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기독교-개신교 (책소개)/2.한국기독교역사

해방공간과 기독교

동방박사님 2022. 7. 19. 12:43
728x90

책소개

개항 이후 서구문명은 기독교를 통해서 한반도에 유입되었고, 이는 한국사회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한국현대사를 일국사적 관점으로부터 세계사적 관점으로 확대하여 조망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사 연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반 학계는 기독교사 연구를 특수 영역으로 간주하는 측면이 있고, 기독교사 학계는 일반 학계의 흐름과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현대사, 특히 해방공간에서 기독교가 미친 역할은 그 중대성에 걸맞은 집중적인 연구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주로 해방공간과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인 주제와 당시 생산된 1차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책에서 진행된 연구들은 기존의 해방공간에 대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주제 선정, 자료 활용 그리고 분석의 시기와 대상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심화된 형태로 진행하여, 해방공간에서 나타난 정치 상황과 기독교의 관계를 그대로 재현하고자 했다. 이 책은 해방공간에서 나타난 정치 상황과 기독교의 관계 및 영향을 다루면서, 동시에 해방공간이 갖는 국제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책 소개

공산주의 대 파시즘의 대결과 조선/한국 기독교 지도자들의 선택 | 김명섭
1. 시작하는 말
2. 1917년 러시아 공산정권의 등장과 반종교주의의 확산
3. 공산주의 대 파시즘 충돌의 세계적 구도
4. 조선/한국 기독교 지도자들의 선택
5. 맺는 말

“중앙집권화된 행정부”와 한반도의 분단: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 정책에 대한 재고찰 | 박명수
1. 시작하는 말
2. 신탁통치, “중앙집권화된 행정부 원칙”, 그리고 38선의 획정
3. 38선 분할획정과 미국의 중앙집권화된 행정부 원칙
4. 미군의 진주와 중앙집권화된 행정부 정책
5. 소련군의 북한지역 단독정부 구상과 미국의 남북문제 회담
6. 미소 군사대화의 결렬과 소련정부와의 직접 협상
7. 맺는 말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기독교 | 장금현
1. 시작하는 말
2. 미소의 대한(對韓) 정책
3. 해방정국에서 기독교의 정치참여 동기
4. 독립촉성중앙협의회
5. 맺는 말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기독교 | 이은선
1. 시작하는 말
2. 독촉국민회의 조직과 활동
3. 기독교인들의 독촉국민회의 참여
4. 맺는 말

한민당과 기독교 | 김명구
1. 시작하는 말
2. 한민당 창당과 그 배경
3. 한민당의 인적 계보의 문제: YMCA계와 흥사단계와의 연계성
4. 정치사상적 연계성
5. 한민당의 경제사상: ‘경제정의’의 문제
6. 맺는 말

함태영의 건국운동 참여의 사상적 배경 | 김정회
1. 시작하는 말
2. 해방 후 함태영의 활동과 정치적 계보
3. 함태영의 사상적 배경
4. 맺는 말

4·3사건과 제주기독교 | 허명섭
1. 시작하는 말
2. 제주기독교의 4·3사건 인식
3. 4·3사건과 제주기독교의 수난
4. 4·3사건과 제주기독교의 역할
5. 맺는 말

해방기의 기독교 문학 | 현길언
1. 시작하는 말
2. 일제 강점기 기독교 문학 정신
3. 해방공간의 사회 탐구 양식으로서 소설
4. 해방기의 기독교 시문학
5. 맺는 말: 기독교 문학의 시대적 의미

대한민국 외교조직의 창설과 정치외교지도자들의 인식 | 양준석
1. 시작하는 말
2. 정치외교지도자들의 인식
3. 대한민국 수립 직후 외교조직의 탄생
4. 맺는 말

목차

책을 펴내며
책 소개

건국동맹과 좌익 민족통일전선 | 박명수
1. 시작하는 말
2. 건국동맹과 좌익 민족통일전선
3. 맺는 말

1947년 3·1절에 나타난 임정법통론과 인민혁명에대한 미군정의 대응 | 박명수
1. 시작하는 말
2. 1947년 3·1절 준비: 우익, 좌익, 그리고 미군정
3. 3·1절 집회와 1947년 봄 한국 정치의 전개
4. 맺는 말

해방공간에서의 한반도와 동유럽: 공산화 과정과 기독교 탄압을 중심으로 | 양준석
1. 시작하는 말
2. 동유럽의 공산화 과정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산화 과정
4. 공산화와 기독교 탄압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5. 맺는 말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조선기독교단 남부대회와의관계: 신탁문제를 중심으로 | 장금현
1. 시작하는 말
2. 신탁에 대한 제 이해
3.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조선기독교단 남부대회
4. 맺는 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지방 조직과 기독교 | 이은선
1. 시작하는 말
2. 지방 지부 조직과정과 지부에 참여한 기독교인들
3. 지방 조직에 가담한 기독교인들의 건국활동
4. 맺는 말

