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일본학 연구 (책소개) 470

근대 일본 국회론과 제헌사 (2023)

책소개 『근대 일본 국회론과 제헌사』 변혁은 누가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그 지향이나 내용도 달라지기에 필연적으로 주도권의 다툼을 낳는다. 일명 ‘메이지헌법’으로 불리는 일본제국헌법은 근대 유럽의 헌법을 본떠 편찬한 동아시아 최초의 근대적 헌법이다. 비록 막대한 권력이 ‘천황’에게 편중돼 전제적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명확한 한계가 존재하나, 근대 입헌 군주제 국가로서의 도약이라는 측면에서 메이지헌법 제정이 일본 근대사의 큰 획임은 분명하다. 『근대 일본 국회론과 제헌사』의 원서인 『일본헌법제정사요日本憲法制定史要』는 메이지헌법 발포 50주년을 기념해 발간되었던 서적이다. 작가인 오사타케 다케키는 일본 근세사의 종장인 에도바쿠후(막부) 말기에서부터 일본 근대사의 서막을 올리는 메이지 중기에 이르기까지, ..

제국의 수도 모더니티를 만나다 (2012) - 다이쇼 데모크라시에서 쇼와 모더니즘까지

책소개 2000년 하와이대학출판부에서 출간된 “Being Modern In Japan”을 번역한 것이다. 시드니대학 교수인 엘리스 K. 팁튼과 존 클락이 엮은 이 책은 1998년 7월 ‘모더니즘, 모더니티, 그리고 모던 : 1920년대와 1930년대 일본의 문화와 사회’라는 제목으로 시드니 뉴사우스 웨일즈 아트 갤러리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여기에 몇 편의 논문들을 보강하여 모두 11편의 글을 한 권의 책으로 묶은 것이다. 목차 감사의 글 서문 1장 화가들, 춤을 향해 가다 다이쇼 시대의 변화하는 몸의 이미지 / 미즈사와 쓰토무 2장 근대성의 색인들 대중적 복제 표현에 나타난 변화들 / 존 클락 3장 일본 근대 미술 관중의 형성 / 오무카 토시하루 4장 합리화와 국민생..

1940년 체제 (2022) - 일본 전후경제사의 멍에를 해부하다

책소개 성장의 동력이 추락의 날개가 된 1940년 체제의 진실 전후에도 살아남은 전시체제가 부흥의 공신이자 몰락의 원인이었다 “1940년 체제야말로 모든 문제의 근원이자 일본 경제의 멍에?입니다.” 일본의 정치·경제·사회를 옥죄고 있는 대동원체제의 실체 분석 무너져가는 나라에 바친 노 경제학자의 충고 - 일본 경제의 부흥과 몰락을 직접 겪은 관료-경제학자의 내부적 시선 - 도쿄 대공습부터 헤이세이 시대까지, 일본 경제사의 총결산 - 고도성장, 부동산 거품, 장기 침체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분석 일본 경제의 번영과 몰락에 얽힌 서사는 너무도 극적이었던 나머지 한국인들에게도 이미 어느 정도 친숙해져 있다. 그래서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질 때마다 한국 경제의 거울로서 일본 경제가 언급되기도 한다. 물론 한..

대본영의 참모들 (2014) - 일본 군국주의의 광기

책소개 동북아 일대를 2차 대전의 참화 속으로 몰아넣은 슈퍼 A급 전범, 대본영 참모의 정체는? 2차 대전 종전 70주년, 여전히 신사참배와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꾀하는 일본 제국주의의 실체를 해부한다! 이 책은 지난 세기 동북아 일대를 뒤흔들었으며 여전히 휴화산과 같은 존재인 일본군, 특히 일왕조차도 브레이크를 걸 수 없었던 핵심 참모들의 역사와 그들이 일으킨 전쟁에 대해 낱낱이 밝힌다. 이토 히로부미가 이끈 청일전쟁, 일본의 최대도박 러일전쟁에서부터 정부를 접수한 참모들이 일으킨 2차 대전 - 상하이 사변, 장구펑 사건, 눠먼한 사건, 태평양전쟁까지를 추적하면서 일본 군국주의의 광기를 조명한다. ‘대일본제국을 위해’, ‘천황폐하를 위해’, ‘군국주의를 위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제국의 전사들이란 이..

다이쇼 데모크라시 (2012)

책소개 이 책은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논할 경우 불가결하지만 그동안 경시되거나 무시된 문제들에 관해 집필한 9편의 논문을 체계적으로 집성한 것이다. 제1부는 메이지 말년에 나타난 다이쇼 데모크라시 초기 단계의 양상을 살펴본다. 제1장에서는 러일전쟁 강화반대운동이라는 반동적인 국민운동이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출발점으로 자리매김한 이유를 밝히고, 제2장에서는 이 시기 운동의 중심적 담당자였던 비특권 자본가 계층의 군국주의 재정반대운동을 제1차 호헌운동의 전제로 보고 중시했다. 제3장에서는 이 운동이 낳은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상의 양상을 『동양경제신보(東洋經濟新報)』의 논설에 입각해 검토했다. 목차 :: 책머리에 제1부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초기 단계 제1장_러일전쟁 강화반대운동 1.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원류 2...

