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동아시아 불교사를 상호연관지어 통합적으로 서술한 최초의 개설서!
그동안 동아시아 불교 혹은 동아시아 불교사라는 이름을 한 서술이 여러 종류 있었지만 모두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사)를 따로따로 서술하는 데 그쳤고, 이들을 하나로 체계화하여 통합적으로 서술한 것은 볼 수 없었다. 이번에 출간되는 이시에 코세이 교수의 『동아시아 불교사』는 실질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사를 각 나라별이 아닌 상호연관지어 통합적으로 서술한 최초의 개설서라 할 수 있으며,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모습을 이 정도로 자세하게 검토한 불교사 책은 이제까지 없었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이 책에서는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하면서도 그동안 동아시아 불교(사) 서술에서 간과되었던 베트남의 불교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도 최초의 온전한 동아시아 불교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이시이 코세이 교수는 동아시아 화엄종 및 선종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비롯하여 문학 및 음악 등의 공연예술에 미친 불교의 영향, 근대화 이후 불교의 변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동아시아 사회에 미친 불교의 역할을 폭넓게 탐구해왔으며, 한국과 베트남 불교에 대한 일본 학계의 대표적인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폭넓은 지식과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를 개별 국가의 불교가 아닌 긴밀하게 연결된 체계로 이해하려는 관점으로 정리된 개설서로서 불교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전통 문화의 형성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불교 수용과 발전과정을 각국 불교의 긴밀한 상호 영향 속에서 서술하고 있는 이 『동아시아 불교사』는 우리 사회의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를 포함한 전통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나아가 이웃 나라들과의 상호 이해와 협력에 적지 않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동안 동아시아 불교 혹은 동아시아 불교사라는 이름을 한 서술이 여러 종류 있었지만 모두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사)를 따로따로 서술하는 데 그쳤고, 이들을 하나로 체계화하여 통합적으로 서술한 것은 볼 수 없었다. 이번에 출간되는 이시에 코세이 교수의 『동아시아 불교사』는 실질적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사를 각 나라별이 아닌 상호연관지어 통합적으로 서술한 최초의 개설서라 할 수 있으며,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모습을 이 정도로 자세하게 검토한 불교사 책은 이제까지 없었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이 책에서는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하면서도 그동안 동아시아 불교(사) 서술에서 간과되었던 베트남의 불교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이런 측면에서도 최초의 온전한 동아시아 불교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이시이 코세이 교수는 동아시아 화엄종 및 선종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비롯하여 문학 및 음악 등의 공연예술에 미친 불교의 영향, 근대화 이후 불교의 변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동아시아 사회에 미친 불교의 역할을 폭넓게 탐구해왔으며, 한국과 베트남 불교에 대한 일본 학계의 대표적인 연구자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저자의 폭넓은 지식과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를 개별 국가의 불교가 아닌 긴밀하게 연결된 체계로 이해하려는 관점으로 정리된 개설서로서 불교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전통 문화의 형성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불교 수용과 발전과정을 각국 불교의 긴밀한 상호 영향 속에서 서술하고 있는 이 『동아시아 불교사』는 우리 사회의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를 포함한 전통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나아가 이웃 나라들과의 상호 이해와 협력에 적지 않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서장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동아시아 불교사
