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기독교-개신교 (책소개)/2.한국기독교역사

제중원과 초기 한국기독교

동방박사님 2022. 7. 27. 13:50
728x90

책소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의료 기관으로 알려진 제중원. 이 책은 제중원과 그 신앙 공동체, 그리고 이와 밀접히 관련된 한국 초대 교회사에 관해 기존의 여러 자료와 증언, 연구물을 다시 해석하여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제중원의 선교사적(宣敎史的), 교회사적(敎會史的) 의의를 좁은 한 공동체와의 관련 범주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 초대 교회 전반에 걸친 관련성에 관심을 두고 접근하였기 때문에 제중원의 교회사적 지평을 확장시켰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1. 제중원의 설립 경위
2. 제중원의 선교적 역할
3. 제중원 선교 공동체의 성격
4. 제중원 선교신학의 한 측면 : 언더우드와 애비슨을 중심으로
5. 제중원과 한국 초대 교회 형성 과정
6. 제중원의 교회사적 의의

결론
부록 : 관련 자료
찾아보기
 
 

출판사 리뷰

제중원과 초기 한국 기독교의 관계를 조명한 책

한국 근대사에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이자 교육기관으로만 알고 있는 제중원을 초기 한국 기독교와의 관계에서 새롭게 조명하였다. 이 책에서는 제중원의 정체성을 ‘선교 기관’으로 상정하고 이 기관이 지닌 초기 역사성 안에서 ‘선교 기능’의 일단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 중에서도 한국 초기 교회와의 관계, 다양한 선교적 효용성은 물론 신앙, 예배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에 미친 영향력, 역할 등을 해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의 결과에서 얻어지는 이 기관의 한국 교회사적 의의를 몇몇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우선 제중원의 설립 경위부터, 제중원의 선교적 정체성과 역할을 검증하는 사실 확인 작업, 그리고 이를 근거로 그 성격을 규명하는 해석, 그리고 특별히 제중원 정체성의 확인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사례의 연구, 곧 언더우드와 에비슨의 관계 연구를 포함시켰다. 그리고 제중원과 밀접하게 전개된 서울지역의 초대 교회 공동체 형성사를 논구하였으며, 끝으로 전적인 해석 작업인 교회사적 의의 서술을 시도하였다. 부록에는 기존의 중요한 관련 자료와 새로 발굴된 관련 자료를 적절히 배치하였는데, 즉 알렌의 일기 일부나 The Korea Mission Field의 제중원 관련 내용, 그밖의 한국 교회사 초기 문서의 번역 인용 등 처음 공개하는 자료들을 다수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