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전통과 근대의 전환기에 집권하여 ‘망국의 군주’, ‘실패한 개혁군주’라고 불린
고종의 인사정책의 실상과 리더십의 본질을 조명!
이 책은 고종의 인사정책의 실상을 알아보면서 고종이 치세 기간 동안 인재 발탁은 어떤 방식으로 했는지, 국정 운영의 특징은 무엇인지,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최고 집권자로서 어떻게 대응했는지 같은 문제를 고찰하며 고종 리더십의 본질을 분석하였다.
12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한 고종이 친정(親政)을 시작한 뒤, 대원군 10년 섭정기의 영향과 잔재를 털어내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고통과 노력이 필요했다. 게다가 명성황후와 처족인 여흥민씨들이 정권의 기반세력으로 활약함으로써 대원군과 명성황후 사이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 ‘유약하고 어리석은 군주’라는 소리를 듣기도 하였다.
여러 정치세력 간의 정쟁, 농민의 민란, 제국주의 국가의 침략 의지, 국권 상실까지 직면하면서 국내외적으로 변화무쌍한 시대에 집권한 고종이 이끌었던 국정 운영 방식은 크게 여섯 가지 특징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국왕으로서의 왕도론을 익히고 성군의식을 성숙시켜나가면서 국가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구상을 준비했다. 둘째,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필요에 따라 때로는 동도를 중시하고, 때로는 서기 도입의 폭을 확대하였다. 셋째, 집권 시기마다 순수무인 출신, 민씨척족, 개화파, 근왕세력 등 다양한 인물군을 골고루 등용하며 인재를 활용했다. 넷째, 다양한 인물을 교차적으로 등용하면서 재직 기간을 짧게 순환시켜 지지 기반의 범위를 넓혔다. 다섯째, 의정부와 별개로 새로운 관서를 꾸준히 신설하고 신설아문 중심으로 개화정책을 추진하면서 독단적인 정국 운영을 도모했다. 여섯째, 역사의 전환점이나 중대한 사건의 고비마다 고종이 보여준 리더십의 전형은 현실을 회피하거나 방관하거나 인내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국정 운영 자세와 리더십은 때로는 탐색하고 인내하면서 조용하고 온유한 리더십의 전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표출된 고종의 방관적·회피적·소극적 리더십은 급변하는 시대의 조류와 조응하지 못함은 물론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었다. 또한 정치개혁론을 탄력적으로 구사한 적극적 리더십의 일단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시대의 요구를 적절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황제 자신이 전근대적 관념 속에 머물면서 국제정세의 흐름과 유리된 길을 걸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 책을 통해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리더십의 성격과 고종이 발휘한 리더십은 어떤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었는지, 시대의 흐름과는 어떤 부조화 속에 있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고종의 인사정책의 실상과 리더십의 본질을 조명!
이 책은 고종의 인사정책의 실상을 알아보면서 고종이 치세 기간 동안 인재 발탁은 어떤 방식으로 했는지, 국정 운영의 특징은 무엇인지,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최고 집권자로서 어떻게 대응했는지 같은 문제를 고찰하며 고종 리더십의 본질을 분석하였다.
12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한 고종이 친정(親政)을 시작한 뒤, 대원군 10년 섭정기의 영향과 잔재를 털어내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고통과 노력이 필요했다. 게다가 명성황후와 처족인 여흥민씨들이 정권의 기반세력으로 활약함으로써 대원군과 명성황후 사이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 ‘유약하고 어리석은 군주’라는 소리를 듣기도 하였다.
여러 정치세력 간의 정쟁, 농민의 민란, 제국주의 국가의 침략 의지, 국권 상실까지 직면하면서 국내외적으로 변화무쌍한 시대에 집권한 고종이 이끌었던 국정 운영 방식은 크게 여섯 가지 특징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국왕으로서의 왕도론을 익히고 성군의식을 성숙시켜나가면서 국가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구상을 준비했다. 둘째,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필요에 따라 때로는 동도를 중시하고, 때로는 서기 도입의 폭을 확대하였다. 셋째, 집권 시기마다 순수무인 출신, 민씨척족, 개화파, 근왕세력 등 다양한 인물군을 골고루 등용하며 인재를 활용했다. 넷째, 다양한 인물을 교차적으로 등용하면서 재직 기간을 짧게 순환시켜 지지 기반의 범위를 넓혔다. 다섯째, 의정부와 별개로 새로운 관서를 꾸준히 신설하고 신설아문 중심으로 개화정책을 추진하면서 독단적인 정국 운영을 도모했다. 