1. 석가모니관의 변화와 불교의 전파 모습
2. 한자문화권의 불교
3. 다른 문화와의 교섭
1 인도의 불교와 그 전파 양상
1. 불교의 탄생
2. 부처 입멸 이후의 승가
3. 꽃피는 대승불교
4. 대승사상의 전개
5. 서역과 남해루트
2 동아시아 불교의 맹아기
1. 중국으로의 불교 전래
2. 수용기의 중국불교
3. 구마라집에 의한 대승불교의 주류화
4. 『열반경』의 충격
3 폐불과 부흥
1. 반발의 고조
2. 북위의 폐불과 의경擬經
3. 부흥에서 번영으로
4. 남북조시대 후반기의 불교
4 중국불교의 확립과 주변국의 수용
1. 화북의 선종과 삼계교
2. 강남의 섭론·삼론학파와 천태종
3. 북주의 폐불과 수의 부흥
4. 주변국에서의 전개
5 당대唐代 불교의 전성
1. 당의 불교정책
2. 학파·종파의 성쇠
3. 선종의 발전
4. 당대 문화에 미친 영향
6 동아시아 불교의 정착
1. 베트남 지역의 선종 유행
2. 통일신라 불교의 융성
3. 일본의 수용과 종파 형성
7 선종의 주류화와 다양한 모습의 가마쿠라 불교
1. 북송·남송과 요·금
2. 베트남 불교의 독립
3. 고려의 불교
4. 일본의 불교융성
8 근세 동아시아 불교
1. 명청대의 쇠퇴와 부흥
2. 베트남
3. 조 선
4. 일본: 남북조에서 에도시대
마치며_근대불교로의 길
1. 석가모니관의 변화와 불교의 전파 모습
2. 한자문화권의 불교
3. 다른 문화와의 교섭
1 인도의 불교와 그 전파 양상
1. 불교의 탄생
2. 부처 입멸 이후의 승가
3. 꽃피는 대승불교
4. 대승사상의 전개
5. 서역과 남해루트
2 동아시아 불교의 맹아기
1. 중국으로의 불교 전래
2. 수용기의 중국불교
3. 구마라집에 의한 대승불교의 주류화
4. 『열반경』의 충격
3 폐불과 부흥
1. 반발의 고조
2. 북위의 폐불과 의경擬經
3. 부흥에서 번영으로
4. 남북조시대 후반기의 불교
4 중국불교의 확립과 주변국의 수용
1. 화북의 선종과 삼계교
2. 강남의 섭론·삼론학파와 천태종
3. 북주의 폐불과 수의 부흥
4. 주변국에서의 전개
5 당대唐代 불교의 전성
1. 당의 불교정책
2. 학파·종파의 성쇠
3. 선종의 발전
4. 당대 문화에 미친 영향
6 동아시아 불교의 정착
1. 베트남 지역의 선종 유행
2. 통일신라 불교의 융성
3. 일본의 수용과 종파 형성
7 선종의 주류화와 다양한 모습의 가마쿠라 불교
1. 북송·남송과 요·금
2. 베트남 불교의 독립
3. 고려의 불교
4. 일본의 불교융성
8 근세 동아시아 불교
1. 명청대의 쇠퇴와 부흥
2. 베트남
3. 조 선
4. 일본: 남북조에서 에도시대
마치며_근대불교로의 길
출판사 리뷰
인도에서 발원한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서역을 통해 중국 땅에 전해진 이후로, 때로는 충돌하고, 때로는 융합하며 고유성과 독자성을 갖추며 전개되었다. 동시에 그 가르침은 사방으로 퍼져나가 바다를 건너 한국과 일본으로, 또 남쪽을 향해 베트남까지 흘러들어갔고, 각각의 개성대로 다시 크고 작은 흐름을 이어갔다. 이것은 다시 서로 간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를 종횡하는 커다란 지류를 이루게 된다.
동아시아의 불교사를 균형 있게 통찰한 이 책에서는 이와 같은 동아시아 불교의 깊고 거대한 흐름이 너무 난해하지도, 그럼에도 결코 가볍지도 않게 소개되었다. 저자의 풍부한 식견을 바탕으로 고대부터 근세까지 전개되는 동아시아 불교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불교의 새로운 가르침을 마주할 뿐 아니라, 각 시대와 국가의 다양한 사상과 문화, 그리고 인물을 아우르는 풍부하고 생생한 이야기들을 함께 만나게 된다. 이것은 불교에 대한 이해가 곧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의 주요한 바탕임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동아시아의 불교사를 균형 있게 통찰한 이 책에서는 이와 같은 동아시아 불교의 깊고 거대한 흐름이 너무 난해하지도, 그럼에도 결코 가볍지도 않게 소개되었다. 저자의 풍부한 식견을 바탕으로 고대부터 근세까지 전개되는 동아시아 불교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불교의 새로운 가르침을 마주할 뿐 아니라, 각 시대와 국가의 다양한 사상과 문화, 그리고 인물을 아우르는 풍부하고 생생한 이야기들을 함께 만나게 된다. 이것은 불교에 대한 이해가 곧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의 주요한 바탕임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49.불교의 이해 (독서>책소개) > 1.불교입문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도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 (0) | 2022.09.02 |
---|---|
화엄사상의 연구 (0) | 2022.05.01 |
불교 문헌 속의 지옥과 아귀, 그리고 구제의식 (0) | 2022.05.01 |
일본의 종교문화와 비판불교 (0) | 2022.04.03 |
초기불교 : 붓다의 근본 가르침과 네 가지 쟁점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