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소개
한국사의 통설,
조선왕조의 ‘신흥 사대부’ 건국론에 도전한다!
1966년 미군으로 한국에 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근무한 뒤 고려대에서 한국사 공부를 시작한 이래 40여 년 동안 한국을 바라본 친한파이자, 1989년부터 UCLA 교수로 재직하며 지금까지 24명의 한국학 박사를 배출하며 현재 서구에서 한국 역사학을 이끄는 존 던컨 교수. 그는 이 책에서 조선왕조의 뿌리를 고려왕조에서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는 조선의 건국을 단순한 왕조교체로 보지 않고 한국사회의 질적 변화로 인식해 온 통설을 뒤엎는 것이다.
이 책의 고려-조선왕조 교체에 대한 핵심요지는 고려전기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중앙집권적 관료체제의 완성으로, 고려의 중앙관료귀족이 지방의 귀족인 향리를 완전히 제압한 기나긴 역사적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 던컨 교수는 조선의 건국에 대해 “지방에 근거한 향리 출신의 지배층이 타락한 옛 중앙 귀족에 승리한 것이 아니라 중앙의 관료적 귀족이 지방 자치적이며 향리 중심적인 신라-고려 교체기의 옛 제도에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 것”이라 한다.
저자는 40년 한국사 공부 역량을 총동원한 이 책이 한국에서 출간된다는 소식에 접하며 “한국사 통설인 신흥 사대부설에 정면 도전하는 연구로서, 다시 여말-선초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조금이라도 불러일으켜 이 중요한 역사적 전환기에 대해 더 좋은 해석이 나오게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한다.
조선왕조의 ‘신흥 사대부’ 건국론에 도전한다!
1966년 미군으로 한국에 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근무한 뒤 고려대에서 한국사 공부를 시작한 이래 40여 년 동안 한국을 바라본 친한파이자, 1989년부터 UCLA 교수로 재직하며 지금까지 24명의 한국학 박사를 배출하며 현재 서구에서 한국 역사학을 이끄는 존 던컨 교수. 그는 이 책에서 조선왕조의 뿌리를 고려왕조에서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는 조선의 건국을 단순한 왕조교체로 보지 않고 한국사회의 질적 변화로 인식해 온 통설을 뒤엎는 것이다.
이 책의 고려-조선왕조 교체에 대한 핵심요지는 고려전기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중앙집권적 관료체제의 완성으로, 고려의 중앙관료귀족이 지방의 귀족인 향리를 완전히 제압한 기나긴 역사적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 던컨 교수는 조선의 건국에 대해 “지방에 근거한 향리 출신의 지배층이 타락한 옛 중앙 귀족에 승리한 것이 아니라 중앙의 관료적 귀족이 지방 자치적이며 향리 중심적인 신라-고려 교체기의 옛 제도에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 것”이라 한다.
저자는 40년 한국사 공부 역량을 총동원한 이 책이 한국에서 출간된다는 소식에 접하며 “한국사 통설인 신흥 사대부설에 정면 도전하는 연구로서, 다시 여말-선초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조금이라도 불러일으켜 이 중요한 역사적 전환기에 대해 더 좋은 해석이 나오게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한다.
