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성서연구 (책소개)/2.성경설교연구

왕 같은 제사장 (2021) - 베드로전서 2:9의 관점에서 본 창세기

동방박사님 2024. 6. 15. 21:41
728x90

책소개

이 책은 성경에서 가장 많이 읽히고, 또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창세기에 관한 책이다.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은 창세기를 저자는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한다.”라는 성경해석의 기본 원리에 따라 성경적 문맥에서 창세기의 역사적, 신학적 의미를 제시한다.

특별히 저자는 베드로전서 2:9의 관점에서 창세기를 풀어 설명한다. 창세기는 출애굽 한 이스라엘의 백성들에게 어떻게 하면 “왕 같은 제사장”으로 살 수 있는가를 설명해 주신 하나님의 말씀이다. 우리는 창세기를 통해 우리를 택하시고 부르셔서 아브라함과 같이 그 부르심에 합당한 믿음을 주시고, 이삭과 같이 순종하는 자에게 복을 주시며, 또한 야곱과 같이 방황할지라도 그와 함께하셔서 결국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가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심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요셉과 같이 죄악으로 가득 찬 이 세상에서 “왕 같은 제사장”으로 살아가게 하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심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 책은 일차적으로 신학에 입문하는 신학생들과 하나님의 말씀을 사모하는 평신도들을 위해 쓰였다. 또한 성경을 가르치고 설교하는 사역자들에게도 성경적 문맥에서 창세기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추천사 6
서 문 8

제1부 기독교인의 정체성과 사명

제1장 기독교인의 정체성과 삶의 목적 … 15
제2장 이스라엘을 택하시고 구원하신 이유 … 29
제3장 이스라엘을 택하시고 구원하신 목적 … 41

제2부 창조와 구속

제4장 창조주 하나님 … 61
제5장 인간의 타락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 … 73
제6장 가인과 아벨의 제사 … 89
제7장 노아와 홍수 심판 … 105
제8장 바벨 사건 … 135

제3부 왕 같은 제사장

제9장 아브라함 : 택하시고 부르셔서 믿음을 주시는 하나님 … 149
-하나님의 부르심
-하나님의 명령과 약속 (Ⅰ)
-하나님의 명령과 약속 (Ⅱ)
-아브라함의 믿음 (Ⅰ)
-아브라함의 믿음 (Ⅱ)
-언약의 성취
-모리아 산의 시험
제10장 이삭 : 순종하는 자에게 복을 주시는 하나님 … 231
-가나안 땅의 기근에 대한 대처
-아내를 누이라고 속임
-브엘세바
제11장 야곱 : 하나님을 위하여 살게 하시는 하나님 … 241
-야곱을 택하신 하나님
-야곱과 장자권
-벧엘의 하나님
-그러나 야곱은!
-야곱의 귀향길
-일어나 벧엘로 올라가라
제12장 요셉 : 왕 같은 제사장으로 살게 하시는 하나님 … 263
-가나안에서의 요셉
-애굽에서의 요셉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요셉
-하나님 앞에서 사는 요셉

제4부 결 론

제13장 기독교인의 사명 : 왕 같은 제사장 … 287

참고문헌 … 295
 

저자 소개 

저 : 권오윤
권오윤 교수는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B. Th.)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 Div.)를 졸업하였으며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에서 신학석사 학위(Th. M.)와 철학박사(Ph. D.) 학위를 받았다.
저자는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선교정보위원회 총무, 예장합신 총회 교육부 연구위원 및 계단공과 집필위원, 중서울노회 노회장, 학교법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법인사무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평소 저자는 신학은 교회를 섬기기 위한 학문이라고 생각하여 박사과정 중에 노원성도교회를 개척, 만 11년 동안 담임 목사로 사역하였고, 목회하면서 모교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를 비롯하여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등에서 구약신학을 강의하였다. 2013년부터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에서 전임교원으로 목회와 교육, 행정 분야에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차세대 지도자 양성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책 속으로

