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기독교신학 (연구>책소개)/2.신학일반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 (2021)

동방박사님 2024. 6. 1. 08:22
728x90

책소개

동양적 역의 신학은 전통적인 서구신학과 상생을 모색한다

기독교의 중심적인 교리 가운데 하나인 ‘삼위일체’를 역(易)으로 설명했다고 한다면 전통적인 신앙에 젖어있는 교인들은 대다수가 선을 긋거나, 거부감까지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저자가 서 있는 위치는 지극히 전통적이어서 다른 관점에서 삼위일체를 봤다.

이 책은 하나님의 실체에 대해서는 인간 이성이 극복할 수 없는 한계를 철저하게 인식하고 그것을 신비의 영역으로 남겨 둔다. 나아가 그런 이유로 이 책은 규정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실체와 속성에 대해 확증적으로 진술하는 것을 거부한다. 오히려 신학의 기반이 되는 ‘신 이해’ 대신에 삶의 정황 속에서 한 인격이 가진 하나님 체험을 강조한다. 개신교적이며 복음적이라는 사실을 기반하지만, 관점이 약간 다른 책이다.

저자가 역을 통해서 ‘삼위일체’를 설명하려는 이유는 분명하다. 그것을 저자는 세계인의 신앙인 기독교를 서양과 동양, 두 곳 모두의 해석이 요구된다고 천명한다. 미국에 터전을 두고 학문을 전개해온 저자는 그것을 절실하게 느꼈다고 술회한다. 그는 신앙이 문화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인데, 아시아 문화가 미국인의 삶의 일부가 되었고 신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는 까닭에, 미국에서 기독교 신학이 동양적 사고를 통해서 이해되는 바가 없다면 그 신학은 절름발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는 말한다. “이것은 바로 내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인 신의 삼위일체성을 동양적 사고에서 다시 해석하고자 하는 바로 그 이유인 것이다. 미국에서 아시아인이 살아가는 것이 미국을 풍요롭게 하듯이, 신학에서 동양적 사고는 기독교 신앙의 전통적 해석을 풍요롭게 해줄 것이라고 믿는다.”

저자는 이렇게 전통적인 삼위일체 신학을 역의 신학으로 대체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모색을 통해서 역의 신학과 전통 신학 양자를 상생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동양적 사유를 통해서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을 더 풍요롭게 하려고 한다는 데 이 책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목차

차례

한국어판 인사말
추천의 글
감사의 글

1장 │머리글

시작하기 전에 몇 마디
신학의 기본적 전제들과 올바른 과제
삶의 정황 인식
삼위일체 신관에 대한 한 동양적인 정황적 접근

2장 │음양의 상징적 사유: 동양적 시각

음양적 사고방식을 다시 발견하게 되기까지 내 삶의 여정
음양 상징론의 기원과 의미
동양문명에서 음양 상징적 사고

3장 │삼위일체적 사고

들어가면서 몇 마디
삼위일체적 사고로서의 음양의 상징적 사고
삼위일체적 사고의 의미와 기독교 삼위일체를 다시 논의함

4장 │성자 하나님

들어가면서 몇 마디 107
성육신은 창조 안에서 삼위일체적 과정의 완성 109
삼위일체를 이해하는 열쇠인 아들의 두 가지 성품 113
남성이며 여성인, 개인성과 공동체성인 성자 120
삼위일체적 행위들인 죽음과 부활 127
삼위일체적 과정을 통한 구원
신의 고통과 사람의 삼위일체적 자리

5장 │성령 하나님

들어가면서 몇 마디
기氣, 물질적 원리의 생명 에너지
기氣와 악령들
삼위일체적 모성, 삼위일체의 여성 성원
삼위일체적 공동체의 통합적 성원
삼위일체적 삶의 변화시키는 힘
성령의 삼위일체적 기능: 신비와 기적 그리고 엑스타시
결론으로 몇 마디

6장 │성부 하나님

들어가면서 몇 마디
신의 삼위일체에서 성부의 탁월성
형이상학적인 원칙인 리理
하늘의 원리, 도덕적 영적 원리
삼위일체의 남성 성원
창조성의 원천
삼위일체의 통일원리
결론으로 몇 마디

