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간행사
동아시아 실학의 개념정립을 위하여|임형택
1. '동아시아 실학'이란 개념문제
2.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역사적 의미의 실학의 기원
3. 동아시아 실학의 범위, 그 중심과 외연
4. 맺음말
磻溪 柳馨遠의 變法論的 實學風|김태영
1. 머리말
2. 반계의 실리론
3. 반계에서 조선 실학의 탄생
4. 반계의 현실 개혁 구상
5. 반계 실학의 변법론
6. 반계 실학의 특성과 의미
시대는 동아시아의 '新實學'을 부르고 있다|葛-晋
1. 머리말
2. '신실학' 구축의 방법
3. '신실학' 구축을 위한 원칙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오가와 하루히사
1. 前言
2. 전근대(근대이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3. 實心實學의 實心은 왜 중요할까
4. 結語
실천 윤리학과 실학 : 도덕수양에 대한 다산의 접근|Don Baker
丁若鏞 四書詮釋의 체계와 그 의의|蔡振豊
1. 동아시아 朱熹四書學의 전개
2. 동아시아 朱熹四書學의 전환
3. 茶山 四書學의 발생 의의
4. 다산이 스스로 체계를 세운 四書學
5. 맺음말: 동아시아 四書學에서 茶山 四書學의 의의
實學에서의 漢詩, 漢詩에서의 實學 - 그 시각과 연구방법|진재교
1. 머리말
2. 한문학과 실학의 접속, 그 메신저 '현실'
3. 실학의 관점으로 본 한시
4. 한시의 관점으로 본 실학
5. 맺음말
제10회 東아시아 實學 국제학술회의 종합토론 녹취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동아시아 실학의 개념정립을 위하여|임형택
1. '동아시아 실학'이란 개념문제
2.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역사적 의미의 실학의 기원
3. 동아시아 실학의 범위, 그 중심과 외연
4. 맺음말
磻溪 柳馨遠의 變法論的 實學風|김태영
1. 머리말
2. 반계의 실리론
3. 반계에서 조선 실학의 탄생
4. 반계의 현실 개혁 구상
5. 반계 실학의 변법론
6. 반계 실학의 특성과 의미
시대는 동아시아의 '新實學'을 부르고 있다|葛-晋
1. 머리말
2. '신실학' 구축의 방법
3. '신실학' 구축을 위한 원칙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오가와 하루히사
1. 前言
2. 전근대(근대이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3. 實心實學의 實心은 왜 중요할까
4. 結語
실천 윤리학과 실학 : 도덕수양에 대한 다산의 접근|Don Baker
丁若鏞 四書詮釋의 체계와 그 의의|蔡振豊
1. 동아시아 朱熹四書學의 전개
2. 동아시아 朱熹四書學의 전환
3. 茶山 四書學의 발생 의의
4. 다산이 스스로 체계를 세운 四書學
5. 맺음말: 동아시아 四書學에서 茶山 四書學의 의의
實學에서의 漢詩, 漢詩에서의 實學 - 그 시각과 연구방법|진재교
1. 머리말
2. 한문학과 실학의 접속, 그 메신저 '현실'
3. 실학의 관점으로 본 한시
4. 한시의 관점으로 본 실학
5. 맺음말
제10회 東아시아 實學 국제학술회의 종합토론 녹취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목차
