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조선시대사 이해 (책소개) 233

선비를 따라 산에 오르다 (나종연) - 조선시대 선비들이 남긴 산행일기의 현장

책소개 (큰글자도서) 조선시대 선비들이 남긴 산행일기의 현장, 그 발자취를 더듬으며 나누는 산에 관한 찬찬한 이야기 면암 최익현은 제주도에 유배되어 지내던 중 1875년 3월 한라산을 유람하고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를 남겼다. 비단 최익현만이 아니라, 조선시대 선비들은 우리나라 산천을 유람한 후 그 기록으로 많은 유기(遊記)를 남겼다. 미수(眉?) 허목(許穆)은 ‘두타산기(頭陀山記)’를, 율곡(栗谷) 이이(李珥)는 ‘유청학산기(遊靑鶴山記)’를, 남명(南冥) 조식(曺植)은 ‘유두류록(遊頭流錄)’,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유소백산록(遊小白山錄)을 남겼다. 이 책 『선비를 따라 산을 오르다』는 북한의 백두산, 향풍산을 포함한 우리나라 23곳 산을 유람한 선비들의 기록을 담아, 독자들이 조선시대 선비들..

즉위식과 국왕의 탄생

책소개 조선 왕실의 즉위의식 돌베개 왕실문화총서 가운데 왕실의 행사를 다룬 세 권의 책 『왕실의 천지제사』 『왕실의 혼례식 풍경』『즉위식, 국왕의 탄생』 가운데 마지막 책. 조선시대에 새 왕이 보위에 오르는 의식인 즉위식을 중심으로, 대한제국의 황제 즉위식과, 세자가 왕의 후계자인 왕세자로 공인받는 의식까지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먼저 제1부에서는 즉위의례의 연원을 고대 중국의 경전에서 찾아보고 그 의미를 살핀다. 명대 이전 중국 역대 왕조의 즉위식과, 조선 즉위의례의 직접적인 연원이 된 명대의 즉위의례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먼저 고려시대의 즉위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로의 변화와 추이를 살핀다. 다음으로 조선시대 즉위식의 유형과, 각 즉위식의 ‘실제’를 기록을 통해 살펴본다. 제3부에..

임진전쟁과 민족의 탄생 (김자현)

책소개 일본이 조선을 침략했을 때 한국 민족이 탄생했다 임진전쟁 중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16세기판 ‘위안부’ 설치를 직접 명령했다 민족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공포 속에 의병봉기, 한글의 사용이 민족의 출현을 이끈 주요 요인이었다 특히 한자의 압도적인 헤게모니 아래 있었던 한글이 전쟁 중에 ‘우리의 것’ 혹은 ‘민족적인 것’이 될 수 있었다 임진전쟁(과 만주족의 침입)은 조선과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큰 변화를 몰고 왔다. 중국에서는 명·청 교제가 이뤄졌고, 일본에서는 도쿠가와 막부가 들어섰다. 하지만 주전장이었던 한반도에서는 조선왕조가 300년 더 지속되었다. 이에 대해 김자현 교수(컬럼비아대)는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 같은 조선에서 사실은 민족의 출현이라는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다고 ..

한국의 유교화 과정 -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책소개 부계중시, 종손의 가계계승, 장자우대상속, 제사의 관행들은 17세기에 형성되어 20세기까지 존속한 한국 사회의 특징이다. 우리는 소위 ‘전통’이 되어버린 이것이 아주 특별한 발달 과정을 거친 최종 결과물이라는 사실에 대해 아예 모르거나 종종 잊는다. 한국의 유교화 과정은 정말로 획기적인 것이었으며 거대한 변화였다. 마르티나 도이힐러는 조선왕조의 건국을 단순한 왕조 교체로서가 아니라, 신유학의 이념에 입각한 사대부들의 이상사회 건설을 향한 의지의 표현으로 보고 있는데, 여기에 바로 『한국의 유교화 과정』의 독특한 점이 있다. 조준과 정도전을 비롯한 조선 건국의 주역들이 의식적으로 과거의 전통과 단절되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 했다는 점에서, 저자는 조선왕조의 등장을 중요한 역사적 분기점의 하나로 파..

세종시대의 정치와 사상

책소개 이 책은 세종대의 정치와 사상을 다루고 있다. 세종대의 경이적인 업적을 특히 문명교류와 국가혁신의 관점에서 검토했다. 그것은 13-14세기 팍스 몽골리카 하의 ‘제1차 세계화’(the first globalization)에 의존하고 있다. 몽골제국이 유라시아 대륙을 통일한 결과 여러 문명들이 활발하게 교류하며 융합되었고, 수많은 고려인이 세계체험을 겪었다. 그 결과 국가혁신의 사상과 운동이 배태되어, 조선건국으로 귀결되었다. 세종은 그 자양분을 소화하여, 전면적인 국가혁신에 착수했다. 그 결과 국가의 표준이 완성되고, 조선의 전통이 확립되었다. 목차 서론 I. 세계사 속의 세종 시대 1.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하의 제1차 세계화와 문명표준의 확산 2. 13-14세기 한국인의 세계체험..

