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전쟁연구 (박사전공>책소개)/8.전쟁기억평화

동북아 전쟁과 해역 (2022) - 피난, 삐라, 해전

동방박사님 2023. 1. 14. 09:41
728x90

책소개

냉전과 열전의 시대 ‘동북아해역’에 주목하다

『동북아해역과 전쟁-피난, 삐라, 해전』은 한국전쟁을 비롯한 동북아의 전쟁들이 냉전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분절과 갈등을 마주하게 되는 동북아해역에 주목했다. 20세기 후반은 ‘냉전과 열전’의 시대였다. 열전이라 함은 전쟁을 비롯한 갖가지 충돌을 모두 아우르는 표현이다. 냉전과 열전은 지역에 따라, 국가에 따라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양상으로 시작되고 진행되었다. 또한 냉전의 상당 부분이 열전의 형태로 표출되었고, 냉전과 열전은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연속성과 동시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책은 냉전과 열전을 해역의 관점에서 재검토한다. 총 12편을 담고 나누어 동북아의 전쟁과 해양인식에 대한 전사를 제1부에서, 각 국가들이 처했던 전쟁과 그 영향을 제2부에서, 전쟁 이후 냉전으로 전환되면서 일어났던 사건들에 대한 고찰과 의미를 제3부에서 논의한다.

제1부 ‘근대 동아시아의 전쟁’에서는 아편전쟁을 근대 동아시아의 첫 전쟁으로 소개하며 이 전쟁 이후 출판된 『해국도지』를 분석한 글과 동아시아에서 근대적인 영해 개념을 인식한 시기는 과연 언제부터인지, 특히 ‘해권’이라는 말에 착목하여 영해주권과 해양권익이라는 개념의 수용과 관련 논의들에 대해 분석한 글을 실었다. 또한 일본의 패망을 해양질서의 형성과 연결시켜 그 과정이 국가라기보다 지역 혹은 해역이라는 관점에서 정립된다고 주장하는 글과 한국전쟁을 통해 동북아해역에 유엔군이라는 세력이 등장하고, 이곳이 세계의 해역에 포섭된다고 하는 글을 포함한다.

제2부 ‘전쟁 속의 동북아해역’에서는 전쟁에서 국민 혹은 지역민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본다. 일본군이 러시아에 대한 간섭전쟁을 일으킨 시기에 시베리아에 거주하고 있던 일본인 성매매직업 여성이었던 가라유키상의 집단 죽음에 대해 분석한 글과 오키나와 주민들이 전쟁 속에서 어떠한 차별과 갈등을 겪었는지 언어정책을 매개로 해석한 글 그리고 냉전시기 일본의 출입국 관리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북아해역에서 이동과 이주, 밀항, 외국인등록령, 외국인 이민과 국적법 적용 과정을 풀어낸 글, 부산으로 피난 온 사람들의 가족 찾기 공간이 되었던 점바치 골목을 영도대교와 함께 전쟁과 이산의 상징적 장소로 설명한 글을 실었다. 또한 중국과 대만 양안관계의 첨병인 금문도를 대상으로 이곳에 사는 주민들의 상황을 통해 이들이 당하는 신체적, 정신적 군사화에 대해 분석한 글도 포함한다.

제3부 ‘동북아해역과 냉전’에서는 동북아해역을 둘러싼 각 국가들이 냉전시기를 어떻게 대처해왔는지 보여준다. 한국인의 밀항자 석방 청원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밀항자가 냉전과 어떻게 교차되어 왔는지 살펴본 글과 대만과 중국의 냉전에 따른 갈등을 대만해협을 주제로 풀어낸 글 그리고 중국이 냉전시기 국제사회와 어떻게 교류했는지를 상해의 국제선원클럽을 통해 분석한 글을 모았다.

전쟁은 해역을 통해 시작되었고, 냉전도 해역을 통해 시작되었다. 동북아해역의 각 국가들은 전쟁의 시대가 지나고 냉전의 시대로 전환되었지만, 냉전의 시대는 전쟁시기보다 더 뜨거운 열전의 시대를 맞이해야 했다. 육지에서는 교류의 문이 닫혔지만, 해역에서는 교류와 열전이 동시에 발생했다. 그런 점에서 근대 동아시아의 전쟁을 동북아해역을 중심으로 살필 때 종래의 육지와 국가 중심의 시각과는 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목차

발간사 3
책머리에 6

제1부 근대 동아시아의 전쟁

서광덕 해외 여행기에 나타난 해양 문명『해국도지海國圖志』의 서술 시각을 중심으로 17
1. 들어가며 17
2. 근대 동아시아의 전쟁과 바다 20
3. 『해국도지』의 구성과 의미 27
4. 나가며 46

오타 이즈루 근현대 중국과 머핸의 ‘해권海權’론 49
1. 시작하며-문제의 소재 49
2. ‘해권’에 눈뜸-량치차오梁啓超와 머핸의 『해상권력사海上權力史』 58
3. 청말의 ‘해권’론과 ‘영해領海’ 71
4. 중화민국 시기에 있어서 머핸 ‘해권’론의 침투 83
5. 마치면서-중국 공산당과 머핸의 ‘해권’론 93