7장 │신의 삼위일체 서열

들어가면서 몇 마디
성부, 성령, 성자
성부, 성자, 성령
성령, 성부, 성자
성령, 성자, 성부
성자, 성부, 성령
성자, 성령, 성부
삼위일체적 서열들의 상호관련성

8장 │삼위일체적인 삶

들어가면서 몇 마디
삼위일체적 교회 생활
삼위일체적 가정생활
세계 속의 삼위일체적 생활

9장 │결론

부록 │세계 속에 꽃피운 한국문화의 한 예인
: 이정용 박사의 신학과 사상 / 찰스 코트니

저자 소개

저 : 이정용
1935년 평남 출생. 한국동란 직후 도미하여 오하이오 핀들레이 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한 후 개럿 신학교에서 신학석사를, 보스턴 대학원에서 신학박사를 받았다. 1963~64년 흑인대학인 하워드 대학의 전문사서로 근무하면서 흑인민권운동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농촌목회자 평생교육을 위한 재단(Fun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Korean Ministers)을 설립하여 농촌목회자들을 돕기 위해 헌신...

역 : 임찬순

감리교의 텃밭인 충청도 당진 출생으로 한국적 신앙과 신학의 길을 통해 지구촌 시대의 기독교와 하나님을 찾아가는 여정을 걷고 있다. 한반도에 심기운 기독교적 영성과 함께 자랐고, 서울대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철학과 종교학을 공부하고 벨기에 루뱅대학교 연수를 거쳐, 미국 뉴저지 드루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석사(M Div)와 철학박사(PhD) 학위를 마쳤다. 현재는 텍사스 알링턴에 있는 언약 미연합감리교회(UMC ...

책 속으로

동양적 접근이 의미 있는 것은 내가 동양인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동양적 정황이 미국이나 유럽적 상황과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서양의 문화적 역사적 정황은 동양과는 매우 다르고 서로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차이들은 상호 대립을 만들어낸다기보다는 상호 완성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이런 정황의 차이는 기독교 신앙을 “통째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 먼저, 아시아는 문화적 그리고 종족적으로 다른 수많은 집단들이 같이 살아가는 거대한 대륙이다. 물론 힌두교, 불교, 유교, 도교, 신도, 무교 등 종교도 수없이 많다. 대부분 현재에 살아 있는 종교들은 아시아에서 생겨났다. 심지어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까지도 동양 종교로 이해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종교들이 아시아의 한 부분인 중동지방에서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동양적 시각(Asian perspective)라고 말하는 것을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시아에서 문화적 종교적 그리고 종족적 다양한 경향성 때문에, 저자의 시각을 동아시아적 정황에 국한시키기로 결심했다. 동아시아라고 하면, 중국, 일본, 한국의 전통들을 포괄한다. 이 세 나라는 모두 다 그들의 민족적 혹은 문화적 특수성들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은 유교, 도교, 불교, 무교 등을 공통된 종교로 공유하고 있다. 상고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 문명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국과 비슷한 세계관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중국적 문화 전통으로부터 동아시아의 전통적 세계관을 추적하고자 한다.

희랍적 세계관이 삼위일체 신관이라는 교리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듯이, 서양적 세계관과는 확연히 다른 동아시아의 세계관에 우리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달리 말하면, 삼위일체 신관을 다시 생각하고 다시 새롭게 하는 근거로서 동양적 세계관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자 하는 것이다.
---「1장 “머리글”」중에서

세계 속에서 모든 것이 음양의 상징이란 개념으로 표현될 수 있다면, 세계 속에 일어나는 모든 일은 삼위일체적 행위들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생각은 동양의 삼위일체 개념인 하늘과 땅과 사람에서 시작해 볼 수 있다. 전체의 우주적 과정은 이 우주적 삼위일체의 활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우주적 삼위일체를 잘 표현한 것으로서는 장재의 『서명』(西銘, Western Inscription)에 잘 나타나 있다. “건(乾)은 아비요 곤(坤)은 어미. 우리 작은 이들은 그들 가운데 함께 들어 있어. 허, 난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실재일 뿐. 내 품성은 하늘, 땅의 뜻에 따라야. 모든 이는 피나눈 형제, 만물은 모두 동료인걸.” 이것은 중국의 삼위일체로 동양적 삼위일체로 널리 알려졌다.

