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역사탐구] 135

[웹북] 고려 13대 국왕 / 선종 (재위: 1083~1094)

선종 / 宣宗고려 국왕재위 1083년 12월 12일 ~ 1094년 6월 23일 (양력)전임 순종후임 헌종 이름휘 왕운(王運), 왕증(王蒸), 왕기(王祈)별호 국원공(國原公)묘호 선종(宣宗)시호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능호 인릉(仁陵) 신상정보출생일 1049년년 10월 15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사망일 1094년 6월 23일(44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연영전부친 문종모친 인예태후 이씨형제자매 13남 7녀 중 차남배우자 사숙왕후 이씨, 정신현비 이씨자녀 2남 2녀 (4남 3녀)헌종, 한산후, 연화공주, 수안택주 선종 / 宣宗선종 왕운(宣宗, 1049년 10월 15일 (음력 9월 10일), 율리우스력 10월 9일 ~ 1094년 6월 23일 (음력 5월 2일), 율리우스력 6월 ..

[웹북] 고려 제12대 국왕 / 순종 (재위: 1083~1083)

순종 / 順宗고려 국왕재위 1083년 9월 8일 ~ 1083년 12월 11일 (양력)전임 문종후임 선종 고려국 왕태자재위 1054년 3월 26일1] ~ 1083년 9월 8일 (양력)전임 왕세자 흠 (덕종)후임 왕세자 욱 (헌종) 이름휘 왕훈(王勳), 왕휴(王烋)묘호 순종(順宗)시호 영명정헌선혜대왕(英明靖憲宣惠大王)능호 성릉(成陵) 신상정보출생일 1048년 1월 3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사망일 1083년 12월 11일(35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치상소부친 문종모친 인선왕후 이씨형제자매 13남 7녀 중 장남배우자 정의왕후 왕씨, 선희왕후 김씨, 장경궁주자녀 없음 고려국왕 순종순종(順宗, 1048년 1월 3일 (1047년 음력 12월 9일), 율리우스력 1047년 12월 28일 ~ 108..

[웹북] 고려 제11대 국왕 / 문종 (재위: 1046~1083)

문종 / 文宗고려 국왕재위 1046년 6월 30일 ~ 1083년 9월 8일 (양력)전임 정종후임 순종 이름휘 왕휘(王徽)별호 낙랑군(樂浪君)묘호 문종(文宗)시호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능호 경릉(景陵) 신상정보출생일 1020년 1월 4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안복궁사망일 1083년 9월 8일(63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중광전부친 현종모친 원혜왕후 김씨형제자매 6남 8녀 중 4남배우자 인평왕후 김씨, 인예왕후 이씨자녀 13남 2녀 (13남 7녀) 문종 (고려 11대국왕)문종(文宗, 1020년 1월 4일 (음력 12월 1일), 율리우스력 1019년 12월 29일 ~ 1083년 9월 8일 (음력 7월 18일), 율리우스력 9월 2일)은 고려의 제11대 국왕(재위 : 1046년 ..

[웹북] 고려 10대 국왕 / 정종 (재위: 1034~1046)

정종 / 靖宗고려 국왕재위 1034년 11월 6일 ~ 1046년 6월 30일 (양력)전임 덕종후임 문종 이름휘 왕형(王亨)별호 평양군(平壤君)묘호 정종(靖宗)시호 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弘孝安毅康獻英烈文敬容惠大王)능호 주릉(周陵) 신상정보출생일 1018년 9월 5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연경원사망일 1046년 6월 30일(27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법운사부친 현종모친 원성왕후 김씨형제자매 6남 8녀 중 3남배우자 용신왕후 한씨, 용의왕후 한씨, 용목왕후 이씨자녀 4남 1녀왕형, 애상군, 낙랑후, 개성후, 도애공주 정종 (고려 10대국왕)정종(靖宗) 1018년 9월 5일 (음력 7월 17일), 율리우스력 8월 30일 ~ 1046년 6월 30일 (음력 5월 18일), 율리우스력 6월 24..