간행사
성호 이익-냉정한 우호의 정치학|김대중
1. 실학 연구와 '타자'의 문제
2. 타자에 대한 성호의 인식과 태도
3. '자기반성적 관계'로서의 '냉정한 우호'
4. 전쟁과 보복에 대한 성호의 입장
5. 성호 정치학의 전망
星湖 李瀷의 퇴계와 영남에 대한 관심-權相一과의 편지를 중심으로|安秉杰
1. 머리말
2. 영남에 대한 관심
3. 『퇴계집』의 궐오, 문인록 편찬
4. 퇴계 그리고 영남 사풍에 대하여
5. 영남 선비들에 대한 기대
6. 사칠설을 둘러싼 이견
7. 맺음말
연암문학의 발견과 실학의 지적 상상력|송혁기
1. 19세기의 연암, 20세기의 연암
2. 문집 간행과 연암문학의 현양
3. 개화와 계몽의 텍스트로 연암읽기
4. 조선학운동과 민족적 자아 찾기로서의 고전 연구
5. 사회모순의 현실주의적 형상화로 읽는 연암문학
6. 結: 지적 상상력으로서의 실학
茶山 丁若鏞의 天道觀과 18~19세기 한국실학의 형이상학|姜日天
1. 序
2. 시대와 사명
3. 氣, 然, 公, 帝의 네 가지 天道
4. 茶山 天道觀과 18~19세기 조선후기 실학의 특색
5. 맺음말
히로세 탄소와 丁茶山 - 以心制心' '以禮制心' '以天制心'|코지마 야스노리
1. 들어가는 말
2. '心法'에서 '禮樂'으로 - 소라이학의 등장과 18세기 일본의 사상 동향
3. 문화적 禮儀作法으로서의 '禮樂'
4. 心法論에 대한 정다산의 자세
5. 다산의 '禮'와 '心'
6. 히로세 탄소의 '敬天'사상-'天'과 '心'
7. 결론을 대신하여
「擬上經界策」에 나타난 서유구의 지역인식|김문식
1. 머리말
2. 中國 : 농정의 모범 지역
3. 京師 : 농정의 주도 및 시험 지역
4. 八道 : 농정의 시행 지역
5. 四郡六鎭 島嶼 : 국토방위 지역
6. 맺음말
白雲 沈大允의 근대성 사유체계 일고찰 - 19세기 실학 정신과 근대성과의 관련성 파악을 중심으로|張炳漢
1. 머리말
2. 19세기 실학적 사유체계의 학적 배경
3. 실학적 사유체계의 전개 양상
4. 맺음말
明淸시기의 經世實學 사조와 사회비판 사조를 논하다|天杰
1. 程朱理學의 쇠퇴와 두 갈래 사조의 흥기
2. 理學에서 性命·性理를 空論하는 데 대하여 공격하고 實學·實行·實用을 숭상하고 제창하다
3. "經學을 버리고 理學은 없다"는 학풍의 점차적인 변화·발전과 학술상의 방향전환
4. 西學東漸과 자연과학사상의 부활
5. 봉건군주 전제제도를 비판하고 人性 자유와 사상 해방을 높이 외치다
『周算經』과 西學中源說 - 명말 서학수용 이후 『주비산경』독법의 변화를 중심으로|안대옥
1. 머리말
2. 『周?算經)』前史
3. 李之藻의 『渾蓋通憲圖說』과 地圓說
4. 梅文鼎의 『曆學疑問補』와 西學中源說
5. 맺음말
나카에 토쥬와 구마자와 반잔의 실학 - 일본에서의 修己治人의 원형|오하시 겐지
1. 정치와 '실학'
2. 구도와 절망
3. 구도와 빈궁
4. 수기와 '효'
5. 수기치인의 일체적 파악과 '태허'
6. '허학'의 재평가
가츠 가이슈의 동아시아 인식과 "文明開化"觀|벳쇼 코이치
1. 가츠 가이슈의 사상 형성과 실학관
2. 가이슈의 아시아 인식
3. 가이슈의 '문명개화'관
참고문헌
찾아보기
성호 이익-냉정한 우호의 정치학|김대중
1. 실학 연구와 '타자'의 문제
2. 타자에 대한 성호의 인식과 태도
3. '자기반성적 관계'로서의 '냉정한 우호'
4. 전쟁과 보복에 대한 성호의 입장
5. 성호 정치학의 전망
星湖 李瀷의 퇴계와 영남에 대한 관심-權相一과의 편지를 중심으로|安秉杰
