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반도평화사 (2024~) [해설서] 77

[웹북] 병자호란 (1636~1637)

병자호란 / 丙子胡亂남한산성 수어장대병자호란 날짜 1636년 12월 28일 ~ 1637년 2월 24일장소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결과 조선의 패배청의 조선 간섭교전국 조선 대 청나라조선지휘관  인조 / 도원수 김자점 / 의주부윤 임경업 / 이완 / 신경원 / 전라병사 김준용 / 평안도병사 유림 / 평안도관찰사 홍명구  / 경상좌병사 허완청나라 지휘관 숭덕제 / 아이신 교로 다이샨 / 아이신 교로 지르가랑 / 아이신 교로 도르곤 / 아이신 교로 호오거 / 아이신 교로 요토 / 아이신 교로 도도 / 타타라 잉굴다이 / 슈무루 양구리  / 마푸타 / 사르후다 / 상가희 / 경중명 / 공유덕군대 조선군 / 청군조선병력속오군(지역군, 예비군) 80,000~90,000 / 정규군 54,000명 / 수군 30,000..

[웹북] 임진왜란 (1592~1598)

임진왜란 壬辰倭亂부산진순절도임진왜란 壬辰倭亂날짜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 159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9일)장소 한반도와 만주 용정(현재의 하얼빈 룽징시) / 배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야욕 / 정명가도(일본의 군사 통행권 요구)에 대한 조선국의 거부결과 일본의 철군, 조명연합군의 최종 승리교전국조선 / 명 / 일본 / 지휘관 / 조선군통수권자 국왕 선조 /  왕세자 광해군지휘부영의정 이산해 → 류성룡 /  좌의정 윤두수 / 우의정 이항복 / 도체찰사 류성룡 → 이원익 / 도체찰부사 김응남중앙군도원수 김명원 → 권율 / 도순변사 신립 † / 삼도도순찰사 김여물 † / 순변사 김성일 (→경상우병사) → 이일지방군좌방어사 성응일 / 우방어사 조경 / 경상도순찰사 김수..

[웹북] 선화공주 (백제무왕 30대왕비) <서동요>

선화공주 善花公主  선화공주백제의 24대 / 30대 왕비재위 미상 / 전임 사택왕후(沙宅王后) / 후임 은고(恩古) / 부왕 진평왕(眞平王)이름휘 선화(善花) / 별호 미상신상정보출생일 미상 / 출생지 미상 / 사망일 미상 / 사망지 미상왕조 신라(新羅) 백제(百濟) / 가문 김씨 / 부친 진평왕(眞平王) / 모친 마야부인(摩耶夫人) / 배우자 무왕(武王) / 자녀 의자왕(義慈王)종교 미상선화공주(善花公主, ?~?)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다.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에 의하면 무왕의 왕후는 사택왕후로 기록되었기에 그 실존 여부에 관한 논란이 있다.생애신라 진평왕과 마야부인의 딸이자 선덕대왕과 천명공주의 동생이며 화랑세기에서 등장하는 천화공주의 언..

[웹북] 무왕 (백제)

무왕 / 武王 / 어라하익산 쌍릉 무왕 (백제) 제30대 백제 국왕재위 600년 음력 5월 ~ 641년 음력 3월 / 대관식 무왕(武王) / 전임 법왕(法王) / 후임 의자왕(義慈王)이름휘 부여장(扶餘璋) / 이칭 서동(薯童) / 별호 무강왕(武康王) / 묘호 미상 / 시호 무(武) / 연호 미상신상정보출생일 581년 이전 / 출생지 익산(益山) / 사망일 641년 음력 3월 / 사망지 익산(益山) 왕궁 / 왕조 백제(百濟) / 가문 부여씨(扶餘氏) / 부친 위덕왕(威德王) 법왕(法王) 진이왕(辰爾王) / 모친 미상 / 배우자 사택왕후(沙宅王后) / 선화공주(善花公主) / 자녀 의자왕(義慈王) / 부여교기(扶餘翹岐)의 아버지 / 부여새상(扶餘塞上)종교 불교 / 묘소 쌍릉 (추정}무왕(武王, 581년 이전..

[웹북] 태종 무열왕 (신라)

태종무열왕 / 太宗武烈王통일전에 있는 태종 무열왕 표준영정(좌측)통일전에 있는 태종 무열왕 표준영정(좌측)태종무열왕 제29대 신라 국왕재위 654년 음력 3월 ~ 661년 음력 6월 / 전임 진덕여왕 / 후임 문무왕이름휘 김춘추(金春秋) / 이칭 춘추공(春秋公) / 묘호 태종(太宗) / 시호 무열(武烈)신상정보출생일 603년 / 사망일 661년 음력 6월 (58세) / 부친 문흥왕 김용수 / 모친 천명공주 / 배우자 문명왕후 김씨 / 자녀 문무왕, 김인문, 고타소랑, 지소공주, 요석공주 / 능묘 태종무열왕릉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750무열왕릉 (사적 제20호)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 ~ 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 음력 3월 ~ 661년 음력 6월)이..

