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한반도평화 연구 (책소개)/3.통일문제

통일을 대비한 북한도시 개발 구상 (2024)

동방박사님 2024. 5. 28. 07:47
728x90

책소개

통일을 대비한 준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통일에 대한 여러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다. 평화적 흡수통일 방안, 1국 2체제의 연방제, 무력통일 방안 등이 회자하고 있다. 하지만 통일은 도둑고양이처럼 조용히 찾아올 수 있다. 우리가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이유이다. 만약 준비 없이 갑작스러운 통일이 찾아온다면 우리는 독일보다 더욱 큰 혼란을 겪을 것이며 통일은 축복이 아닌 재앙이 될 것이다.

이 책은 통일을 대비한 북한 도시개발 구상과 사전준비 사항을 담고 있다. 제1장은 북한도시의 과거와 현재 및 발전 역사, 제2장은 주택과 도시 개발 구상과 지속 가능한 도시,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한 방안이 인공지능인 GPT-4와 DALL-4를 활용해 제시되고 있다. 제3장은 통일시 긴급한 해결을 요하는 토지주택의 사유화 문제, 개발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및 사전준비사항을 담고 있다. 한미글로벌 통일한반도건설산업전략연구소가 펴낸 이 책은 통일을 염원하는 15명의 전문가가 연구와 토론을 통해 완성하였다.

목차

권두언 / 머리말

Part1│북한도시의 발전사

01│북한도시의 과거와 현재
02│남북한 도시발전의 특징

Part2│북한도시 개발 구상

03│북한 도시개발의 과제
04│북한도시의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
05│북한 스마트시티 개발
06│북한 도시주택 진출 구상

Part3│통일을 대비한 건설산업의 준비

07│건설산업의 전략과제
08│북한 도시인프라 진출 준비
09│토지주택 사유화 시나리오와 예상 과제
10│북한 도시개발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출판사 리뷰

분단 상태가 거의 80년이나 지속하면서 통일에 관한 관심과 기대가 날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통일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통일 이후 북한 도시의 개발을 연구하는 분들이 있다는 사실 자체가 참으로 고무적이다. 통일은 축복이지만 준비된 통일은 많은 시행착오를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확실하고 더 큰 축복이다. 통일 이후 북한개발에서 중심적 과제는 도시개발이다. 북한 주민에게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이질적인 남북의 사회 통합과 안정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과제다. 한국의 도시개발에서 얻은 교훈을 살려 기능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최고의 도시를 북한에 건설하는 것이 성공적 통일의 관건이다.

통일한반도포럼 참가자들의 선행 연구결과는 북한 경제와 사회에 대한 정보가 빈약하고 연구환경이 척박한 가운데서 이루어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북한 도시개발의 방향과 핵심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연구는 전문가 풀의 명맥을 유지하고 양성하는 데도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아무쪼록 이번 연구결과가 북한개발에 관한 후속연구에 활력을 불어넣고, 통일 이후 학계와 건설업계가 정부에 건의할 북한 도시개발의 청사진을 수립하는데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