1. 머리말
2. 영남에 대한 관심
3. 『퇴계집』의 궐오, 문인록 편찬
4. 퇴계 그리고 영남 사풍에 대하여
5. 영남 선비들에 대한 기대
6. 사칠설을 둘러싼 이견
7. 맺음말
연암문학의 발견과 실학의 지적 상상력|송혁기
1. 19세기의 연암, 20세기의 연암
2. 문집 간행과 연암문학의 현양
3. 개화와 계몽의 텍스트로 연암읽기
4. 조선학운동과 민족적 자아 찾기로서의 고전 연구
5. 사회모순의 현실주의적 형상화로 읽는 연암문학
6. 結: 지적 상상력으로서의 실학
茶山 丁若鏞의 天道觀과 18~19세기 한국실학의 형이상학|姜日天
1. 序
2. 시대와 사명
3. 氣, 然, 公, 帝의 네 가지 天道
4. 茶山 天道觀과 18~19세기 조선후기 실학의 특색
5. 맺음말
히로세 탄소와 丁茶山 - 以心制心' '以禮制心' '以天制心'|코지마 야스노리
1. 들어가는 말
2. '心法'에서 '禮樂'으로 - 소라이학의 등장과 18세기 일본의 사상 동향
3. 문화적 禮儀作法으로서의 '禮樂'
4. 心法論에 대한 정다산의 자세
5. 다산의 '禮'와 '心'
6. 히로세 탄소의 '敬天'사상-'天'과 '心'
7. 결론을 대신하여
「擬上經界策」에 나타난 서유구의 지역인식|김문식
1. 머리말
2. 中國 : 농정의 모범 지역
3. 京師 : 농정의 주도 및 시험 지역
4. 八道 : 농정의 시행 지역
5. 四郡六鎭 島嶼 : 국토방위 지역
6. 맺음말
白雲 沈大允의 근대성 사유체계 일고찰 - 19세기 실학 정신과 근대성과의 관련성 파악을 중심으로|張炳漢
1. 머리말
2. 19세기 실학적 사유체계의 학적 배경
3. 실학적 사유체계의 전개 양상
4. 맺음말
明淸시기의 經世實學 사조와 사회비판 사조를 논하다|天杰
1. 程朱理學의 쇠퇴와 두 갈래 사조의 흥기
2. 理學에서 性命·性理를 空論하는 데 대하여 공격하고 實學·實行·實用을 숭상하고 제창하다
3. "經學을 버리고 理學은 없다"는 학풍의 점차적인 변화·발전과 학술상의 방향전환
4. 西學東漸과 자연과학사상의 부활
5. 봉건군주 전제제도를 비판하고 人性 자유와 사상 해방을 높이 외치다
『周算經』과 西學中源說 - 명말 서학수용 이후 『주비산경』독법의 변화를 중심으로|안대옥
1. 머리말
2. 『周?算經)』前史
3. 李之藻의 『渾蓋通憲圖說』과 地圓說
4. 梅文鼎의 『曆學疑問補』와 西學中源說
5. 맺음말
나카에 토쥬와 구마자와 반잔의 실학 - 일본에서의 修己治人의 원형|오하시 겐지
1. 정치와 '실학'
2. 구도와 절망
3. 구도와 빈궁
4. 수기와 '효'
5. 수기치인의 일체적 파악과 '태허'
6. '허학'의 재평가
가츠 가이슈의 동아시아 인식과 "文明開化"觀|벳쇼 코이치
1. 가츠 가이슈의 사상 형성과 실학관
2. 가이슈의 아시아 인식
3. 가이슈의 '문명개화'관
참고문헌
찾아보기
'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2.한국철학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교신의 철학 (2013) - 사랑과 여흥 (0) | 2024.06.29 |
---|---|
연암 박지원 연구 (2012) (0) | 2024.06.22 |
환재 박규수 연구 (2018) - 실학 (0) | 2024.06.22 |
환재 박규수 연구 (2008) - 실학 (0) | 2024.06.22 |
정감록과 격암유록 (2021)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