일본의 정당정치는 왜 무너졌을까 (2023)

책소개 일본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좌절되었나 이 책은 도쿄대학 명예교수 미쿠리야 다카시 교수가 쓴 『정당정치는 왜 자멸했는가』의 한국어판이다, 19세기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일본의 정당정치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다. 근대 일본에서 민주주의가 어떻게 수용되고, 몰락해 버렸는지 그 과정을 잘 묘사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책이다. 이 책에 나타난 저자의 최대 문제의식은, “왜 근대 일본 정치에서 정당이 몰락하고, 군부가 대두했을까?”이다. 이와 관련해 저자는 정당의 부패와 무능력이 군부의 대두를 허용했다고 지적한다. 『일본의 정당정치는 왜 무너졌을까』는 바로 이런 점을 알기 쉽게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의 화두는 다음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메이지유신 이후 근대 일본은 서구의 민주주의를 ..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 (2020) - 가려진 피해자들의 역사를 말하다

책소개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는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라는 관점에서 점령군 ‘위안부’와 일본군 ‘위안부’의 위치를 살핀다. 또한 전쟁 상황에서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 속에서 연애, 매춘, 강간을 연속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여성의 에이전시(agency)와 관련지어 논의한다.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는 주의 깊은 공감적 청자(audience)가 위치하여 증언을 가능하게 하며 피해자의 에이전시에 대해서도 다루는, 인간과 인간이 만드는 복잡한 역사를 섬세하고 치밀하게 비교사의 관점에서 전쟁과 성폭력을 다룬다. 이 책은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라는 시도로 전쟁과 성폭력 연구에 새로운 한 걸음을 내디딘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들어가는 말 ―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를..

일본 민주당 정권의 탄생과 붕괴 (2014) - 대내외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책소개 이 책은 민주당 정권의 탄생과 붕괴에 대한 현대일본학회의 기획 공동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주당 정권의 정권교체가 가져온 정치적 의미를 자민당 일당우위 체제하에서 만들어진 정책결정과 입법과정, 그리고 정책 방향에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민주당 정권의 경험부족, 민주당 정권의 리더십 결여, 그리고 민주당 내의 불일치가 정책의 성공과 실패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민주당 정권의 정치적인 의미 역시 살펴본다. 목차 출판의 글 (진창수) 서장 민주당 정권의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 (진창수) Ⅰ. 민주당으로 정권교체 원인 Ⅱ. 일본 정치에서 민주당 정권교체의 의미 Ⅲ. 민주당 정권의 실패 요인 Ⅳ. 맺음말: 본 연구의 의의 제1부 정치시스템 제1장 민..

천황의 전쟁 책임 (2013) - 봉인·망각과 왜곡·미화의 역사인식

책소개 1989년 천황 사후 봉인되어있던 1차 자료들이 공개됨으로써 천황이 얼마나 적극 적이고 주도적으로 전쟁지도에 관여했는지 밝히는 연구가 심화되고 있지만, 천황 의 전쟁 책임을 은폐하려는 움직임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일본정부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침략전쟁과 가해 책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불충분하나마 ‘사죄’와 ‘반성’을 되풀이해 왔지만, 천황의 전쟁 책임은 부정하는 모순을 보인다. 이런 모순이 지속되는 한 일본의 역사인식의 근본적 문제점은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천황의 전쟁 책임을 일본 국민이 어떻게 인식해 왔는지, 그러한 인식의 배후에는 천황의 전쟁 책임에 대한 자각적인 의식화를 가로막는 은폐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용해 왔는지 일본 현대사의 흐름 ..

일본 문화의 현장과 현재 (2018)

목차 서문 참고문헌 1부 현대 일본사회의 탄생과 죽음 임신 · 출산 시의 죽음 ∥야스이 마나미 -그리프 케어의 이야기와 실천을 향해서- 1. 연구 성과를 사회에 발신하다 2. 출산의 장(場)에서의 그리프 케어 3. 과거의 유산과 사산 4. 임산부의 죽음 5. 지역적인 전승에서 글로벌한 이야기로 고대 일본의 포의총과 한국의 태실 ∥노성환 1. 머리말 2.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포의총 3. 신이 된 인간들의 태반 4. 일본의 포의총과 한국의 태실 5. 맺음말 일본 의료에서의 탄생과 죽음 ∥나카모토 고지 1. 머리말 2. 다문화 사회의 출산 3. 병원과 의료종사자의 대응 4. 일본에서의 죽는 장소의 변화 5. 사망에의 대응과 사후 처치 6. 간호직에 있어서 '사후 처치'의 의미 7. 사후 처치 관련 역사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