유교와 한국문화의 장르

책소개 유교가 전통시대 한국문학의 글쓰기에 어떻게 관여하고,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어떤 제약을 가했는지를 탐구하는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유교와 한국문학 장르의 관련성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고, 단순히 한국문학의 장르라든가 글쓰기에 대한 연구로서만이 아니라, 한국유교에 대해 특수한 접근을 시도를 하였다. 한국문학의 장르의 범주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는데, 한시, 한문산문, 국문시가, 국문소설 등이 그것이다. 이 네 가지 범주 안에서 다시 여러 장르에 대해 각각 논의를 전개한다. 조선 후기 장르들의 이탈 움직임을 주목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교가 강한 규제력과 구심력을 갖고 있음을 말하며, 동시에 유교를 내파하려는 움직임이라든가 유교와 다른 원리의 가치를 모색하고자 한 점 등을 주목하였다. 목차 책..

신학자가 풀어 쓴 유교이야기

책소개 『신학자가 풀어 쓴 유교 이야기』는 유교 입문서로 유교에 대한 무지와 편견, 지식에 있어 아직 초보적 수준을 넘지 못한 교회 현실과 소수이긴 하지만 유교 사상을 찬찬히 들여다보고 싶어 하는 진지한 그리스도인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가능하면 젊은 세대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집필되었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저자 소개 저자 : 배요한 모태신앙으로 태어나 부모님의 순전한 믿음을 물려받은 저자는 네 살 때 신실한 하나님의 사람이 되고자 헌신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와 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학사(B.A.)와 목회학석사(M.Div.) 학위를 받은 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에 진학해 한국 유학의 대가 중 한 명인 이기동 교수 아래에서 유학을 전공하고 ‘기독교..

유교 -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책소개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유교〉편의 문고화 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는 전통문화연구회에서 2001년 세계 7대 종교(그리스도교, 도교道敎, 동학東學, 불교佛敎, 유교儒敎, 이슬람, 힌두교)를 이해하여 종교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공존을 모색하기 위해 7년간의 노력 끝에 출간한 책이다. 중견?원로 종교학자들이 각 종교의 기본 경전을 중심으로 공통된 체재와 주제별 항목을 설정하고 해설하였다. 이 책은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중 〈유교〉편을 문고화한 것으로 개요와 주제별 항목에 대한 설명을 수정 보충하고, 다양한 도판圖版을 실어 내용의 이해를 도왔다. 유가철학의 권위자로 ≪사서삼경강설≫시리즈를 저술한 저자 이기동李基東 교수는 일본 쓰쿠바筑波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제임스 버나드 팔레) - 유형원과 조선후기

책소개 유형원의 『반계수록』에 나타난 경세사상을 초점으로 삼아 조선 후기 유교적 경세론의 실체를 추적해간다. 저자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유교적 경세론을 해석하는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 조선의 건국(1392)부터 강화도조약(1876)이 체결되기까지 한국 사회에서 일어났던 주요한 변화들 속에서 학문적인 경세론과 역사적 현실의 관계, 그리고 그 둘의 상호 영향을 파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유형원의 『반계수록』은 17세기 조선이라는 유교적 사회의 본질과 복잡성을 파악하는 데 훌륭한 경로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이 책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해 유교가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었는가, 이미 존재하던 문제와 갈등에 대해 얼마나 창조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는가, 그리고 사회 조직과 정치·국방·경제 문제에 ..

한국 유교의 정신 - 세게관과 시대적 과제

책소개 석학인문강좌 53권.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인 금장태 저자가 한국 유교의 세계관과 시대적 과제를 살펴본다. 유교사상은 우리 역사를 통해 그 시대에서 세계를 이해하는 눈을 열어 주고,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와 사회를 유지하는 규범을 제시해 왔다. 따라서 한국유교의 사상적 흐름과 이념의 정신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과제는 그 시대마다 새롭게 제시되었던 세계관과 가치질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목차 _ 머리말·4 제1장 고려말-조선초 주자학의 수용과 정착과정 1. 고려말 주자학 수용의 성격·13 2.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과 도입과정·16 (1) 고려말 주자학 도입의 배경 (2) 고려말 주자학의 도입과정 3. 고려말 주자학의 정착과정과 사회적 의미·35 (1) 고려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