여섯째, 역사의 전환점이나 중대한 사건의 고비마다 고종이 보여준 리더십의 전형은 현실을 회피하거나 방관하거나 인내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국정 운영 자세와 리더십은 때로는 탐색하고 인내하면서 조용하고 온유한 리더십의 전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표출된 고종의 방관적·회피적·소극적 리더십은 급변하는 시대의 조류와 조응하지 못함은 물론 실패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었다. 또한 정치개혁론을 탄력적으로 구사한 적극적 리더십의 일단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시대의 요구를 적절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황제 자신이 전근대적 관념 속에 머물면서 국제정세의 흐름과 유리된 길을 걸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 책을 통해 고종의 인사정책을 비롯한 리더십의 성격과 고종이 발휘한 리더십은 어떤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었는지, 시대의 흐름과는 어떤 부조화 속에 있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고종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화려하게 호명된 두 인물
유약하고 어리석은 군주
망국의 군주, 개혁군주의 이중성
1. 고종이 구상한 국가
유년시절과 국왕 즉위
잠저에서의 소양교육과 갑작스러운 즉위
역사서를 좋아했던 고종
고종의 롤모델, 동치제와 정조
수양의 길, 성군의 길
선의의 경쟁관계, 동치제
통치의 모범, 정조
동·서양 문명의 이상적 절충
친정체제를 구축하다
새롭게 눈뜨기 시작한 국제정세
동·서양 문명의 이상적 절충을 도모하다
2. 고종의 인재 발탁과 경영
집권 초기, 순수무인 세력과 민씨척족
순수무인 세력의 등장과 활용
권력기반의 배후세력, 민씨척족
집권 중기, 개화파와의 제휴와 민씨척족
개화파와의 제휴
개화자강 정책의 실무 세력, 민씨척족
집권 후기, 근왕세력의 발탁과 민씨척족
근왕세력의 발탁과 갈등
고락을 함께한 운명공동체, 민씨척족
고종의 인사정책과 불안정한 리더십
3. 내아문 중심의 국정 운영 방식
내아문 체제를 통한 국정 운영
내아문 1기, 통리기무아문 시기
내아문 2기, 통리군국사무아문 시기
내아문 3기, 내무부 시기
내아문과 의정부의 역할 구분
이중적 행정체제에 따른 결과와 영향
의정부와 내아문의 혼란 속 공조관계
원세개의 전횡과 내아문의 위축
4. 왕권 약화 위기에 따른 대응 방식
임오군란기, 인내와 참회
대원군에게 온 두 번째 기회
국정 수습보다 시급했던 왕후의 안위
대원군의 오만과 돌이킬 수 없는 실수
고종의 인내와 참회
갑신정변기, 방관과 회피
정변으로 가는 길
긴박했던 3일간의 행로
고종의 방관과 회피
갑오개혁기, 관망과 반격
안일한 현실 인식과 농민항쟁의 확산
왕권 위기와 대원군에게 온 세 번째 기회
군주권 수호를 위한 반격
대한제국기, 개혁과 저항
광무개혁의 장으로 나아가다
러일전쟁의 위기와 소극적 대응
침묵의 저항과 리더십의 약화
고종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화려하게 호명된 두 인물
유약하고 어리석은 군주
망국의 군주, 개혁군주의 이중성
1. 고종이 구상한 국가
유년시절과 국왕 즉위
잠저에서의 소양교육과 갑작스러운 즉위
역사서를 좋아했던 고종
고종의 롤모델, 동치제와 정조
수양의 길, 성군의 길
선의의 경쟁관계, 동치제
통치의 모범, 정조
동·서양 문명의 이상적 절충
친정체제를 구축하다
새롭게 눈뜨기 시작한 국제정세
동·서양 문명의 이상적 절충을 도모하다
2. 고종의 인재 발탁과 경영
집권 초기, 순수무인 세력과 민씨척족
순수무인 세력의 등장과 활용
권력기반의 배후세력, 민씨척족
집권 중기, 개화파와의 제휴와 민씨척족
개화파와의 제휴
개화자강 정책의 실무 세력, 민씨척족
집권 후기, 근왕세력의 발탁과 민씨척족
근왕세력의 발탁과 갈등
고락을 함께한 운명공동체, 민씨척족
고종의 인사정책과 불안정한 리더십
3. 내아문 중심의 국정 운영 방식
내아문 체제를 통한 국정 운영
내아문 1기, 통리기무아문 시기
내아문 2기, 통리군국사무아문 시기
내아문 3기, 내무부 시기
내아문과 의정부의 역할 구분
이중적 행정체제에 따른 결과와 영향
의정부와 내아문의 혼란 속 공조관계
원세개의 전횡과 내아문의 위축
4. 왕권 약화 위기에 따른 대응 방식
임오군란기, 인내와 참회
대원군에게 온 두 번째 기회
국정 수습보다 시급했던 왕후의 안위
대원군의 오만과 돌이킬 수 없는 실수
고종의 인내와 참회
갑신정변기, 방관과 회피
정변으로 가는 길
긴박했던 3일간의 행로
고종의 방관과 회피
갑오개혁기, 관망과 반격
안일한 현실 인식과 농민항쟁의 확산
왕권 위기와 대원군에게 온 세 번째 기회
군주권 수호를 위한 반격
대한제국기, 개혁과 저항
광무개혁의 장으로 나아가다
러일전쟁의 위기와 소극적 대응
침묵의 저항과 리더십의 약화
저자 소개
'36.한국근대사 연구 (독서>책소개) > 1.한국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인된 역사 (2017) - 대장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 농민 (0) | 2024.07.05 |
---|---|
고종과 일진회 (2020) - 고종시대 군주권과 민권의 관계 (0) | 2024.07.04 |
애국인가 친일인가 (2019) (0) | 2024.06.12 |
고종과 이토 히로부미 (2024) - 망국의 길목에서, 1904~1907 (0) | 2024.06.09 |
근대 한국의 감리서 연구 (2024) - 해관 감독 기구에서 '지방대외교섭' 관서로 (0)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