왜냐하면 이것은 모든 우주적 현상에 대한 동양적 이해에 있어서 가장 본질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늘, 땅, 사람은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요약이요 총체이다. 하늘은 아비, 땅은 어미, 사람은 그들의 자녀로 형제, 자매요 그리고 다른 모든 창조물들은 동료요 우주 가족의 일원들인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나에게 있어서는 하나님의 가계, 즉 에큐메네(oicumene)라는 기독교의 기본적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우주를 인격화해서 가족적 상징을 사용한 것은 기독교의 삼위일체 개념 성부, 성령, 성자에 매우 근접해 있다. 성부는 하늘의 영역에 연결되고 그래서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고 불리는 것이다. 성령은 보존자(sustainer)로 땅에 연결되고 여성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모성의 상징인 것이다. 성자는 자녀 혹은 사람들과 연결되며, 부모에 의해서 낳아지는 것이다. 이것은 기독교의 삼위일체와 동양적 삼위일체의 모델을 연결시키는 데 매우 유용한 패러다임의 하나가 아닐 수 없다.
---「3장_ “삼위일체적 사고”」중에서

솥은 어머니에게 속하는 또 하나의 상징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어머니는 가족들을 위해서 음식을 준비하는 것을 책임진다. 솥은 요리를 위해서 쓰이며, 영양을 공급하는 상징이다. 여기에서 솥은 영적인 자양분을 섭취하는 것의 이미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실상 기인 성령은 물질적 원리의 생명성이다. 영혼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것은 몸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순수하게 음식을 영적으로만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다. 영은 물질과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상, 현대의 조류는 성령을 보다 물질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선호한다. 성령인 하나님은 밥이다.

김지하가 말한 대로, “하나님은 밥이다.” 음식은 영적인 그리고 물질적 생명의 원천이다. “이 빵(음식)은 너를 위해 주는 바 나의 몸이다”(고전 11:24). 그러므로 솥은 음식의 상징이고, 나무, 풀, 동물, 인간과 다른 사물들의 생명의 원천인 것이다. 음식은 솥에서 요리되기 때문에, 이 솥은 모든 사물들을 위해 자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성령의 물활론적 그리고 자양분을 공급하는 능력은 솥 안에서 상징화되는 것이다.
---「5장_ “성령 하나님”」중에서

내게 첫째로 떠오르는 질문은 “변화”(역)이라는 용어의 상태에 관한 것이다. 이정용은 역을 형이상학적 상징이라고 말했고 이것은 또한 “있음 자체”라는 비상징적인 개념과 서로 바꿔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역은 상징적인가 비상징적인가? 틸리히는 그의 신학적 체계의 성공이란 이런 질문들을 명료화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이정용에게도 똑같이 묻는 것이 정당한가 그렇지 않은가? 아마도 역의 신학에서 두 구절을 인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이정용은, “되어감의 창조적 과정이 변화나 도에서 궁극적으로 표현되는데, ‘있음 자체’의 비상징적 개념으로 가장 잘 표현된다고 했다. 달리 말하면, 도나, (니구나) 브라만, 니르바나, 혹은 야훼로 알려진 있음 자체는 변화 자체인데, 왜냐하면 도와 변화는 같기 때문이다. 있음의 비상징적 언명은 의미있는 변화로 이해될 때만 의미가 있다”(41)고 말한다.

