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왜
항왜(降倭)는 넓은 뜻으로는 한국에서 귀화한 일본인들을 가리키던 용어이지만, 좁은 뜻으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 및 명에 투항한 일본군을 가리킨다. 반대로 조선인이면서 일본에 투항하거나 협력한 사람은 '순왜'(順倭)라고 불렀다.
항왜는 전쟁 당시 조선군의 전력 향상에 적지 않은 도움을 주었고, 전쟁이 끝난 후에도 조선에 남아 자손을 낳고 살기도 했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이괄의 난에 가담하고, 거꾸로 난을 진압하는 데 활약하거나 병자호란 때 청군을 막는데 활약하기도 했다.
임진왜란때 조총술을 조선군에 전파하고 전장에서도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앞장서 조선국왕으로부터 성과 이름을 받은 김충선(金忠善, 일본명 사야가沙也可)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임진왜란 전의 항왜
항왜라는 말은 나오지 않지만 일본 사람들이 한국으로 귀화한 사례는 벌써 10세기 말인 999년(목종 2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조선왕조실록》 상에서 항왜는 14세기 말인 1396년(태조 5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세종 대에는 조선에 완전히 귀화하고 조선 여성과 결혼해 자손을 둔 사람도 있었으며, 세조 대에는 항왜들에게 본관을 하사한 사례가 있었다.
임진왜란 중 항왜 발생의 원인
임진왜란 중에 항왜들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열악한 식량 사정, 과중한 노역, 조선 조정의 우대책 등이 있다. 그 결과 1595년 말에는 이미 항왜의 숫자가 5~6천 명 가량이나 되었다.
조선식 성명으로 바꾸다
이들은 때때로 조선의 성과 이름을 하사받기도 했으며[9] 또는 시간이 오래 지나면서 자신의 이름을 조선식 성과 이름으로 바꾸기도 했다(성씨로 예를 들면 신(辛), 여(呂), 김(金) 등).
활동상
전쟁 중
이들은 전쟁에 공을 세우거나, 기술을 전수하는 일 등을 맡았었다.
종전 후
이들의 활동상은 전쟁이 끝난 뒤에는 (김충선 같은 사람을 제외하면) 찾아보기가 어렵다. 하지만 드문드문 남아있기도 하다. 예를 들면 전쟁이 끝난 뒤에 김귀순(金歸順)은 항왜를 처리·관리하는 일, 포수(砲手)를 선발하는 일, 도적을 잡아 오는 일 등을 맡았었다.
김충선
신상정보
출생 1571년 1월 28일
사망 1642년 10월 23일 / 경상도 대구도호부 상수남면 우록동
성별 남성
개명 사야카(임진왜란 이전) / 김충선(임진왜란 이후)
주군 가토 기요마사 → 선조
복무 일본군 → 조선군
최종직위 정2품 정헌대부
지휘 항왜
주요 참전 임진왜란 / 이괄의 난 / 병자호란 / 씨족 우록 김씨 /
자녀 김경원 / 김우상 / 김경신 / 김경인
김충선(金忠善, 일본어: 沙也可 사야카, 1571년 1월 28일(음력 1월 3일)~1642년 10월 23일(음력 9월 30일))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귀화한 항왜 장수로, 귀화한 후에는 자를 선지(善之), 호는 모하당(慕夏堂)으로 지었다. 본관은 김해(金海)다.
생애
임진왜란과 항왜 김충선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좌선봉장으로 군사 3000명을 인솔하고 한반도로 쳐들어왔다가 경상도 병마절도사(慶尙道兵馬節度使) 박진에게 항복한 뒤 귀부(歸附)하여 여러 번 전공을 세웠다. 동래성으로 상륙한 지 다음 날이었다. 사야가는 박진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강화서에서 “이 나라의 예의문물과 의관 풍속을 아름답게 여겨 예의의 나라에서 성언의 백성이 되고자 할 따름입니다.”라고 썼다.
이후 사야가는 경상도의 의병들과 함께 힘을 합쳐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고, 곽재우(郭再祐)와도 연합하기도 했다. 의병 및 조선군 장수로서 모두 78회의 전투를 치렀으며, 이때 전공을 세워 정3품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손시로(孫時老)등 항복한 왜장(倭將)과 함께 의령(宜寧)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무관 3품 당상(堂上)에 올랐으며, 이어 사야가는 울산성 전투에 경상도 우병사 김응서(金景瑞) 휘하로 울산왜성에 농성 중이던 가토의 1군을 섬멸하는 공을 세웠고,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를 하사받기도 했다.이후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 어사 한준겸(韓浚謙)의 주청(奏請)으로 선조로부터 김해 김씨와 김충선(金忠善)이라는 조선 이름을 하사받고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승진했다.