[웹북] 김유신 장군

김유신金庾信 / 신라의 추존왕1926년에 발간된 조선명현초상화사진첩에 실린 김유신의 초상화김유신신라의 태대각간재임 668년 ~ 673년 8월 21일신라의 상대등재임 660년 1월 ~ 673년 8월 21일전임 금강 / 후임 김군관 / 군주 문무왕이름별호 흥무공, 대각공 / 시호 개국공(開國公), / 순충장렬흥무대왕(純忠壯烈興武大王)신상정보출생일 건복 12년(595년) / 출생지 신라 만노군 / 사망일 문무왕 13년(673년) 8월 21일 (78세) / 사망지 신라 금성 / 국적 신라 / 경력 관등: 태대각간, 직책: 대장군, 양하도총관, 봉상정경(당) / 가문 신김씨 / 부친 김서현 / 모친 만명부인 / 배우자 영모 부인, 지소 부인 / 자녀 삼광(三光), 원술(元述), 원정(元貞), 장이(長耳), 원망(..

[웹북] 낙화암

낙화암 (落花岩)대한민국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낙화암 종목 문화재자료 제110호 (1984년 5월 17일 지정) / 면적 2,574m2 / 시대 백제위치낙화암(대한민국)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 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10호로 지정되었다.개요백제 의자왕 20년(660년) 나(羅)·당(唐)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함락될 때, 백제의 3천 궁녀가 이곳에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몸을 던졌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바위이다. 그러나 실제로 백마강(白馬江)을 향해 삼천 궁녀가 뛰어들었다고 장담할 수 없다. 낙화암은 삼천 궁녀가 다 올라갈 수 없을 만큼 좁다낙화암 절벽 ..

[웹북] 부여 부소산성

부여 부소산성  (扶餘 扶蘇山城) / (Busosanseong Fortress, Buyeo)부여 부소산성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사적종목 사적 제5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 면적 983,598m2 / 시대 삼국 시대 / 소유 국유위치 부여 부소산성(대한민국)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1 (쌍북리) / 정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백제역사유적지구 / 부소산성 /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어명* Baekje Historic Areas / 프랑스어명* Aires historiques de Baekje등록 구분 문화유산 / 기준 (ⅱ), (ⅲ) / 지정번호 1477지역** 아시아·태평양지정 역사2015년 (제39차 정부간위원회)*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유네스코에 ..

[웹북] 의자왕 (재위: 641~660) 제31대 백제국왕

의자왕의자왕 義慈王 (어라하)제31대 백제 국왕재위 641년~660년 / 전임 무왕 / 후임 풍왕 / 섭정 성충(647~648)이름휘 의자(義慈) / 별호 해동증자(海東曾子)신상정보출생일 599년 / 출생지 미상 / 사망일 660년 / 사망지 당나라 낙양 / 왕조 백제 / 가문 부여씨 / 부친 무왕 / 모친 사택왕후 혹은 선화공주 / 배우자 은고자녀 부여태(扶餘泰) 부여효(扶餘孝) /부여연(扶餘演) 부여풍(扶餘豊)/부여용(扶餘勇) 부여충승(扶餘忠勝) / 부여충지(扶餘忠志) / 부여선광(扶餘禪廣,扶餘善光)종교 불교의자왕(義慈王, 599년~660년)은 백제의 제 31대, 마지막 국왕이다.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어린 시절,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

[웹북] 백제의 멸망 (660년)

백제의 멸망백제의 멸망(신라의 삼국통일 전쟁의 일부)날짜 660년장소 황산벌, 백강, 사비성, 웅진성결과 신라와 당나라의 승리, 백제의 패망교전국신라.당나라  : 백제 항복지휘관신라 태종 무열대왕 / 태자 김법민 / 김유신당나라 당 고종 / 측천무후 / 소정방 백제 의자왕 항복 / 계백 / 의직 병력신라 김유신, 태종 무열왕(50,000명) 소정방 (130,000명) / 총병력 180,000명 백제 계백 5000명 / 의직 20,000명 /총병력 5~6만명.피해 규모신라 신라군 및 당군 전사자 총합 10000명 미만 백제 계백군 4980명 전멸 / 의직군 10,000명 사상자 / 의자왕과 태자 부여효,/ 백성 12,000명 포로백제의 멸망(百濟 ― 滅亡)은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백제를 정복한..

