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불교의 이해 (책소개) 204

인도 불교철학의 원전적 연구 (2014)

책소개 이 책의 저자는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인도의 뿌나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와 범어과에서 원전들을 공부하였다. 이후 85년 진주 국립경상대 철학과 교수로 초빙되었으며, 87년부터 모교인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의 교수로 봉직하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제자들을 배출할 뿐만 아니라, 인도불교철학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목차 1. 서론 2. 아비달마 불교 3. 중관학파 4. 유가행파 5. 불교논리학 6. 기타

티베트에서의 불교철학 입문 (2020)

책소개 꼰촉 직메 왕뽀의 둡타는 티베트의 불교 승가대학에서 본과에 진입하기 전 입문과정으로 학습하는 불교철학 개론서이지만, 불교 4대 학파의 핵심 교의를 간추린 일종의 명제집이기 때문에 초입자로서는 결코 이해가 쉽지 않다. 저자는 인도불교, 그중에서도 특히 주류를 형성하였던 비바사사와 경량부 전공자로, 이에 대해 자세하게 해설·비평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의 평대로 티베트 불교도들이 무엇을 학습하고 우리의 불교학습에 무엇이 문제인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해 제 1. 둡타: 불교철학 입문서 2. 둡타의 기원과 전개 3. 본서의 저자 꼰촉 직메 왕뽀 4. 본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외의 철학체계 5. 본서의 논설체계 6. 본서의 특색 7. 직메 왕뽀 『둡타』의 판본 제1부 본문 편 서게(..

미네소타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 (2019) - 붓다의 생각을 꿰뚫는 스물네 번의 철학 수업

책소개 미네소타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의 저자 홍창성 교수(미국 미네소타주립대 철학과 교수)는 지난 2015년부터 국내 불교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깨달음 논쟁’ 당시 누구보다 많은 분량의 글(8편)을 매체에 기고하며 논쟁의 중심에 섰고,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런 그가 먼 미국 땅의 대학에서 진행한 ‘불교철학 강의’는 매우 특별하다. 기독교 전통이 강하기로 유명한 미국 바이블 벨트(Bible Belt) 북부의 미네소타주에서, 그것도 불교에 관한 그 어떤 것도 접해 본 적 없는 젊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지난 십여 년 간 진행해 온 위의 불교철학 강의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제기한 날카로운 질문과 그에 대한 첨예한 토론 및 논증을 정리하여 이 책을 완성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불교철학의 전개 (2003) - 인도에서 한국까지

목차 1. 석가의 생애 2. 불교의 근본교리 3. 인도의 이상주의 4. 중국의 현실주의 5. 한국의 주체주의 저자 소개 저 :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서우철학상 수상), 『자아의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 철학의 전...

중국불교철학2 상.하 (2016) - 심성론

소개 중국 인민대학 종신교수이면서 중국인민대학 철학계와 종교학계 박사 지도교수인 팡리티엔 교수의 『중국불교철학요의(中國佛敎哲學要義)』를 번역한 책이다. 2권은 그 중 심성론을 다룬다. 불교 심성론의 역점은 마음에 있다. 특히 마음[人心]의 본질과 심성의 작용·의의 및 심(心)과 성(性)의 관계에 관한 논쟁이 불교 심성론을 이끌었다. 인도불교의 심성론 사상, 중국불교의 심성론 철학의 범주, 남북조 이래 역대 불교 주요 학파의 심성론, 그리고 심성론 사상에 있어서 불교와 유교·도교의 상호 작용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된다. 목차 제3편 심성론(心性論) 上 짧은 머리말 제9장 도불교의 심성론 사상 약술 제1절 소승불교의 심성론 1. 심식설(心識說) 2. 심성염정설(心性染淨說) 제2절 대승불교 여래장계열의 ‘..

중국불교철학1 (2016) - 인생론

소개 중국 인민대학 종신교수이면서 중국인민대학 철학계와 종교학계 박사 지도교수인 팡리티엔 교수의 『중국불교철학요의(中國佛敎哲學要義)』 5편 중 1편과 2편을 번역한 책이다. 인도불교가 중국으로 유입되며 중국 전통 사상과 습합을 거치며 발전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1권은 '인생론'을 다루는데, 인간 행위의 규범인 인과응보론을 먼저 다룬 다음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을 논의하고 있다. 목차 서 론 1. 연구의 대상과 임무 2. 연구 태도와 방법 3. 체제와 구성 제1편 총 론 이끄는 말 제1장 중국불교철학의 형성 제1절 중국불교철학의 정의 제2절 중국불교철학의 형성과정 1. 경전의 번역 2. 경전의 의미를 가르치고 익힘 3. 불전 편찬 4. 교상판석과 종파 창립[判敎創宗] 제3절 중국불교..

