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1.삼국시대사 (BC57~AD668)

[웹북] 계백 장군 (660년) - 황산벌 전투

동방박사님 2024. 11. 10. 21:56
728x90

계백

계백 / 階伯

660820일 음력 79

신라 황산벌 /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

달솔 / 백제 / 백제 육군

백제군 결사대

황산벌 전투

계백(階伯, ? ~ 660820(음력 79))은 백제 말기의 군인이다.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할 때 가족의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충성을 지킨 인물로 알려져 있다. 군사 5천을 이끌고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과 네 차례의 전투를 벌인 끝에 백제군이 전멸하고 계백도 전사했다. 성충, 흥수와 함께 백제의 충신이라 불린다.

생애

660년 당의 신구도대총관(神丘道大摠管) 소정방이 이끄는 13만 수군과 신라의 상장군 김유신이 지휘하는 5만 육군이 수륙 협공으로 백제를 침공했을 때, 계백은 충상의 지휘 하에 5천의 결사대로 황산벌에서 신라군을 만났다. 이때 계백은 "작은 나라의 병사로 당의 대군과 신라를 상대해야 하니, 국가의 존망을 알 수 없다. 처자식이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될지도 모른다. 살아서 치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쾌히 죽는 것이 낫다."며 자신의 칼로 직접 처자를 죽였다. 황산벌에서 계백은 월나라 왕 구천이 5천의 군사만으로 오나라의 70만 군사를 격파한 일을 언급하며, 무서워하지 말자는 말로 병사를 독려했다. 이때 세 곳에 나뉘어 진을 친 백제군은 신라군과 네 번의 전투에서 모두 이겼다. 이에 신라군은 대장군 김유신의 동생 김흠순의 아들 반굴이 1인 돌격 전술을 구사하며 전사했고, 다음으로 1인 돌격 선봉에 나선 좌장군 김품일의 아들 관창은 사로잡혔다. 계백은 관창의 나이가 어린 데도 기품이 뛰어나고 용맹스러워서 돌려보냈지만, 다시 진영으로 돌격해오자 결국 관창을 잡아 처형했다. 관창의 죽음으로 용기를 얻은 신라군은 백제군과 맹렬하게 싸웠고, 결국 백제군은 충상, 상영 등 신라에 항복한 20인을 제외한 4980명이 사망하며 패했고 계백도 전사했다.

평가

삼국사기에 열전을 통해 고려 시대에 유교적 대의명분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조선 시대에도 유학자들로부터 국가를 위해 가족의 목숨을 포기한 충신이라는 평이 나왔다.

신라군과의 전투를 앞두고 가족을 죽였다는 삼국사기열전의 기록에 대해서는 무도했고 도의에 어긋난 지나치고 잔인한 처사였다는 평가[1] 가 있는 반면, 본인도 결국 사망했으니 도의에 어긋나기는 했어도 혹평할 수는 없다는 옹호론도 존재한다. 마음만 앞서 가족을 죽임으로써 결국 병사들이 겁먹고 싸우기도 전에 패하게 된 것이라는 지적 에 대해서도, 가족을 잊어버리면 전투에 유리하다는 병법의 가르침을 들어 계백을 방어한 주장 도 존재한다. 그러나 백제의 옛 수도였던 부여를 유람한 일부 시인들은 계백의 죽음을 기리는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논란

보통 계백을 성명으로 간주하는 견해가 일반이지만, 김정호의 大東地志(대동지지)기록을 증거로 계백은 본래 흑치상지처럼 백제 왕족의 후예였다는 가설이 있다. 열전에서 성명이있듯이 언급한 '계백'은 계백의 조상이 분봉받은 지역으로서 그곳은 음운상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잡지에 기록된 당시 개백현(皆伯縣)으로 비정되며, 계백의 조상이 분봉된 지역이자 계백씨(階伯氏)의 유래가 된 곳이라는 가설이다.

사당 및 묘소

성리학적 질서의 확립과 더불어 각지에 위인을 모신 사립학교의 형태를 띤 서원이 건립되면서 계백을 제향하는 비사액서원이 부여를 중심으로 건립되었는데, 불법 운영으로 인해 조선 말기의 서원철폐령 때 대부분 철폐되었고 일부가 20세기에 들어서 재건되었다.

의열사(義烈祠)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14. 선조 8(1575)에 당시의 부여현감이었던 홍가신(洪可臣)이 용정리 망월산에 처음 지었으며, 백제의 성충·흥수·계백과 고려 후기의 충신 이존오를 제사지낸 것을 시초로 한다. 인조 19(1641)에 새로 고쳐 지었으며, 선조 때의 선비 정택뢰(鄭澤雷)와 인조 때의 문신 황일호(黃一皓)를 추가로 더 모시고 제사지냈다.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3(1866)에 폐지되었다가 다시 지었고, 1971년 남령공원으로 옮겨서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충곡서원지(忠谷書院址)(충남 논산시)

충청남도시도기념물 제12. 계백과 사육신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숙종 6(1680)에 세운 서원이다. 고종 5(1868)에 폐쇄되었고 1933년 복원하였다. 지금은 문신 11명을 추가로 더 배향하고 있다. 충남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 산13 소재.

삼충사(三忠祠)

부소산성 내에 소재한 이곳은 1957년에 처음 지었고 해마다 백제문화제 때 삼충제를 지낸다. 현재의 모습은 1981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안에는 성충·흥수·계백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또한 신라와 백제의 전장이었던 신라 황산벌 서북쪽에 해당하는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산기슭에는 오래전부터 계백의 무덤이라 전해오는 고분이 존재했는데, 이 고분이 확실히 계백의 것임을 보여주는 증거는 미신 외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곳은 '계백장군유적전승지'라는 이름으로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

Sources Wikipedia

'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 > 1.삼국시대사 (BC57~AD66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북] 고구려  (0) 2024.11.10
[웹북] 김유신 (660~673) 신라 대장군  (0) 2024.11.10
[웹북] 의자왕 (백제)  (0) 2024.11.10
[웹북] 신라  (6) 2024.10.28
[웹북] 백제  (4)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