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일본학 연구 (책소개)/3.일본근대사

전근대 일본의 영토인식 (2012)

동방박사님 2024. 5. 18. 15:21
728x90

목차

책머리에

야마토 왕권의 영역 확장을 통해 본 고대 일본의 경계인식|홍성화
Ⅰ. 머리말
Ⅱ. 중국 사서에 나타난 일본의 경계인식
Ⅲ. 일본 사료로 본 야마토 왕권의 경계인식
1.『일본서기』의 영역 확장에 대한 인식
2. 경계 지역의 인식
3. 영역 확장의 실태
Ⅳ. 고고학 자료를 통한 경계인식
Ⅴ. 고대 이즈모의 지역성과 경계인식
Ⅵ. 맺음말

동아시아와 일본율령국가의 경계인식|송완범
Ⅰ. 서
Ⅱ. '율령국가'의 변경
Ⅲ. '율령국가'의 경계인식 - 사천왕신앙
1. 사이카이도
2. 산이도
3. 호쿠리쿠도
4. 데와국
Ⅳ. '율령국가'의 경계인식의 변화
Ⅴ. 결

국내외의 고지도로 본 중세 일본의 영토인식|김보한
- 쓰시마와 오키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한·일 고지도에서 본 쓰시마와 오키
1. 중세 일본의 관념적 영토인식
2. 행기식일본도의 도로선(道路線)과 영토인식
3.「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대마도와 영토인식
4. 한·일 고지도에서 본 영토인식의 혼돈
Ⅲ. 조선의 대마도와 중세 일본의 쓰시마
1. 조선의 대마도 영토인식
2. 막부 지배의 쓰시마와 오키
Ⅳ. 맺음말

일본의 사찬지도로 본 전근대 '삼도영토관'에 대한 고찰|신동규
- 일본 고지도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중세 행기도와 '삼도영토관'의 출현
Ⅲ. 근세 전기 행기식일본도와 '삼도영토관'의 계승과 정착
Ⅳ. 근세 후기「적수도」와 '삼도영토관'의 잔영
Ⅴ. 맺음말

저자 소개

저 : 홍성화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양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충청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회장, 동아시아고대학회 부회장, 예성문화연구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주제는 고대 한일 관계사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한일고대사 유적답사기』(저서), 『왜 5왕』(저서), 『칠지도와 일본서기: 4~6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