[웹북] 고려 9대국왕 / 덕종 (재위 : 1022~1034 )

덕종 德宗고려 국왕재위 1031년 6월 23일 ~ 1034년 11월 6일 (양력)전임 현종후임 정종 고려의 태자재위 1022년 7월 2일[1] ~ 1031년 6월 23일 (양력)전임 왕태자-정윤 주 (경종)후임 왕태자 훈 (순종) 이름휘 왕흠(王欽)별호 연경군(延慶君)묘호 덕종(德宗)시호 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宣孝剛明廣章敬康大王)능호 숙릉(肅陵) 신상정보출생일 1016년 6월 15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경 연경원사망일 1034년 9월 17일(18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정궁 연영전부친 현종모친 원성왕후 김씨형제자매 6남 8녀 중 장남배우자 경성왕후 김씨, 경목현비 김씨, 효사왕후 김씨자녀 2녀 상회공주, 공주  덕종덕종(德宗, 1016년 6월 15일 (음력 5월 2일)], 율리우스력 6월 9일 ~ ..

[웹북] 고려 8대국왕 / 현종 (재위 : 1009~1031 )

초등대한역사에 실린 현종이 강감찬을 교외에서 영접하고 머리 위에 금꽃을 꽂아 주는 그림고려 국왕 헌종재위  1009년 3월 8일 ~ 1031년 6월 23일 (양력)출생일  992년 8월 6일 (양력)출생지 고려 개성부 헌정왕후 사저사망일 1031년 6월 23일(38세) (양력)현종 (고려)현종(顯宗, 992년 8월 6일(음력 7월 1일, 율리우스력 8월 1일) ~ 1031년 6월 23일(음력 5월 25일, 율리우스력 6월 17일)은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3월 8일 (음력 2월 3일, 율리우스력 3월 2일) ~ 1031년 6월 23일 (음력 5월 25일, 율리우스력 6월 17일))이다. 주요 이력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大良院君)이었고, 묘호는 현종(顯..

[웹북] 고려 7대 국왕 / 목종 (재위: 997~1009)

목종 / 穆宗고려 국왕재위 997년 10월 27일 ~ 1009년 2월 3일 (음력)전임 성종후임 현종 이름휘 왕송(王誦)이칭 개령군(開寧君), 양국공(讓國公)묘호 목종(穆宗)시호 효사위혜극영정공선양대왕(孝思威惠克英定恭宣讓大王)능호 의릉(義陵) 신상정보출생일 980년 7월 5일출생지 고려 개경 정전사망일 1009년 2월 3일(28세) (음력)사망지 고려 개성부 적성현부친 경종모친 헌애왕후 황보씨배우자 선정왕후 유씨자녀 없음 고려국왕 (목종)목종(穆宗, 980년 7월 5일(음력 5월 20일) ~ 1009년 음력 2월 3일)은 고려의 제7대 국왕 (재위 : 997년 음력 10월 27일 ~ 1009년 음력 2월 3일)이다. 강조의 정변으로 인해 폐위된 후 살해되었다. 생애즉위 이전980년(경종 5년) 5월 20..

[웹북] 고려 6대 국왕 / 성종 (재위: 981~997)

고려 국왕 (성종)재위 981년 8월 14일 ~ 997년 11월 29일 (양력)전임 경종후임 목종 이름휘 왕치(王治)별호 개령군(開寧君)묘호 성종(成宗)시호 강위장헌광효헌명양정문의대왕(康威章憲廣孝獻明襄定文懿大王)능호 강릉(康陵) 신상정보출생일 961년 1월 15일 (양력)사망일 997년 11월 29일(36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내천왕사부친 대종모친 선의왕후 유씨배우자 문덕왕후 유씨, 문화왕후 김씨자녀 2녀원정왕후, 원화왕후 성종 / 成宗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음력 10월 27일)은 고려의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다. 경종 사후 어린 조카 송을 대신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재위 중 국자감을 정비하여 관학을 발전..

[웹북] 고려 제5대 국왕 / 경종 (재위: 975~981)

경종 / 景宗고려 국왕재위 975년 5월 23일 ~ 981년 7월 11일 (음력)전임 광종후임 성종고려국 정윤재위 965년 2월 ~ 975년 5월 23일 (음력)전임 정윤 무 (혜종)후임 왕태자 흠 (덕종) 이름휘 왕십리묘호 경종(景宗)시호 지인성목명혜순희정효공의헌화대왕(至仁成穆明惠順熙靖孝恭懿獻和大王) 신상정보출생일 955년 9월 22일 (음력)사망일 981년 7월 11일(25세) (음력)부친 광종배우자 헌숙왕후 김씨, 헌의왕후 유씨헌애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황보씨자녀 1남목종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음력 7월 11일[1]))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다. 휘는 주(伷), 자는 장민(長民), 묘호는 경종(景宗), 시호는 지..