나는 여기에서 상징적인 것과 비상징적인 것 사이보다 더욱 미묘한 차이의 인자를 발견하게 된다. 틸리히는 비상징적인 것과 개념적인 것은 하나의 의미로 일치하고, 상징적인 것과 형이상학적인 것은 다양한 목소리처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짝지었다. 그러나 이정용은 있음으로서 하나님은 이름 같은 목록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이름 자체에는 어떤 인식적 내용이 없고, 그것이 단어의 충일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다른 표현들로 보충대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제안은 이정용이 쉽게 여러 전통들의 기본 개념들(도, 니구나[속성이 없는] 브라만, 니르바나, 야훼)의 표로 쉽게 이동하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말하자면, 있음을 말하고 변화를 말하는 것은 다른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있음의 의미를 정교화하거나 말하기 시작하는 것, 즉 “의미있게 만드는 것”이지 다른 것이 아니다. 이런 언급들은 너무 현묘한듯 하기도 하다. 그러나 이것들은 이정용이 어떻게 사고하는지에 대한 복합성을 보여주는 나의 초점이기도 하다.

그는 서구의 사상가들이 수세기에 걸쳐서 고심했던 문제를 발견했다. 즉 하나님에 관해서 의미있게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동양에서 어떤 자료들을 가져오기를 시도했다. 그의 노력은 그의 제안에 동의하거나 의견을 달리 하는 지점들을 구별해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그리고 너무 쉽게 같거나 다르다고 주장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스러운지를 보여준다.
---「부록_ “세계 속에 꽃피운 한국문화의 한 예인”」중에서

출판사 리뷰

동아시아 사유의 틀에서 전개된 신학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는 동아시아 사유방식을 통해서 신학을 전개하고 있다. 이정용 선생님에게 음양 사유방식은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신플라톤주의나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아리스토텔레스 사상과 같은 위상을 점하고 있다. 단순히 동서양을 비교한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 사유방식을 신학적 틀로 삼아 ‘삼위일체’라는 신학 주제를 다룬 것이다. 주변에 있는 대다수의 신학 책들이 서구 사상의 틀과 논리, 용어와 개념으로 채색되어 있다. 이와 달리 이 책은 이렇게 동아시아 사유의 틀에서 신학 주제를 다루고 있다. 서구신학 전통으로부터 자유로운 토착화신학 작업을 올곧게 수행하고 있다.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는 신학 주제로서 ‘삼위일체’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 동아시아 사유방식에서 신학을 전개하는 데 관심을 갖는 사람들, 토착화신학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이 책을 손에 쥐는 순간 무엇보다도 “신학이 무엇인지” 또는 “신학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다시 성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신재식, “추천의 글” 중에서

이 책의 구성과 주요 논점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장에서 3장까지는 서론적 부분으로서 연구의 타당성과 신학적 가치 등을 논한다. 그리고 주나라 역부터 시작해서 중국 역사 속의 역과 음양이론에 대한 개괄적 검토를 시도한다. 제자백가 시대의 음양가부터 도가, 신유가, 도교, 방술까지 영어권에 살았던 학자가 어떻게 동양학에 대해 이리도 방대하고 정치한 지적 축적을 할 수 있었는지 의아할 뿐이다. 마지막 3장은 현대 신학, 물리학 등과 음양적 사고를 대비시키면서 모퉁이성(marginality), liminality(연접성), in-betweeness(사이 안) 등 삼위일체적 사고를 특정한다.

중심이 되는 4장부터 7장은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 성부 하나님 그리고 신적 위계를 차례로 다룬다. 음양의 상징을 통해 신성과 인성, 부활과 죽음, 고통과 사랑, 주인됨과 종됨의 이원적 관계를 성자를 통해 풀어낸다. 성령은 성부와 상생하는 여성적 원리로서 자유케 하는 능력을 강조하며, 성부는 창조론적 관점에서 다루어진다.

가장 중요한 부분인 7장은 전통적인 성부-성자-성령의 신적 위계를 장횡거(張橫渠)의 『서명』에 착안해 여섯 가지 관계유형으로 제시한다. 마지막 부분인 8장은 신학교로 자리를 옮긴 후 그분의 저작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목사로서 이정용의 교회 공동체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랑을 보여준다. 삼위일체적 삶을 교회 공동체 생활과 가정생활을 통해 제시한다.
- 이충범, “추천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