극락의 경전 -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의 정토삼부경과 임종염불 · 장엄염불

책소개 『극락의 경전』에는 아미타경 ·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의 정토삼부경과 임종염불 · 장엄염불이 수록되어 있다. 모두 다 극락왕생과 관련한 경전이다. 부처님은 참된 마음으로 아미타불을 믿고 염불하면 내생에는 반드시 근심 걱정이 없고 안락한 극락세계에 태어난다고 하셨다. 특히 사찰에서는 백중 때에는 목련경, 우란분경을 독송하는 불교풍습이 있다. 곧 다가오는 백종을 맞이하여 돌아가신 부모님과 조상을 위하여 극락의 경전과 효행의 경전을 수지 독송하고, 선물하여 지금 이 자리에서 극락정토의 영원한 행복을 누리시길 기원한다. 목차 아미타경(阿彌陀經) … 9 제1장_ 서분(序分) … 10 제1절 경문의 증명(證信序) … 10 제2장_ 정종분(正宗分) … 12 제1절 극락세계의 공덕장엄 … 12 제2절 염불왕생(..

불교인문주의자의 성철읽기

책소개 성철 스님의 삶을 연대의 순서를 좇아서 그려낸 이 책은 1996년에 발간된 『멀어져도 큰산으로 남는 스님』을 복간한 것이다. 성철 스님의 태어나면서부터 열반에 이르기까지의 생애를 소설적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물론 여기에 등장하는 수많은 사건들은 일지 스님이 생전에 성철스님과 주변 인물로부터 직접 또는 자료 등을 통해 확인한 내용이기에 허구이기보다, 사실에 근거해 작성한 것이다. 이 책 전체에는 주요 인물들의 대화체가 많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성철 스님이 남긴 여러 중요한 메시지들을 선별하여 독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가 이러한 형식을 빌려 성철 스님의 삶을 재구성한 것은, 보다 많은 이들이 성철 스님의 삶을 알기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 저자의 바람 때문이다. 저자는 머리글에서 이 책의..

불교인문주의자의 경전읽기 (일지스님)

책소개 ‘천재적’ 승려의 너무나 안타까운 죽음 “본지에 ‘감춰진 불교이야기’를 연재해 온 일지 스님(경학회 회주)이 23일 서울 수국사에서 입적했다. 세수 44세. 해박한 교학을 바탕으로 한 직관적인 문체로 ‘불교인문주의’라는 독특한 영역을 개척해 온 일지스님은 1974년 백양사에서 서옹스님(현 고불총림 방장)을 은사로 출가했으며, 1980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했다. 1997년 불교경학연구소를 설립해 후학들을 지도하며 많은 경전과 선어록을 번역했다. 삼수갑산으로 떠난 부처 선불교 백문백답 등 20여권의 저서가 있다. 스님의 지인들과 문인들은 고인을 추모하는 사업으로 ‘일지 문고’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현대불교신문 2002년 8월 28일) 불교적 삶과 현대사회의 관계성이 깊이 천착 일지스님의 입적을 ..

효행경전 - 부모은중경 · 목련경 · 우란분경 · 지장경

책소개 『효행의 경전』에는 부모은중경 · 목련경 · 우란분경 · 지장경이 수록되어 있다. 역시 모두 다 효도, 효행과 관련된 경전으로 경전에서는 선망부모와 조상, 그리고 유주무주 고혼영가를 위해서 이 경전들을 독송하면 지옥 고에서 벗어난다고 하셨다. 특히 사찰에서는 백중 때에는 목련경, 우란분경을 독송하는 불교풍습이 있다. 곧 다가오는 백종을 맞이하여 돌아가신 부모님과 조상을 위하여 극락의 경전과 효행의 경전을 수지 독송하고, 선물하여 지금 이 자리에서 극락정토의 영원한 행복을 누리시길 기원한다. 목차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 9 1_ 법회의 시작 … 10 2_ 마른 뼈에 절하신 까닭 … 11 3_ 아기를 낳으실 때까지의 고생 … 14 4_ 부모님의 열 가지 크신 은혜 … 17 5_ 갖가지 불효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