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한반도평화 연구 (박사전공>책소개)/6.남북분단 DMZ

DMZ 평화와 가치

동방박사님 2022. 9. 27. 07:08
728x90

책소개

이 책은 DMZ를 평화, 인문, 생태자원으로 분류해 경기, 강원 지역을 사례로 연구 되었다. 독일의 정책도 반영하여 비무장지대를 세계평화공원으로 추진하기 위한 밑바탕이 되는 연구가 실린 책이다.

목차

제1편 DMZ의 재발견……………………… 9
1장 DMZ 평화자원과 가치……………… 11
제1절 들어가며 13
제2절 DMZ의 정치군사적 의미와 평화자원……………… 14
제3절 DMZ 평화적 활용을 위한 노력과 한계………………… 19
1. 탈냉전과 DMZ 및 접경지역 평화적 활용 논의의 진전…………………… 19
2. 통일경제특구…………… 20
3.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22
4. DMZ 평화적 활요에 대한 기존 구상 평가…… 23
5. 최근 남북합의 진전과 한계 25
제4절 결론 : DMZ 평화자원의 가치 활용을 위한 과제… 26
2장 DMZ 인문자원과 가치……………… 31
제1절 DMZ란 무엇인가?………… 33
1. 2018 DMZ 명장면…… 33
2. DMZ를 잘 모르는 몇 가지 실수…………………… 34
3. 뜻밖의 유산 ‘20세기가 남긴 냉전유적’…… 35
제2절 뜻밖의 선물 ‘20세기가 남긴 냉전 유적지’………… 36
1. 그곳은 한국사를 담은 역사책이다………………… 36
2. DMZ에 잠겨있는 ‘근대’… 38
3. 살아있는 전쟁박물관……… 42
4. 냉전 부산물 ‘민통선 문화’……………………… 50
5. 단 하나밖에 없는 냉전자연생태계………………… 54
3장 DMZ 생태자원과 가치……………… 57
제1절 DMZ 일원의 생태계 현황… 59
1. 생물종 다양성……………… 59
2. 생태계 유형과 특성…… 61
3. 생태계 위협요인…………… 63
제2절 DMZ 일원 생태자원 요소와 가치……………………… 64
제3절 DMZ 일원의 생태보전 관련 기존 논의와 정책…… 68
1. DMZ 일원 생태조사 및 연구…………………… 68
2. DMZ 관련 기존 논의 및 정책……………………… 70
3. DMZ 일원 생태보전 노력 :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72
제4절 DMZ 생태가치 보전을 위한 주요 과제………………… 74
제2편 변화하는 DMZ : 경기, 강원권… 77
4장 경기권 DMZ… 79
제1절 서론…… 81
제2절 DMZ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 : 분단, 전쟁, 평화, 생태…………………… 82
제3절 DMZ의 생태와 문화 자산 : 3강과 문화……………… 87
1. 한탄강…………………… 87
2. 임진강…………………… 88
3. 한강하구와 중립수역……… 91
제4절 DMZ 삶의 흔적 복원을 통한 분단 극복…………… 93
제5절 경기권 DMZ의 미래 : 남북 통합의 실험장…………… 95
5장 강원권 DMZ: 평화학적 의미와 가치… 99
제1절 들어가며 101
제2절 평화의 의미와 영역………… 105
1. 평화의 의미………………… 105
2. 평화의 영역………………… 106
제3절 ‘DMZ 평화의 길’에 대한 평화적 의미의 적용………… 107
1. 정치적 경계허물기………… 107
2. 군사적 긴장해소…………… 108
3. 생태·환경적 차원………… 110
4. 지역경제 활성화…………… 111
5. 역사·문화유산 보존과 활용…………………… 111
제4절 나오며… 113
제3편 DMZ의 미래상…………………… 117
6장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남북협력 방안…………………… 119
제1절 서론: 국가 발전전략에서 DMZ의 위상…………… 121
제2절 접경지역(borderlands)의 유형과 남북 DMZ 접경지역…………………… 123
제3절 접경지역간 국제협력의 사례… 128
제4절 단절의 선에서 연결과 공존의 공간으로의 DMZ 활용방안………………… 129
1. DMZ 공동농업지구 설치 및 공동운영………… 131
2. DMZ 국제평화대학 및 국제기구 설치………… 133
3. 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한 남북협력……………… 133
제5절 결론: 남북 DMZ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추진과제와 선결조건…………… 135
7장 DMZ 국제평화지대화 방안………… 141
제1절 들어가며 143
제2절 ‘DMZ 역설’과 DMZ 가치 설정 144
제3절 DMZ의 규범과 관할권 문제… 148
제4절 DMZ 평화적 이용방안… 151
1. 남북 공유하천 협력…… 151
2. 개성-판문점 국제평화지대 조성…………………… 154
3. DMZ 지뢰 문제의 해결… 156
제5절 결론…… 158
8장 독일의 그뤼네스 반트(Grunes Band) 발전 과정과 정책 현황……………………… 161
제1절 들어가며 163
제2절 그뤼네스 반트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분트(BUND)의 역할…………… 166
1. 그뤼네스 반트와 독일의 통일:……………… 166
“자연보호로 하나가 되다(im Naturschutz vereint)”
2. 그뤼네스 반트와 분트의 역할:……………… 167
"비전이 현실이 되다(Eine Vision wird Wirklichkeit)"
제3절 독일통일 후 그뤼네스 반트 정책 변동과 연방정부의 다층적 거버넌스……… 169
(multilevel governance)
1. 그뤼네스 반트와 다층적 거버넌스: 수평적 상호작용, 왜 중요한가?…… 169
2. 그뤼네스 반트의 도약과 발전(2002년 이후): 171
자연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융합
제4절 사례 연구:…………………… 174
튀링엔(Thuringen) 주의 그뤼네스 반트 정책 수립 및 이행 현황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177
9장 증산사상과 DMZ 세계평화공원…… 183
제1절 서론…… 185
제2절 DMZ 세계평화공원의 지정학적 함의……………… 186
1. DMZ 세계평화공원의 위상 186
2. DMZ 세계평화공원의 입지 후보지…………… 187
제3절 증산의 한반도 상등국 천지공사 190
1. 한반도 상등국 천지공사 전개과정………………… 190
2. 오선위기 공사와 한반도 주변 국제정치…………… 195
제4절 증산의 천지공사 이념과 DMZ 세계평화공원………… 196
1. 해원상생과 DMZ 세계평화공원…………………… 196
2. 보은상생과 DMZ 세계평화공원…………………… 200
제5절 맺음말… 202
 

