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교육의 이해 (독서>책소개)/3.역사교육

한국 실증주의의 사학과 식민사관 (2020 임종권)

동방박사님 2022. 10. 11. 13:31
728x90

책소개

저자는 『한국 실증주의 사학과 식민사관』에서 한국 실증주의 사학이 정작 실증주의 역사학의 창시자인 랑케의 실증주의 사학을 변질시킨 일본 제국주의 역사학의 사생아라는 사실을 실제 랑케의 역사학을 근거로 밝혀내고 있다. 현재 한국 사학계가 자신들을 실증주의 사학이라고 주장하면서 민족주의를 배제한 역사학을 객관적인 역사학으로 포장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실증주의 역사학의 본 모습이 식민사학임을 호도하기 위한 것임을 논증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23p

1장. 한국역사에서 식민사학의 문제 - 31p

2장. 랑케 실증주의 역사학의 텍스트
1. 실증주의란 무엇인가 - 49p
2. 랑케 실증주의 사학의 배경 - 70p
3. 랑케의 시대 : 독일 민족의 역사 - 94p
4. 랑케의 『강국론』 - 118p
5. 국가의 원동력 : 도덕적 에너지와 민족정신 - 125p
6. 역사의 지배경향(이념) - 166p
7. 개별성과 보편성 : 민족의 역사와 세계사 - 174p
8. 랑케의 민족과 국가의 의미 - 193p
9. 실증주의 역사의 해석 : 역사의 특수성 - 203p

3장. 일본 근대 역사학 형성
1. 제국주의와 랑케의 실증주의 - 223p
2. 교토학파와 근대 역사학 - 249p
3. 일제의 식민사관과 제국주의 정치권력 - 285p

4장. 한국 실증주의 사학
1. 한국 근대 역사학의 흐름 - 303p
2. 민족주의 사학과 랑케 실증주의 사학 - 367p

5장. 식민사관의 그늘 - 431p

6장. 현대 역사학의 흐름
1. 한국사학의 과제와 극복 - 483p
2. 한국사 발전을 위한 새로운 역사학 - 498p

저자 소개

저 : 임종권
 
숭실대 사학과를 나와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프랑스 노동사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한 다음 프랑스 국립문서보관소(Archives Nationale)와 국립도서관(Bibliotheque nationale de France)에서 프랑스 지식인을 연구한 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숭실대학교에서 후학을 가르치다 현재 한국국제학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프랑스 지식인의 세계』, 『한국 실증주의 ...

출판사 리뷰

저자 임종권 박사는 서양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국제학연구원장을 역임하고 있는 중견사학자다. 그는 특히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와 일본어 원전까지 능숙하게 해독할 줄 아는 드문 역사학자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 실증주의 사학이 정작 실증주의 역사학의 창시자인 랑케의 실증주의 사학을 변질시킨 일본 제국주의 역사학의 사생아라는 사실을 실제 랑케의 역사학을 근거로 밝혀내고 있다. 현재 한국 사학계가 자신들을 실증주의 사학이라고 주장하면서 민족주의를 배제한 역사학을 객관적인 역사학으로 포장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실증주의 역사학의 본 모습이 식민사학임을 호도하기 위한 것임을 논증하고 있다.

한국 실증주의 사학은 랑케의 실증사학과도 아주 다른데 랑케는 『강국론』 등에서 제국주의 역사학을 비판하고, 각국 역사의 특수성을 옹호했던 독일 민족주의 역사학자인데도 한국 실증주의 사학은 거꾸로 랑케 실증주의 역사학이 제국주의(세계주의) 역사학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제는 메이지시절 랑케의 제자 리스를 초빙해 도쿄대학 사학과를 만들면서 랑케의 실증주의 역사학을 일본 제국주의 역사학으로 변질시켰고,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 바로 이를 근거로 한국사를 비하하고 왜곡했다는 것이다. 해방 후 이병도·신석호·이기백 등의 역사학자들이 식민사학이란 자신들의 역사학을 실증사학으로 바꾸어달면서 랑케 실증주의 사학이 마치 제국주의 역사학을 옹호하는 것처럼 변질시켰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 책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었는데, 1장에서는 한국 역사에서 식민주의 사학의 문제점에 대한 논란이 왜 지속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2장에서는 랑케 실증주의 사학의 방법론과 의미, 역사관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일제 역사가들이 랑케 실증주의 사학을 어떤 방식으로 제국주의 이념에 부합한 식민사관을 변질시켰는지 추적했다. 4장에서는 일제에 의해 변형된 실증주의 사학이 한국 역사학계에 수용된 과정과 오늘날까지 한국 사학계를 지배해온 한국 실증주의 사학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식민사관과의 연관성을 찾으면서 또 이를 한국 민족주의 사학과 상호비교하면서 비판했다. 결론 부분에서 한국 실증주의 사학이 원래 일본 제국주의 역사가들로부터 수용된 것인 만큼 민족의 개별성과 특수성이 강조된 본래 랑케 실증주의 사학을 회복하는 것이 한국 역사학이 지향해야 할 첫째 과제이자 이후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국 역사학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서술했다.

저자는 서문에서 “본래 공모주제에 부합되게 연구한 이 내용에 대하여 한국 실증주의 사학과 식민사관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비판했다는 이유로 F 판정을 내린 것은 다분히 친일 성향의 역사관을 지닌 일부 학자들의 횡포”라고 비판하면서 “식민사관을 비판하고 올바른 역사관을 세우려는 연구자들의 피와 땀 그리고 학문적 열정을 잘못된 편견에 의하여 비판하고 출판까지 금지한 당국의 조처는 오히려 식민사관을 옹호하려 한 의도가 아닌지” 질문하고 있다.

특히 한중연은 이 저서에 대해 출간금지 조처를 내리면서 『민족주의는 반역이다』라는 책을 인용하지 않은 것도 탈락 및 출간금지의 근거로 들었다. 이는 한중연과 교육부가 ‘일제강점기 민족지도자들의 역사관과 독립운동’을 ‘반역’으로 보는 반국가적, 반민족적, 반역사적 자세를 갖고 있음을 스스로 드러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