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6.남북분단 DMZ

무기가 사라진 DMZ : 탈 군사의 흔적 그리고 생태복원

동방박사님 2022. 9. 27. 07:06
728x90

책소개

『무기가 사라진 DMZ』는 미국의 빅 오크스 국립야생동물보호지구에서부터 한반도의 DMZ까지, 최근에 ‘군사지역이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전환’된 세계 곳곳의 사례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과거 훈련이나 실험 등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군사화 현장을 방문하여 현재 생물다양성의 중심지로서 가지는 무궁무진한 생태학적 가능성을 연구하고, 과제로 남아 있는 물질적, 역사적, 문화적 어려움을 조명한다.

이러한 국립야생동물보호지구를 생태계의 천국으로 두거나, 과거에 벌어졌던 분쟁의 흔적을 완전히 덮어 버리는 일반적인 시각 대신, 저자는 과거 군사화 지형과 현재의 자연적 영향이 양립하는 ‘문화적 보전’이라는 독창적인 시각을 제안한다. 이러한 비무장지대의 보전과학은 전 세계 유일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화두이기도 하다. 『무기가 사라진 DMZ』는 국가와 민간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비무장지대의 보전과학에 대한 통찰과 시의적절한 메시지를 전한다. 이 책은 군사적 흔적과 환경적 목표가 공존하는 이러한 현장을 우리의 자연관과 사회관에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목차

01 군사적 자연
02 벙커, 박쥐, 기지 폐쇄
03 진정한 복원
04 불가침 성역
05 무기가 지나간 자리
06 녹색 군대
07 군사화 지형의 기억과 복원
감사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데이비드 하블릭 (David G. Havlick)
 
미국 콜로라도스프링스 대학교 지리환경학과 교수이다. 《미국 공유지 내 도로 연구(No place Distant: Roads and Motorized Recreation on America’s Public Lands)》의 저자이며, 《층상 지형의 복원: 역사, 생태, 문화(Restoring Layered Landscapes: History, Ecology, and Culture)》의 공동편집인이다.
 
역 : 박수철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했으며,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메트로폴리스』, 『맥락으로 읽는 새로운 한국사』, 『역사를 바꾼 위대한 장군들』, 『1434 : 중국의 정화 대함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불을 지피다』, 『문자의 역사』, 『언어의 역사』, 『목욕, 역사의 속살을 품다』, 『미국의 아킬레스건』, 『사담 후세인 평전』, 『불가능한 변화는...

감수 : 이상준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생태학과 미생물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강의를 하였으며, 자연과학대학 학장, 환경문제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정년퇴임하여 명예교수로 환경 분야에 사회봉사하고 있다. (사)한국환경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책 속으로

이렇듯 서로 다른 이해관계는 이곳을 둘러싼 독특한 맥락의 논리적 결과로 볼 수 있지만, 여기에는 역사 삭제와 역사적 기념이라는 더 폭넓은 문제도 있다. 군사적 요소가 새로운 보전 관련 목표에 자리를 양보하고 있거나 그 목표와 겹치는 부분이 있는 다른 현장들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미래 세대들은 비에케스섬 같은 현장을 어떻게 이해할까? 그런 장소들에는 우리가 사람들에게 계속 보여주려고 노력할 만한 특정한 문화적 속성이나 역사가 있을까? 그런 역사를 보지 못하는 데 따른 결과, 그리고 복원이 비에케스섬 같은 곳의 생태적 피해뿐 아니라 문화적 유산까지 없애버리는 데 따른 결과는 무엇일까?
---「3장 진정한 복원」중에서

탈군사적 야생동물보호지구가 어떻게 새로운 형태의 공유지 역할을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이들 부지가 어떻게 공공적 이익이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수십 년간 군사적, 혹은 영리적 용도로 쓰이면서 발생해 지금까지 남아있는 위험요인을 처리하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일까? 우리가 안전하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들 부지에는 위험이 없을까?
---「4장 불가침 성역」중에서

만일 군사화 지형이 어디서, 어떻게, 왜 현재 상태로 존재하게 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것, 그리고 군사화 지형이 자연화되고 새로운 특징, 이름, 용도를 지니게 되는 상황에서도 그곳을 유의미한 장소로 유지하고자 애쓰는 것이 향후의 과제라면, 앞으로의 행보에 참고할 만한 사례를 살펴보는 과정이 필수적일 것이다. (…) 만일 이들 장소에서 일어난 문화적 의미가 깊은 토지의 용도 변화의 역사를 삭제하는 우를 범하지 않을 작정이라면, 우리는 복원과 보전상의 이익을 위해 생태적 피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그 변화의 역사를 간직하지 않을 수 있을까?
---「7장 군사화 지형의 기억과 복원」중에서
 

출판사 리뷰

지금 이곳, 탈군사적 역사와 자연이 얽힌 현장

한반도를 가로지르고 있는 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휴전협정에 의해 설치된 것으로, 협정을 맺을 당시 양측 군대의 접촉선을 군사분계선으로 구분하여 남북으로 각각 2킬로미터씩 지정한 비무장지대이다. 이 공간은 자연 보호를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구간이 아닌 군사 활동과 분쟁의 잔재이지만, 인간의 활동이 수십 년간 제한되어 야생동물의 성지로 변모했다. 국립생태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의 DMZ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1급인 사향노루, 검독수리를 비롯하여 총 5,929종의 야생생물이 발견되었다. DMZ에 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01종은 한반도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전체 267종의 37.8%에 이른다. 이는 DMZ가 멸종위기 야생생물에게 중요한 서식처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치와 환경의 지리학

『무기가 사라진 DMZ』는 미국의 빅 오크스 국립야생동물보호지구에서부터 한반도의 DMZ까지, 최근에 ‘군사지역이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전환’된 세계 곳곳의 사례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과거 훈련이나 실험 등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군사화 현장을 방문하여 현재 생물다양성의 중심지로서 가지는 무궁무진한 생태학적 가능성을 연구하고, 과제로 남아 있는 물질적, 역사적, 문화적 어려움을 조명한다.

이러한 국립야생동물보호지구를 생태계의 천국으로 두거나, 과거에 벌어졌던 분쟁의 흔적을 완전히 덮어 버리는 일반적인 시각 대신, 저자는 과거 군사화 지형과 현재의 자연적 영향이 양립하는 ‘문화적 보전’이라는 독창적인 시각을 제안한다. 이러한 비무장지대의 보전과학은 전 세계 유일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화두이기도 하다. 『무기가 사라진 DMZ』는 국가와 민간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비무장지대의 보전과학에 대한 통찰과 시의적절한 메시지를 전한다. 이 책은 군사적 흔적과 환경적 목표가 공존하는 이러한 현장을 우리의 자연관과 사회관에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