[웹북] 고려 제4대 국왕 / 광종 (재위: 949~975)

광종의 능인 헌릉광종 光宗고려 4대국왕재위 949년 4월 18일 ~ 975년 7월 9일 (양력)전임 정종후임 경종이름휘 왕소(王昭)묘호 광종(光宗)시호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능호 헌릉(憲陵)연호 광덕(光德), 준풍(峻豊)신상정보출생일 925년사망일 975년 7월 9일 (양력) (50세)부친 태조모친 신명순성왕후 유씨배우자 대목왕후 황보씨자녀 2남 3녀 경종, 효화태자, 천추전부인, 보화궁부인, 문덕왕후종교 불교  광종광종(光宗, 925년 ~ 975년 7월 9일 (음력 5월 23일[1], 율리우스력 7월 4일)은 고려의 제4대 국왕이자 황제(재위: 949년 4월 18일(음력 3월 13일, 율리우스력 4월 13일) ~ 975년 7월 9일)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

[웹북] 고려 제 3대 국왕 / 정종 (재위: 945~949)

정종 (고려 3대)정종 定宗 / 고려 국왕재위 945년 10월 28일 ~ 949년 4월 18일 (양력)전임 혜종후임 광종 이름휘 왕요(王堯)묘호 정종(定宗)시호 지덕장경정숙영인간경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능호 안릉(安陵) 신상정보출생일 923년 생일미상사망일 949년 4월 18일 (25세~26세) (양력)사망지 고려 개경 제석원부친 태조 왕건모친 신명순성왕후 유씨배우자 문공왕후 박씨, 문성왕후 박씨자녀 1남 1녀경춘원군, 공주(시호 및 이름이 전하지 않음) 정종 (고려 3대)정종(定宗, 923년 ~ 949년 4월 18일(음력 3월 13일), 율리우스력 4월 13일)은 고려의 제3대 국왕(재위: 945년 10월 28일 (음력 9월 15일), 율리우스력 10월 23일 ~ 949년 4월 18..

[웹북] 고려 제2대 국왕 / 혜종 (재위: 943~945)

혜종 惠宗 / 고려 국왕재위 943년 7월 9일 ~ 945년 10월 28일 (양력)전임 태조후임 정종 고려국 정윤(正胤)재위 922년 1월 15일[1] ~ 943년 7월 9일 (양력)전임 -후임 왕태자 주 (경종) 이름휘 왕무(王武)묘호 혜종(惠宗)시호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능호 순릉(順陵) 신상정보출생일 912년출생지 태봉국 나주 목포사망일 945년 10월 28일 (양력) (33세)사망지 고려 개경 중광전부친 태조모친 장화왕후 오씨배우자 의화왕후 임씨자녀 2남 3녀흥화궁군, 경화궁부인, 정헌공주왕제, 명혜부인 혜종 (고려 2대국왕)혜종(惠宗, 912년 ~ 945년 10월 28일 (음력 9월 15일), 율리우스력 10월 23일)은 고려 제2대 국왕(재위:943년 7월 9일..

[웹북] 을사사화 (1545)

을사사화 장소 조선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 윤임과 소윤(小尹) 윤원형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다. 배경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에게서 인종을 낳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에게서 명종을 낳았다. 이들 두 계비는 같은 파평 윤씨인데,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尹任)과 문정왕후의 아우 윤원형(尹元衡)이 대립하기 시작했다. 윤임과 윤원형은 같은 종씨(宗氏)이면서 서로 국구(國舅)가 되어 세력을 잡으려고 일찍부터 반목하여 세간(世間)으로부터 윤임은 대윤(大尹), 윤원형은 소윤(小尹)이라 불렸다. 중종이 승하하고 인종이 즉위하게 되자 윤임이 득세하여 사림(士林)의 명사를 많이 등용하여 이..

[웹북] 기묘사화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날짜 중종 14년(1519년)원인 훈구파와 신진파의 갈등참여자 중종, 훈구파, 남곤(비훈구파), 정광필(비훈구파), 안당(비훈구파), 고형산(비훈구파)결과 신진파들이 훈구파에게 살해당하거나 귀양을 감사상자 조광조 김정 기타 신진파기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중종의 주도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귀양보낸 사건이다. 조광조 등의 세력 확장과 위훈 삭제에 대한 불만이 원인 중 하나였다. 신진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정책 역시 그들을 지지하던 정광필, 안당 등의 반감을 사면서 지원받지 못하였다. 남곤, 심정, 김전, 홍경주, 고형산 ..