목차
1장 고려의 정치제도
중앙 정치제도
왕권 - 중앙 관료 제도의 창출 - 무신 치하의 제도 개혁
지방행정 제도
지방의 사회·정치적 질서 - 중계적 지방 관서를 설치하려는 시도 - 군현의 통제
자원을 둘러싼 갈등
전시과 - 그 밖의 토지자원들
결론
2장 중앙 관료적 귀족의 흥기
고려 전기의 중앙 관원층
고려 전기의 주요 가문들 - 주요 가문의 기원 - 등용 제도와 사회적 지배층 - 중앙 관원의 경력 유형 - 요 가문의 융성
고려 후기의 주요 가문들
고려 후기의 중앙 관원층 - 등용 제도 - 경력의 유형 - 권문세족과 사대부 문제
중앙 가문의 경제적 기반
고려 전기 - 고려 후기
결론
3장 왕조 교체기의 양반
조선 개창기의 중앙 관원층
1392~1400년의 중앙 관원층 - 태종 초반(1401~1405)의 중앙 관원층 - 지파의 연합 - 등용 제도
양반 가문의 내부 구조
조선 전기 주요 가문의 세계 - 주요 가문의 혼인 관계
15세기 중반의 주요 양반 가문들
15세기 중반의 관원층 - 15세기 중반의 과거제도 - 주요 중앙 양반 가문
조선 전기 양반의 경제적 재원
결론
4장 고려 후기의 제도적 위기
권력투쟁
고려 후기 정치제도의 구조 - 원 간섭기의 정치권력 - 원 간섭기 이후의 정치권력 - 개혁의 시도
자원의 장악을 둘러싼 투쟁
외침 - 중앙 세력의 지방 수탈 -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투쟁
문제의 기원 -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노력
결론
5장 개혁과 왕조 교체
재정 개혁
과전법 - 자원을 창출하고 통제하려는 국가의 시도
신분제도의 재정립
지방행정의 개편 - 지배층의 감축
중앙 정치제도의 재편
정치 개혁: 첫 번째 국면, 1392~1400년 - 정치 개혁: 두 번째 국면, 1400~1405년
결론
6장 개혁의 이념
사상의 복잡성
고려 전기부터 중기의 사장과 고문 - 왕조 교체기의 고문과 정주학 - 조선 전기에 남은 당풍의 흔적
과거제도를 둘러싼 갈등
고려 후기의 과거 - 조선 전기의 과거 - 유교와 개혁
결론
7장 몇 가지의 최종적 고려 사항
연구 성과의 요약
해석과 비교의 결과들
중앙 정치제도
왕권 - 중앙 관료 제도의 창출 - 무신 치하의 제도 개혁
지방행정 제도
지방의 사회·정치적 질서 - 중계적 지방 관서를 설치하려는 시도 - 군현의 통제
자원을 둘러싼 갈등
전시과 - 그 밖의 토지자원들
결론
2장 중앙 관료적 귀족의 흥기
고려 전기의 중앙 관원층
고려 전기의 주요 가문들 - 주요 가문의 기원 - 등용 제도와 사회적 지배층 - 중앙 관원의 경력 유형 - 요 가문의 융성
고려 후기의 주요 가문들
고려 후기의 중앙 관원층 - 등용 제도 - 경력의 유형 - 권문세족과 사대부 문제
중앙 가문의 경제적 기반
고려 전기 - 고려 후기
결론
3장 왕조 교체기의 양반
조선 개창기의 중앙 관원층
1392~1400년의 중앙 관원층 - 태종 초반(1401~1405)의 중앙 관원층 - 지파의 연합 - 등용 제도
양반 가문의 내부 구조
조선 전기 주요 가문의 세계 - 주요 가문의 혼인 관계
15세기 중반의 주요 양반 가문들
15세기 중반의 관원층 - 15세기 중반의 과거제도 - 주요 중앙 양반 가문
조선 전기 양반의 경제적 재원
결론
4장 고려 후기의 제도적 위기
권력투쟁
고려 후기 정치제도의 구조 - 원 간섭기의 정치권력 - 원 간섭기 이후의 정치권력 - 개혁의 시도
자원의 장악을 둘러싼 투쟁
외침 - 중앙 세력의 지방 수탈 -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투쟁
문제의 기원 - 신분제도를 유지하려는 노력
결론
5장 개혁과 왕조 교체
재정 개혁
과전법 - 자원을 창출하고 통제하려는 국가의 시도
신분제도의 재정립
지방행정의 개편 - 지배층의 감축
중앙 정치제도의 재편
정치 개혁: 첫 번째 국면, 1392~1400년 - 정치 개혁: 두 번째 국면, 1400~1405년
결론
6장 개혁의 이념
사상의 복잡성
고려 전기부터 중기의 사장과 고문 - 왕조 교체기의 고문과 정주학 - 조선 전기에 남은 당풍의 흔적
과거제도를 둘러싼 갈등
고려 후기의 과거 - 조선 전기의 과거 - 유교와 개혁
결론
7장 몇 가지의 최종적 고려 사항
연구 성과의 요약
해석과 비교의 결과들
저자 소개
'35.조선시대사 이해 (독서>책소개) > 1.조선왕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조를 만든 경종의 그늘 (0) | 2022.05.22 |
---|---|
왕 이라는 유산 (0) | 2022.02.15 |
광해군: 그 위험한 겨울 (0) | 2022.02.15 |
왕과 아들 : 조선시대 왕위 계승사 (0) | 2022.02.07 |
이성계와 이방언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