출판사 리뷰

남북 분단의 상징인 DMZ(비무장지대, Demilitarized Zone)가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1953년 7월 군사정전협정 체결과 함께 설정된 한반도 DMZ는 지난 67년 동안 역설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한 지역으로 남아 갈등과 대립의 상징지대가 되어 왔다. 남북한은 248km 구간의 DMZ에 철조망을 두르고 지뢰지대를 조성해 드넓은 금단의 땅으로 만들었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그동안 DMZ 내에서 자연은 스스로 움을 틔우고 번성하여 위대한 생태보고를 일궈냈다. 세계적 멸종위기종 101종을 포함해 5,929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면서 상생의 생명 공간을 창출해 냈다. 이처럼 DMZ는
무장(武裝)과 생명이 중첩된 역설적 공간(DMZ Paradox)이 되었다.

2013년 이후 DMZ를 세계생태평화지대로 조성해야 한다는 구상이 점차 정책 의제로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제시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하에서 2018년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9.19 평양공동선언’, 2019년 ‘6.30 남북미 정상 판문점 회동’ 등 일련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전개와 맞물리면서 DMZ는 세계적 관심 지대로 떠오르게 되었다. 더욱이 2019년 9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DMZ는 세계가 그 가치를 공유해야 하는 ‘인류의 공동유산’이라고 규정하고, DMZ 국제평화지대화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판문점과 개성을 잇는 지역에 평화협력지구를 지정하여 남북한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함께 세계 상생과 함께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정착을 도모하자는 내용이었다. 이를 위해 DMZ 내에 현재 남북한에 주재하는 유엔기구와 평화·생태·문화 관련 국제기구를 유치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제 DMZ는 단순히 남북한만의 의제가 아니라 ‘국제적’ 의제로서 인류가 추구해야 하는 ‘평화적 가치’를 담지하고 있다는 것을 천명했다.

그간 DMZ에 관한 연구는 안보, 평화, 생태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독자적으로 추진됐으나 이제는 DMZ에 대한 입체적인 조망을 위해 개별 학문보다는 학제적인(interdisciplinary)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는 사회과학, 환경학, 생태학 영역뿐만 아니라 평화학, 냉전사, 문화인류학, 문화콘텐츠
등의 영역이 두루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진대학교 DMZ연구원’이 학술총서 발간사업으로 기획한 첫 번째 성과물로서 국내 DMZ 관련 분야별 최고 전문가들의 지혜를 하나로 모았다. 또한, 무엇보다도 먼저 DMZ가 지닌 평화자원으로서의 가치에 주목하고 그 현황과 함의를 살폈다. DMZ의 평화자원은 남북한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 심오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DMZ 일원에 켜켜이 누적된 대립과 갈등, 그 반작용으로서 평화와 협력의 갈망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평화자원은 DMZ를 사이에 두고 남북한이 공유하는 역사·인문 콘텐츠이다. 대표적인 예로서 철원 지역 DMZ 군사분계선 중심에 있는 태봉국 도성과 관련된 유적을 들 수 있다. 마지막 평화자원은 생태자원이다. 이에 본 연구는 DMZ는 멸종 위기 야생동물인 두루미와 독수리 등의 월동지이고 다양한 수생동물과 각종 희귀식물의 보고라는 점을 학술적으로 규명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이러한 DMZ의 평화자원과 생태자원을 다룸에 있어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으로 그동안 경기권과 강원권의 지자체들이 보여준 DMZ에 대한 인식과 노력을 담았다.
마지막으로 DMZ의 미래상을 살펴보기 위해 DMZ가 남북 간 교류협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으며 그 모델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글을 실었다. 더 나아가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간의 마지막 대결 공간인 DMZ를 국제평화지대로 조성함에 있어 채택해야 할 전략과 고려사항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통독 이후 사라졌던 독일의 DMZ인 ‘그뤼네스 반트(Grunes Band)’의 재조성 과정과 현재의 관리 상황은 중요한 참고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조망했다. 이와 함께 향후 DMZ는 한반도를 넘어 세계의 상생 공간이 된다는 점에서 DMZ 세계평화공원을 상생을 기본 모토로 삼고 있는 증산사상과 연계하여 그 함의를 다루었다.

본 총서가 DMZ의 모든 것을 소개하고 지향점을 제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이번 총서를 계기로 대진대 DMZ연구원이 DMZ의 형상과 의미를 추적하기 위한 첫걸음을 뗐다는 점에서 소박한 의미를 찾고자 한다. 아무쪼록 DMZ 연구자들과 관심 있는 독자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번 총서 발간에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학교법인 대진대학교 윤은도 이사장님과 이면재 총장님께 깊은 사의(謝意)를 표하며 앞으로 DMZ연구원은 그동안 남북간의 대립과 갈등의 상징이었던 DMZ를 남북통일과 세계상생의 공간이라는 꿈을 실현하는 DMZ(Dream Making Zone)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배가할 것을 다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