[웹북] 갑자사화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참가자 연산군장소 조선날짜 1504년(연산군 10년)사망자 폐비 윤씨 사망과 관련된 신하 및 폐비 윤씨의 복위를 반대한 사람들이극균, 이세좌, 윤필상, 성준 등 40여 명원인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가 사약을 받고 죽은 일에 관계한 신하들과 폐비 윤씨의 복위를 반대한 사람들이 연산군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화를 입음갑자사화(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보복과 연산군의 왕권 강화를 위해 연산군이 일으킨 대규모 숙청 사건이다. 연산군이 폐비 윤씨의 복위를 추진하면서 성종때 폐비를 찬성한 훈구 원로세력이 대부분 숙청당했다. 이때 희생된 사람들은 중종 반정 직후 대부분 복권된다. 배경과 원인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는 폐출되었다가 1482년에 사사되었고..

[웹북] 무오사화 (1498)

무오사화戊午士禍/戊午史禍참가자 연산군·유자광 등 훈구파장소 조선날짜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사망자 김일손 등의 사림파원인 유자광 중심의 훈구파가 김종직 중심의 사림파에 대해 ≪성종실록≫에 실린 사초 조의제문>을 트집 잡음결과 김종직 부관참시많은 선비들이 죽거나 귀양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훈구파가 사림파를 대대적으로 숙청한 사건이다. 사화가 일어난 1498년이 무오년이기에 "무오사화"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사초가 원인이 되었다하여 무오사화(戊午史禍)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4대사화 가운데 첫 번째 사화이다. 15세기 후반, 성종이 훈구파를 견제하기 위해 사림파를 중용하자, 훈구파는 조정에 대거 진출한 사림파와 갈등하게 되었다. 그러던중 훈구파는 성종실록 편찬에 ..

[웹북] 사화

사화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5차례의 옥사를 말한다.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4화비숙청사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다. 성종 때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사림 세력은 훈구 세력의 비리를 규탄하면서 점차 정치적 영향력이 커져갔다. 그러던 중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훈구 세력의 불만이 폭발하였고, 양 세력간의 갈등으로 사화가 발생하게 된다. 사화는 사림 세력의 역사적 성장이라는 추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이를 ..

[웹북] 강화도

마니산에서 본 강화도 강화도위치 황해좌표 북위 37° 42′ 동경 126° 26′면적 302.6 km2최고점 마니산, 469 m 행정 구역대한민국시 인천광역시군 강화군인구 통계인구 62,021명(2016.12.31. 기준)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다.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넓은 섬으로, 면적은 302.6 km2이다.행정구역상으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속해 있으며, 동쪽으로 경기도 김포시와 도로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고려 때에는 몽골 제국의 침략 당시 39년간 임시수도의 역할을 했다고 추정하나 왕성터등의 흔적은 발견된 적이 없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와, 단군왕검이 세 아들을 시켜 쌓았다는 삼랑성과 사적 제136호로 지정된 참성단과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한옥성당인 성공..

[웹북] 양반

양반양반양반(兩班, 문화어: 량반)은 고려,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 해당한다. 이는 또한 조선에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관료와, 관료가 될 수 있는 잠재적 자격을 가진 가문, 그리고 사림(士林)이라 불렸던 학자 계층까지 포함하는 조선 왕조 특유의 사회계급이다. 본디, 문관과 무관을 지칭하는 관료적 의미였으나, 반상제가 확립되어가면서 신분상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양반은 토지와 노비를 많이 소유하고 과거, 음서, 천거 등을 통하여 국가의 고위 관직을 독점하였다. 양반은 경제적으로는 지주층이며 정치적으로는 관료층으로서, 생산에는 종사하지 않고 오직 현직 또는 예비 관료로 활동하거나 유학자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닦는 데 힘썼다. 연원본래 국왕이 정무..

[웹북] 서원 / 서원철폐

고산서원 서원 서원(書院)는 중국에서 발단 한자 문화권의 동아시아 (일본 한국 베트남)에 파급된 전근대 학교로 사학의 한 유형이다. 북송 대 이후 국가의 관학에 대해 특히 민간의 사학에서 이루어졌다. 한국의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이며, 유교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유학에서는 교육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유학자들이 사재를 털어 서당이나 서재라 불리는 사립학교를 세워 지방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이런 전통을 계승하여 설립한 사립학교에 선배 유학자들을 배향하는 사당의 기능을 추가하여 서원을 건립하였다. 통상 초시에 합격한 자들에게 입학자격이 주어진 지방의 사립 중등 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서원의 명칭은 당나라 현종 때 여정전서원(麗正殿書院)·집현전서원(集賢殿書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