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개
1866년 10월, 프랑스제국의 조선 침공, 병인양요는 자국 출신 선교사의 살해에 분노한 프랑스 해군의 감정적인 무력도발인가, 아니면 식민지 획득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일으킨 저들의 일방적인 침략 전쟁인가?
서세동점의 19세기, 서구 열강은 동아시아에 식민지를 개척하고 각국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영토에 대한 야욕을 달성하고 무역과 통상 부문에서 효율적인 통제권을 확보하려 했다. 당시 조선에 가장 눈독을 들인 나라는 프랑스였다. 그들은 천주교 박해와 프랑스 신부들의 죽음을 빌미로 무력을 통해 조선을 자국의 식민지로 개척하고자 했던 것이다.
프랑스는 그때부터 조선을 점령하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지만 동아시아 정세의 변동에 따라 조선 대신 베트남 남부 지역인 코친차이나를 1차 표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코친차이나를 강점하면서 남중국과 일본까지 촉수를 뻗은 프랑스는 2차 표적으로 조선을 침공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프랑스의 조선 침공은 제2제정기부터 재개된 식민지 개척의 연장선 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당시 그들은 군사 행동에 있어서 ‘조선의 야만적 행위에 제동을 걸어 문명화로 이끌고 교인들이 천주에게 기도할 수 있게 해주며 국민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의 삶을 보호한다.’라는 명분을 내걸었다.
오랫동안 한국사에서 조선 말기의 시끄러운 소동 쯤으로 평가절하했던 병인양요는 동아시아 지역에 식민지를 개척하여 세력 확산의 거점으로 삼으려던 프랑스제국과 아편전쟁 이후 종이호랑이로 전락한 중국의 현실을 거울삼아 완강하게 개방을 거부했던 조선왕국과의 국운을 건 한판 승부였다.
병인양요는 조선이 병자호란 이래 230년 만에 겪은 국제전이었다.
국왕 고종 대신 조선의 실세로 군림하고 있던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척화론을 바탕으로 프랑스군이 침공해 오자 정면 대결을 선언했다. 조선군은 개전 초기에 강화부 함락으로 상심했지만 프랑스군의 해안 봉쇄라는 소극적인 작전에 기대어 전열을 정비한 뒤 순무 천총 양헌수의 활약에 힘입어 정족산성 전투에서 희심에 일격을 날렸다.
병인양요 발발 10년 후 조선은 역내 국가로는 최초로 제국주의 대열에 합류한 일본의 무력 시위에 굴복하여 병자수호조약을 맺고 3개 항구를 열었다. 이는 물론 개화와 다자외교를 통해 서구 문명을 받아들이고 안보를 꾀하려는 고종의 결단에 기인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런 막다른 결과에 이르기까지 조선은 구미 열강의 손쉬운 먹잇감이 되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를 보여주었다.
당대에 충분히 예견되었고 실제로 벌어졌던 제국주의의 적자 프랑스와 은둔의 왕국 조선의 거친 스파링, 그 막전막후의 낯선 긴장감 속으로 들어가 보자.
서세동점의 19세기, 서구 열강은 동아시아에 식민지를 개척하고 각국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영토에 대한 야욕을 달성하고 무역과 통상 부문에서 효율적인 통제권을 확보하려 했다. 당시 조선에 가장 눈독을 들인 나라는 프랑스였다. 그들은 천주교 박해와 프랑스 신부들의 죽음을 빌미로 무력을 통해 조선을 자국의 식민지로 개척하고자 했던 것이다.
프랑스는 그때부터 조선을 점령하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지만 동아시아 정세의 변동에 따라 조선 대신 베트남 남부 지역인 코친차이나를 1차 표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코친차이나를 강점하면서 남중국과 일본까지 촉수를 뻗은 프랑스는 2차 표적으로 조선을 침공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프랑스의 조선 침공은 제2제정기부터 재개된 식민지 개척의 연장선 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당시 그들은 군사 행동에 있어서 ‘조선의 야만적 행위에 제동을 걸어 문명화로 이끌고 교인들이 천주에게 기도할 수 있게 해주며 국민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의 삶을 보호한다.’라는 명분을 내걸었다.
오랫동안 한국사에서 조선 말기의 시끄러운 소동 쯤으로 평가절하했던 병인양요는 동아시아 지역에 식민지를 개척하여 세력 확산의 거점으로 삼으려던 프랑스제국과 아편전쟁 이후 종이호랑이로 전락한 중국의 현실을 거울삼아 완강하게 개방을 거부했던 조선왕국과의 국운을 건 한판 승부였다.
병인양요는 조선이 병자호란 이래 230년 만에 겪은 국제전이었다.
국왕 고종 대신 조선의 실세로 군림하고 있던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척화론을 바탕으로 프랑스군이 침공해 오자 정면 대결을 선언했다. 조선군은 개전 초기에 강화부 함락으로 상심했지만 프랑스군의 해안 봉쇄라는 소극적인 작전에 기대어 전열을 정비한 뒤 순무 천총 양헌수의 활약에 힘입어 정족산성 전투에서 희심에 일격을 날렸다.
병인양요 발발 10년 후 조선은 역내 국가로는 최초로 제국주의 대열에 합류한 일본의 무력 시위에 굴복하여 병자수호조약을 맺고 3개 항구를 열었다. 이는 물론 개화와 다자외교를 통해 서구 문명을 받아들이고 안보를 꾀하려는 고종의 결단에 기인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런 막다른 결과에 이르기까지 조선은 구미 열강의 손쉬운 먹잇감이 되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를 보여주었다.