미군정기 미국선교사 2세와 한국정치세력의 형성: 윌리엄스(George Zur Williams)와 윔스(Clarence N. Weems Jr.)를 중심으로 | 김동선
1. 시작하는 말
2. 선교관련 인물들과 미군정의 관계
3. 미국선교사 2세와 정치세력의 형성
4. 맺는 말

전재민구호활동과 기독교: 미군정기를 중심으로 | 박창훈
1. 시작하는 말
2. 미군정기 전재민의 현황
3. 민간전재민구호활동
4. 미군정청의 전재민구호정책
5. 기독교의 전재민 구호활동
6. 맺는 말

1948년 한국의 유엔 승인외교와 기독교 | 양준석
1. 시작하는 말
2. 한국대표단의 승인외교 활동
3. 미국의 지원
4. 기독교의 영향
5. 맺는 말
 

출판사 리뷰

개항 이후 서구문명은 기독교를 통해서 한반도에 유입되었고, 이는 한국사회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한국현대사를 일국사적 관점으로부터 세계사적 관점으로 확대하여 조망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사 연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반 학계는 기독교사 연구를 특수 영역으로 간주하는 측면이 있고, 기독교사 학계는 일반 학계의 흐름과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현대사, 특히 해방공간에서 기독교가 미친 역할은 그 중대성에 걸맞은 집중적인 연구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주로 해방공간과 기독교의 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인 주제와 당시 생산된 1차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책에서 진행된 연구들은 기존의 해방공간에 대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주제 선정, 자료 활용 그리고 분석의 시기와 대상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심화된 형태로 진행하여, 해방공간에서 나타난 정치 상황과 기독교의 관계를 그대로 재현하고자 했다.
이 책은 해방공간에서 나타난 정치 상황과 기독교의 관계 및 영향을 다루면서, 동시에 해방공간이 갖는 국제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 김명섭(金明燮, Myongsob KIM)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파리 1 - 팡테옹 소르본 대학 박사
한신대학교 국제학부장 역임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2018- )
국제학술지 Geopolitics 편집위원
대표저작: 『해방전후사의 인식』(공저),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 『대서양문명사』 등

· 박명수(朴明洙, Myung Soo PARK)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
보스턴대학교 Ph.D., 기독교역사 전공
미국교회사학회 학회지 Church History 편집위원
한국교회사학회장 역임
대표저작: 『조만식과 해방 후 한국 정치』, 『건국투쟁: 인민공화국인가, 민주공화국인가?』

· 장금현(張金炫, Geumhyun JANG)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교수
서울신학대학교 Ph.D., 한국 기독교사 전공
명지대학교 사목, 세계사이버대학 교목실장 역임
대표저작: 『한국 기독교 절제운동』, 『변화하는 한국교회와 복음주의 운동』(공저), 『한국교회 연합운동의 역사: 아천 정진경 목사』

· 이은선(李殷善, Eun Seon LEE)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문학사(역사교육), 총신대학교 Ph.D., 교회사 전공
안양대학교 교목실장, 신대원장 역임
복음주의신학회,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교회사학회
대표저작: 『대한민국 건국과 기독교』, 『한국근대화와 기독교의 역할』, 『종교개혁자들 이야기』

· 김명구(金明九, Myungkoo KIM)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신학박사
감리교회 한국선교전략연구소 부소장
대표저작: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사회운동과 사상』, 『창천교회100년사』(공저), 『서울장신50년사』, 『소죽 강신명 목사』, 『해위 윤보선-생애와 사상』

· 김정회(金正會, Jeong Hoe KIM)
서울장신대학교 외래교수
서울장신대학교 철학박사, 한국교회사 전공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목사
대표저작: ?한국기독교의 민주주의 이행연구: 해위 윤보선을 중심으로?

· 허명섭(許命涉, Myung Sup HEO)
서울신학대학교 외래교수
서울신학대학교 Ph.D., 한국교회사 전공
시흥제일교회 담임목사
대표저작: 『해방 이후 한국 교회의 재형성』

· 현길언(玄吉彦, Gil-un HYUN)
『본질과 현상』 발행인,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역임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소설가. 현대소설 전공
대표저작: 소설집, 『용마의 꿈』, 『한라산』 외 다수. 저서로는 『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 『한국현대소설론』, 『문학과 성경』, 『정치권력과 역사 왜곡』 등

· 양준석(梁俊錫, Joonseok YANG)
서울신학대학교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정치학박사, 국제정치사 전공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총무이사(2018- )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전문연구원 역임
대표저작: ?한국 지역담당 외교조직의 변천과정 연구?, ?서울올림픽 유치의 정치외교사?(공저), ?1948년 한국대표단의 유엔 승인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