귀화한 후에는 화포와 조총 제조 기술을 전수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예를 들면 사야가는 귀화한 직후 조총 개발을 건의하는 서신을 절도사에게 제출했고,이순신과 나눈 서신에서는 이미 조총을 개발하여 훈련하고 있다고 쓰고 있다.그 밖에도 서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활동했던 인물들과 교류했는데, 그 중에는 이덕형, 정철, 류근, 권율, 조호익, 김성일, 이순신, 곽재우, 김덕령, 김응서 등이 있다.
임진왜란 이후 행적
임진왜란 이후 야인(野人)들의 침입이 잦자 변방(邊方) 방어를 자청하여 임무를 수행하고 10년 동안 북방 변경 수비를 한 공로로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다. 1624년(인조 2년) 이괄의 난 때 이괄의 부장(副將) 서아지(徐牙之)를 포참(捕斬)한 공으로 사패지(賜牌地)를 받았으나 사양하고, 수어청(守禦廳)에 반납하여 둔전(屯田)을 만들었다.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 때 소명(召命)을 받지 않고 광주(廣州) 쌍령(雙嶺)에 나가 싸워 청나라 병사 500여 명을 베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었다는 말을 듣고 대성통곡하며 대구(大邱)의 녹리(鹿里)로 돌아갔다. 1642년(인조 20년)에 사망했다. 사후 삼정산(三頂山)에 묻혔으며, 그 뒤 녹동서원(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있음)에 배향되었다. 1798년(정조13년) 지방 유림들에 의해 창건된 녹동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14년에 재건되었다.
1904년에 촬영된 김충선의 후손들 사진
결혼과 후손
그는 1600년(선조 33년)에 진주 목사 장춘점(張春點)의 딸 인동 장씨와 결혼해 이후 아들 다섯 명과 딸 한 명을 두었다.
현재까지도 김충선의 후손들이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녹동서원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고있다.
순왜
순왜(順倭)는 왜란 당시에 조선인으로서 일본에 협력한 자를 이르는 말이다. 역으로 조선에 부역한 일본인은 항왜라고 불린다.
개요
순왜는 주로 조선 정부에 반감을 품었거나 일본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굴복하여 부역(附逆)한 자들로 이루어졌다. 이들 순왜는 크게 세 부류로 나뉘는데, 하나는 조선 조정에 불만이 있던 자들이 정유재란 때 일본과 결탁하여 난을 일으킨 경우, 두 번째는 왜군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고 조선의 상황 등 각종 정보 제공을 하였던 것, 마지막으로 왜군으로 참전하여 전투를 나선 경우로 나뉜다. 조선 후기 조선 국민들의 민심이 크게 이반되어 일본군이 쳐들어 왔을 때, 적극적으로 일본군에 동조하는 현상이 있었다. 이는 당시 조선 조정의 통치에 대한 불만이 사회 저변에 팽배한 결과로, 이와 같은 사회 분위기를 등에 업고 일본 군대는 아무런 저항 없이 왕도 한양까지 손쉽게 진출하였다.
대표적인 인물은 1587년 정해왜변 때 일본군의 길잡이로 활동한 사화동과 임진왜란 때 왕자와 관리들을 포박하여 가토 기요마사에게 넘긴 국경인과 김수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외에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는 사천해전에서 왜군 선단에서 조총을 쏘는 소총수 중에 조선인도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임해군과 순화군은 병력을 모으기 위하여 함경도로 갔으나 민가를 약탈하고 주민을 살해하는 등의 행위로 반감을 샀다. 이러한 행태에 불만을 품은 국경인, 김수량, 이언우, 함인수, 정석수, 전언국이 조선 왕자 일행을 억류하고 일본군에 넘겨 주었고, 곧 이들은 가토 기요마사에게 직위를 받아 회령을 통치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들이 회령의 봉토를 나누어 가지고 임해군 일행과 별 다를 바 없는 전횡을 시작하자 민중의 향배가 바뀌었고, 이후 조선 군대의 계속되는 승전 속에 회령의 순왜는 모두 암살 혹은 처형에 당했다.
박계생은 경상북도 청도 출신으로 고니시 유키나카의 부장이 되어 보좌하였으며, 한국에 돌아 왔다는 기록이 없다. 한편 청도에서 일본군에 사로잡힌 이문욱은 도망쳐 조선에 다시 돌아왔으므로 순왜로 여겨지지 않는다.
Sources Wikipedia
'04.동북아역사 (2024~) [해설서] > 5.한일관계 (교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북] 왜관 (1) | 2024.11.22 |
---|---|
[웹북] 왜국 (1) | 2024.11.22 |
[웹북] 왜구 (13세기~16세기) (3) | 2024.11.22 |
[웹북] 대마도정벌 (1389박위. 1396김사형. 1419이종무.) (11) | 2024.11.22 |
[웹북] 조선통신사 (2)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