당대에 충분히 예견되었고 실제로 벌어졌던 제국주의의 적자 프랑스와 은둔의 왕국 조선의 거친 스파링, 그 막전막후의 낯선 긴장감 속으로 들어가 보자.
목차
일러두기
책머리에 프랑스제국과 조선왕국의 격돌
제1장 빛을 따라 걷는 사람들
프랑스의 식민지 개척사
예수회 신부들 조선 선교를 갈망하다
일본, 야소종문의 위험성을 경고하다
파리외방전교회의 탄생
프랑스 선교사의 조선 잠입
제2장 동아시아에 촉수를 뻗치다
라 페루즈의 조선 탐사
동아시아에 거점을 확보하라
아편전쟁의 떡고물 황포조약
세실 제독의 조선 정탐
라 피에르 함대 고군산군도에서 좌초하다
번신에게 외교란 있을 수 없다
게랭 제독, 무력 침공을 주장하다
코친차이나를 식민지로 만들다
제3장 조선의 천주교 박해
서학, 천주 신앙으로 피어나다
진산사건의 뿌리, 제사 금령
신유박해, 대학살이 시작되다
기해박해, 프랑스 신부들의 죽음
병오박해, 김대건 신부의 순교
병인박해, 피에 젖은 조선 교회
보령 갈매못의 비극
제4장 폭풍 전야
조선 침공의 선결 과제
조선의 국왕을 끌어내리자
전략 변경, 베트남이 먼저다
오페르트, 조선의 개방을 꿈꾸다
돌발 사태, 제너럴 셔먼호 사건
제5장 프랑스의 조선 침공
프랑스의 제1차 침공-정찰
프랑스의 제2차 침공-개전
강화부 함락과 조선군의 대응
순무영 설치, 도성을 사수하라!
순무영의 지상담병, 잠수군
양헌수와 로즈의 대의명분 공방
고육지책, 산행포수 동원령
대원군의 권력 다지기, 원조군수인
국면 전환, 문수산성 전투
간절한 묘책, 염하 도하 작전
벼랑 끝에서 건진 기적, 정족산성 전투
전술적 퇴각, 모호한 승부
제6장 전란의 빛과 그림자
우리는 양이를 물리쳤노라!
로즈와 벨로네, 앙숙 간의 책임 공방
페롱 신부, 오페르트 사건으로 망신살이 뻗치다
천진교안, 이게 다 로즈 제독 탓이다
신미양요, 척화비를 부르다
앙리 쥐베르의 눈에 비친 조선의 참모습
조불수호통상조약, 선교의 자유를 얻다
책머리에 프랑스제국과 조선왕국의 격돌
제1장 빛을 따라 걷는 사람들
프랑스의 식민지 개척사
예수회 신부들 조선 선교를 갈망하다
일본, 야소종문의 위험성을 경고하다
파리외방전교회의 탄생
프랑스 선교사의 조선 잠입
제2장 동아시아에 촉수를 뻗치다
라 페루즈의 조선 탐사
동아시아에 거점을 확보하라
아편전쟁의 떡고물 황포조약
세실 제독의 조선 정탐
라 피에르 함대 고군산군도에서 좌초하다
번신에게 외교란 있을 수 없다
게랭 제독, 무력 침공을 주장하다
코친차이나를 식민지로 만들다
제3장 조선의 천주교 박해
서학, 천주 신앙으로 피어나다
진산사건의 뿌리, 제사 금령
신유박해, 대학살이 시작되다
기해박해, 프랑스 신부들의 죽음
병오박해, 김대건 신부의 순교
병인박해, 피에 젖은 조선 교회
보령 갈매못의 비극
제4장 폭풍 전야
조선 침공의 선결 과제
조선의 국왕을 끌어내리자
전략 변경, 베트남이 먼저다
오페르트, 조선의 개방을 꿈꾸다
돌발 사태, 제너럴 셔먼호 사건
제5장 프랑스의 조선 침공
프랑스의 제1차 침공-정찰
프랑스의 제2차 침공-개전
강화부 함락과 조선군의 대응
순무영 설치, 도성을 사수하라!
순무영의 지상담병, 잠수군
양헌수와 로즈의 대의명분 공방
고육지책, 산행포수 동원령
대원군의 권력 다지기, 원조군수인
국면 전환, 문수산성 전투
간절한 묘책, 염하 도하 작전
벼랑 끝에서 건진 기적, 정족산성 전투
전술적 퇴각, 모호한 승부
제6장 전란의 빛과 그림자
우리는 양이를 물리쳤노라!
로즈와 벨로네, 앙숙 간의 책임 공방
페롱 신부, 오페르트 사건으로 망신살이 뻗치다
천진교안, 이게 다 로즈 제독 탓이다
신미양요, 척화비를 부르다
앙리 쥐베르의 눈에 비친 조선의 참모습
조불수호통상조약, 선교의 자유를 얻다
'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 > 5.근대전쟁.동학.의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 셔먼호 사건에서 신미양요까지 (0) | 2022.07.19 |
---|---|
1866년 병인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노하다 (0) | 2022.07.19 |
병인양요 (0) | 2022.07.19 |
러일전쟁사 (구소련 전사연구소 : 로스뚜노프 저) (0) | 2022.07.19 |
러일전쟁 : 일본과 러시아 틈새의 한국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