기까지 전후사도 연결하고 있으며, 승전이나 전..

6.25 전쟁사 - 한권으로 읽는

책소개 6.25 전쟁에 대한 연구를 모은 책이다. 전쟁사의 이해, 전쟁의 서막, 북한군 남침과 초기전투, 지연작전과 미군 유엔군 참전, 낙동강 방어선 전투, 인천상륙작전과 반격 북진작전 등 9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전쟁사의 이해 제1절 전쟁이란 무엇인가? 제2절 전쟁사 연구 제2장 전쟁의 서막 제1절 광복 전 . 후의 한반도 제2절 전쟁의 출발점 제3절 단계별 작전 개요 제3장 북한군 남침과 초기전투 제1절 전쟁의 전주곡 제2절 축선별 전투 제3절 초기작전 분석 제4장 지연작전과 미군 . 유엔군 참전 제1절 지연전 개관 제2절 한강 방어선 전투 제3절 미군과 유엔군의 참전 제4절 한강 이남의 지역작전 제5절 지연작전 분석 제5장 낙동강 방어선 전투 제1절 낙동강 방어선 형..

6.25 전쟁과 한국사회의 문화변동

책소개 6.25전쟁 이후 우리 사회 전반에는 미국 지향적인 문화가 다양하게 나타났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 책은 6.25전쟁이 가져다 준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들을 살피면서 선조들의 삶의 모습을 들여다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 형성된 가치관과 문화가 한국의 근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또, 책에서는 1950년대의 식생활이나 의복의 변화, 교육과 종교의 변화 등을 상세하게 다루며 정체성의 혼란을 겪어야만 했던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모습을 전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머리말 제1장 1950년대 사회문화적 특성 1. 전쟁의 피해상황 2. 빈곤의 보편화 3. 전쟁미망인과 매춘 4. 서구문화의 유입과 퇴폐주의 5. 전통적 가치관의 상실과 물질만능주의 6. 계의 일반화 7. 6.2..

이승만 대통령과 6.25 전쟁

소개 대한민국 건국 대통령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 박사가 임진왜란 이후 민족 최대의 위기인 6·25전쟁을 국가원수로서 또 통수권자로서 어떻게 수행했는가를 자세하게 그린 연구서다. 그는 역사적으로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책의 저자는 그를 6·25전쟁 전후 열악한 안보 환경하에서 국가원수, 행정수반, 전쟁지도자로서 뛰어난 통찰력과 특유의 외교적 뚝심 그리고 실리 외교를 발휘, 미국과 유엔을 상대로 현명하게 대처함으로써 위기에 빠진 대한민국을 구해 냈던 명민(明敏)한 국가지도자로 그리고 있다. 목차 제1장 이승만 대통령의 출생과 성장 제2장 태평양전쟁 시 이승만 박사의 군사외교노선과 활동 1. 태평양전쟁기 이승만 박사의 군사 외교노선 2. 이승만과 정보조정국(COI) 및 전략사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