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일본학 연구 (학부전공>책소개)/2.일본문화사상

한국에서 바라본 일본의 차문화 (2024)

동방박사님 2024. 9. 28. 07:28
728x90

책소개

다도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이웃나라의 차문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 주변에는 중국차를 즐기는 사람과 중국차를 전문으로 다루는 찻집도 심심찮게 발견된다. 그 뿐만 아니라 일본의 차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일본 다도교실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차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단 환영할 만하다. 다양한 가치관과 취향을 지닌 사람들과 함께 공존할 수 있다는 사회는 그만큼 관용적이고 건강하다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올바른 차문화에 대한 이해가 더해진다면 보다 더할 나위가 없는 바람직한 사회가 될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늘어나는 차인구에 비해 차문화의 연구는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일본의 차문화는 더욱더 그러하다. 그렇다고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있다 하더라도 단편적인 글들이 대부분이어서 이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그 중에는 민족주의적 편향성마저 보이고 있는 것들도 적지 않아, 그것을 통해 객관성이 담보된 일본 차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 책은 올바른 일본 차문화의 이해를 위해 그릇된 담론을 지적하고, 객관적인 자세로 구체적인 자료와 사례를 통하여 일본의 차문화를 들여다 보려고 노력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고대 일본차의 백제 기원설

1. 일본차의 백제 기원설
2. 차나무를 전한 담혜화상
3. 백제승 행기에 의한 전래
4. 행기의 백제 차나무 전래설
5. 일본 고대차와 백제

제2장 고대 일본차의 기원과 전래전승

1. 일본차의 기원
2. 일본에서 발견된 차 이야기
3. 하늘에서 내려준 선물
4. 중국에서 전래된 차 이야기
5. 차의 전래와 역사

제3장 일본 고대의 차문화

1. 일본 고대의 차문화
2. 입당구법승이 전한 음다문화
3. 제다와 음다
4. 불교의례에 이용된 차
5. 음용의 목적
6. 차문화의 흥융과 쇠퇴

제4장 일본 다조 에이사이는 가야의 후손

1. 에이사이는 일본의 다조
2. 차전래 전설을 통해서 본 에이사이(榮西)
3. 에이사이의 가계와 출신지
4. 기노조(鬼ノ城)와 가야씨
5. 에이사이는 가야의 후예

제5장 일본의 사두차회를 통해서 본 고려선원의 접빈다례

1. 중국인이 본 고려 음다풍속
2. 일본의 사두차회
3. 사두차회의 기원과 전래
4. 고려 선원의 접빈다례
5. 동아시아의 선원다법

제6장 일본 사원의 시다의례

1. 불교사원의 시다란?
2. 육바라밀사의 오부쿠차(大福茶)
3. 서대사의 오차모리(大茶盛)
4. 시다의례의 전개양상과 서민신앙
5. 중국과 한국의 시다문화
6. 시다의 의미

제7장 일본으로 간 원효의 무애차

1. 일본에 영향을 끼친 원효의 무애차
2. 원효의 무애차
3. 일본으로 간 원효의 무애차
4. 서대사 오차모리의 상징적 의미
5. 원효의 무애차와 서대사의 오차모리

제8장 일본의 투차문화

1. 차의 전쟁
2. 투차를 즐기는 사람들
3. 무사들의 화려함의 극치 투차놀이
4. 임한다탕과 운각차회
5. 쇠퇴와 변모
6. 투차의 의미

제9장 일본 초암다실의 한국기원설

1. 일본 초암다실과 한국
2. 일본인에 의한 한국 기원설
3. 한국인에 의한 한국기원설
4. 김시습과 준장로
5. 김시습의 초암과 다법
6.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

제10장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과 계보

1.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
2. 쥬코 이전에도 초암이 있었다.
3. 일본 초암다실의 기원은 『유마경』에 있다.
4. 초암다실의 전개
5. 초암다실의 특징과 의의
6. 초암다실의 상징적 의미

저자 소개 

저 : 노성환 (No,Sunghwan,魯成煥)
울산대 일본어 일본학과 명예교수. 통도사 차문화대학원 교수. 일본오사카대학 대학원졸업(문학박사), 미국 메릴랜드대학 방문교수, 중국 절강공상대학 객원 교수,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외국인연구원 역임, 주된 연구분야는 신화, 역사, 민속을 통한 한일비교문화론이다. 최근에는 동아시아 차문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저서 『일본 속의 한국』(울산대 출판부, 1994), 『한일왕권신화』(울산대 출판부, 1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