기독교인들은 죄의 어두움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어둠의 악한 세력들에서 영생의 광명으로 불러내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며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구원받은 자들이다. 즉, 기독교인들은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으로서 죄악 된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복음을 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제1장 기독교인의 정체성과 삶의 목적」중에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과 세상 사이에서 이러한 중재 역할을 감당하는 제사장 나라가 되게 하리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께서는 죄악 가운데 있는 열방의 구원을 위한 중재자로서 이스라엘을 택하시고 구원하셨다.
---「제3장 이스라엘을 택하시고 구원하신 목적」중에서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사람이 하나님을 송축하며(시 103:22),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하고(시 149:2), 하나님께 감사드리고(시 136:1-9),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경배하며(시 95:3-6), 하나님께 순종하며 살도록 지으셨다(시 95:7).
---「제4장 창조주 하나님」중에서

히브리서의 저자는 “더 나은 제사”라는 말을 비교급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다. “더 나은 제사”는 사무엘상 15:22을 반영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아벨의 제사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삶이 있는 제사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제6장 가인과 아벨의 제사」중에서

사람들이 시날 평지에 성읍을 건설하려고 한 것은 직접적으로는 홍수와 관련이 있다. 또한, 하나님께서 주신 언약(창조 언약, 노아 언약)과도 관련이 있다. 이들이 하늘에 닿을 만큼 높은 성읍과 탑을 쌓으려는 것은 노아 언약을 통해 주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불신이며,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더라도 하나님과 대적하려는 악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제8장 바벨 사건」중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많은 자손을 약속하셨고 가나안 땅을 기업으로 주셨다. 그리고 그 증표로 여호와께서 아브라함과 더불어 언약을 세우셨다. 아브라함의 자손들이 사백 년 동안 이방의 객이 되겠지만 그 후에 큰 재물을 이끌고 다시 애굽 땅에서부터 그 큰 강 유브라데까지 이르는, 즉 가나안 땅으로 돌아오게 된다는 것이 아브라함에게 주신 언약의 핵심이다. 출애굽의 의미와 중요성은 구원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출애굽과 가나안 입성은 땅과 자손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을 보증하는 선취적 사건이다.
---「제9장 아브라함 : 택하시고 부르셔서 믿음을 주시는 하나님」중에서

야곱은 나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은 내가 내 힘과 내 능력으로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시는 하나님”께서 나를 지키시고 인도하셔서 그 뜻을 이루게 하신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께서는 야곱과 함께 하셔서 “자기를 위해서” 살아온 야곱을 “하나님을 위하여” 사는 믿음의 사람으로 변화시켜 주셨다.
---「제11장 야곱 : 하나님을 위하여 살게 하시는 하나님」중에서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택하시고 부르셔서 그 부르심에 합당한 믿음을 주시고 또한 그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 수 있도록 우리를 지키시고 인도하신다. 그래서 우리가 “왕 같은 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며 예수 그리스도, 십자가와 도를 전하는 복음 전파의 삶을 살게 하신다.
--- p.285

요셉은 왕 같은 제사장으로 살아가야 할 성도의 본이 된다. 애굽에서 요셉은 하나님 앞에서 정직과 성실로 자기에게 주어진 일들을 감당해 나갔고, 하나님께서는 요셉을 위하여 그와 함께하시고 범사에 형통하게 하셨다. 하나님께서는 말씀으로 그를 단련시키시고 성령의 감동으로 지혜를 주셔서 보디발의 집에서도, 감옥에 갇혀서도, 바로의 궁에서도 “왕 같은 제사장”으로 살게 하셨다.
---「제13장 기독교인의 사명 : 왕 같은 제사장

추천평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하나님께서 범죄 한 인간을 어떻게 회복시키시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예수 믿는 성도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구원받은 성도들이 어떻게 이 세상에서 “왕 같은 제사장”으로 살게 하시는지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권오윤 박사의 “왕 같은 제사장”은 바른 신학적 입장에서 창세기를 읽기 쉽게 기술하여 평신도들이나 신학에 입문하는 신학생들은 물론 교회에서 성경을 가르치고 설교하는 목회자들에게도 신·구약성경의 맥락에서 창세기를 바라보게 하는 탁월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 박형용 (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현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