허원영 중일 해양 분쟁의 냉전적 변용, 1952~1972‘열전’ 이후의 바다에서 ‘냉전’의 섬으로 100
1. 동중국해 해양 분쟁의 역사성 100
2. 냉전 초기 동중국해의 해양 분쟁 양상 103
3. 열전과 냉전 사이의 동중국해 117
4. ‘영유권’을 넘어서 ‘해역’의 질서로 130

김윤미 한국전쟁기 유엔군의 원산 상륙작전과 철수작전을 통해 본 해상수송 135
1. 유엔군의 해상작전과 해군조직 138
2. 원산의 지정학적 의미와 상륙작전 144
3. 철수작전과 해상봉쇄작전 154
4. 한국전쟁에서 해상수송의 역할 160

제2부 전쟁 속의 동북아해역

다케모토 니이나 시베리아 지역 ‘가라유키상からゆきさん’과 현지의 인적 연계니항사건 ‘순난자’ 재고 167
1. 들어가며 167
2. 시베리아 지역과 일본인, 그리고 ‘가라유키상’ 170
3. 현지 ‘가라유키상’의 인간 관계 174
4. 니항사건과 순난비 176
5. 나가며 182

양민호 오키나와 전투와 방언 논쟁에 관하여차별과 갈등의 관점에서 186
1. 들어가며 186
2. 오키나와 방언 논쟁의 시작 188
3. 방언 표찰의 유래 190
4. 오키나와 전투의 발발 196
5. 오키나와 전투 속 방언에 대한 차별의식 199
6. 나오며 201

박사라 일본 출입국 관리체제의 성립과정역사적ㆍ국제적 비교를 통해 204
1. 문제의식과 제기 204
2. ‘입국체제’에 대한 비판-1960년대 말에서 1980년대 207
3. 일본 연구ㆍ출입국관리사 연구-2000년대 214
4. 나가며 220

김경아 한국전쟁 후 영도대교의 장소성과 점바치골목 형성의 사회적 의미1950~60년대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225
1. 영도대교의 건설 225
2. 피난민의 남하와 영도대교의 장소성 228
3. 점바치골목의 형성과 그 사회적 의미 239
4. 철거된 점바치골목과 향후 과제 249

우쥔팡 분열과 심리전전쟁 중 양안兩岸 어민의 군사화 254
1. 양안전쟁과 분단 254
2. 냉전시기 진먼섬과 마쭈섬 어민들의 생활변화 259
3. 냉전시기 진먼 전선의 심리전 작업 266
4. 나오며 273

제3부 동북아해역과 냉전

최민경 냉전의 바다를 건넌다는 것한인 ‘밀항자’ 석방 탄원서에 주목하여 279
1. 들어가며 279
2. 냉전과 교차하는 밀항의 이해 281
3. ‘밀항’의 실태와 ‘불법’의 단속 285
4. 탄원서에 나타난 ‘밀항’의 정치사회적 맥락 291
5. 나가며 300

이가영 대만해협과 심리전냉전시기 중국과 대만의 삐라 304
1. 대만해협에서의 심리전과 삐라 306
2. 중국에서 대만으로 보낸 삐라 315
3. 대만에서 중국으로 보낸 삐라 325
4. 중국과 대만의 삐라, 그리고 심리전 341

류샤오천 사회주의 항구의 쇼윈도냉전시대 상하이국제선원클럽(1950~1986) 345
1. 상하이 선원클럽의 설립 및 설립 목적 348
2. 상하이국제선원클럽의 성격과 특징 355
3. 모순과 충돌-상하이국제선원클럽 운영 중 나타난 문제점 359
4. 선원클럽 성격전환의 어려움 367
5. 나오며 370

초출일람 375
필자 소개 377
 
 

저자 소개

저 : 서광덕 (徐光德)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 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ㆍ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루쉰과 동아시아 근대』(2018), 『중국 현대문학과의 만남』(공저, 2006), 『동북아해역과 인문학』(공저, 2020) 등이 있고, 역서로는 『루쉰』(2003), 『일본과 아시아』(공역, 2004), 『중국의 충격』(공역, 2009), 『수사라는 사상』(공역, 2013), 『아시아의 표해록』(공역, 2020) 등이 있으며,...

저 : 오타 이즈루 (Ota Izuru,太田出)

 
교토(京都)대학 대학원 인간ㆍ환경학 연구과(人間ㆍ環境學?究科) 교수. 역사학 전공으로 세부 전공은 중국 근세사~현대사, 타이완 현대사, 일중 전쟁사 등이며, 최근에는 중국법제사, 중국 농촌 필드 워크 외에 중국 해양 전략사(戰略史) 및 일중 전쟁사 등의 연구에도 착수하고 있다. 단독 저서인 『중국 근세의 죄와 벌(中國近世の罪と罰)』(名古屋大學出版會, 2015), 『관우와 영이 전설-청조기의 유라시아 세계와 제국 ...
 
저 : 허원영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강사. 전공 분야는 일본외교, 동아시아 국제관계, 국제관계론이며, 동북아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를 포괄하는 ‘트랜스-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일본과 한국의 대외원조를 분석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전후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경제협력과 문화외교-‘경제지배’ 이미지의 대응 수단으로서의 소프트 파워」(『일본학』 제54집, 2021),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ICT ODA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