[웹북] 가야

가야 연맹의 국가들과 최대강역.가야 伽倻← 42년~562년 →수도 구야국(전기) / 반파국(후기)정치정치체제 국가 연합왕 42년 ~ 199년 수로왕(초대) / ? ~ 562년 도설지왕(말대) 인문공통어 가야어 / 데모님 가야인 / 민족 변한인종교종교 무속신앙, 불교가야(한국 한자: 加耶, 伽倻)는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 연맹체이다. 가락(駕洛) 또는 가라(加羅, 伽羅, 迦羅, 柯羅)라고도 한다. 삼한 중 하나인 한반도 중남부 현재 김해시에 위치했던 변한의 금관가야(구야국)를 중심으로 변한의 12개 소국을 결집해 성립되었으며, 학계에서는 금관가야가 이끈 가야 연맹을 "전기 가야 연맹"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후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공격으로 금관가야 중심의 전기 가야 연맹이..

[웹북] 삼국시대

삼국 三國국가 고구려 / 백제 / 신라수도고구려 1. 졸본성 2. 국내성 3. 평양성백제 1. 위례성 2. 웅진성 3. 사비성신라 금성군주고구려 28국왕 / 신라 31국왕 / 백제 56국왕건국군주고구려 동명성왕 / 백제온조왕 /  신라 혁거세 거서간멸망군주 고구려보장왕 / 백제의자왕 /  신라경순왕성립고구려 기원전 37년 (주몽 졸본성 정착)신라 기원전 18년(온조 위례성 이주)백제 기원전 57년(혁거세 거서간 추대)멸망고구려 668년(평양성 함락)신라 660년(사비성 함락)백제 935년(경순왕 고려 투항)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7세기까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서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시기를 일컫는다.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백제(660년), 고구려(..

[웹북]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 廣開土大王 광개토대왕 제19대 고구려 국왕재위 391년 5월 ~ 412년 10월 (음력) / 전임 고국양왕 / 후임 장수왕고구려의 태자재위 386년 1월 ~ 391년 5월 (음력) / 전임 태자 구부 (소수림왕) / 후임 태자 거련 (장수왕)이름휘 담덕(談德) · 안(安) / 별호 개토왕(開土王) · 광개왕(廣開王) 호태왕(好太王) 광개토왕(廣開土王) / 시호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國𦊆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국강상광개토지호태성왕(國罡上廣開土地好太聖王) / 능호 국강상(國罡上) / 연호 영락(永樂)신상정보출생일 374년 / 사망일 412년 10월 (음력) (38세) / 부친 고국양왕 / 모친 미상 / 배우자 미상 / 자녀 장수왕 · 왕자(미상) · 왕자(미상)종교 불교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

[웹북] 장수왕

장수왕 / 長壽王장수왕제20대 고구려 국왕재위 412년 10월 ~ 491년 12월 (음력) / 전임 광개토대왕 / 후임 문자명왕고구려 태자재위 409년 4월 ~ 412년 10월 (음력) / 전임 태자 담덕 (광개토왕) / 후임 태자 흥안 (안장왕)이름휘 거련(巨連 · 巨璉) · 연(璉) · 신련(臣連) / 시호 장수(長壽) . 강(康) / 연호 연수(延壽) 건흥(建興) 연가(延嘉)신상정보출생일 394년 / 출생지 고구려 국내성 / 사망일 491년 12월 (음력) (97세) / 사망지 고구려 안학궁 / 부친 고담덕 / 모친 미상 / 형제자매 아우, 고승천의 아버지 / 배우자 미상 / 자녀 고조다 · 고공 · 공주 / 종교 불교능묘 장군총(將軍塚) (추정)장수왕(長壽王, 394년 ~ 491년 음력 12월)은..

[웹북] 연개소문

연개소문 淵蓋蘇文연개소문고구려의 막리지재임 ?~642년 / 전임 연태조 / 군주 고구려 영류왕고구려의 대막리지대수 1대 / 재임 642년 음력 10월~666년 음력 5월 / 후임 연남생 / 군주 고구려 보장왕이름별호 개금(蓋金),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신상정보출생일 미상 / 출생지 고구려 동부(東部) 순노부(順奴部)? 추정 / 사망일 666년? / 가문 연씨 / 부친 연태조 / 모친 소씨(蘇氏) / 형제자매 연정토(淵淨土, 남동생) / 자녀 남생(男生), 남건(男建), 남산(男産)군사 경력복무 고구려군 / 근무 고구려군 / 지휘 고구려군 / 주요 참전 고구려-당 전쟁연개소문(淵蓋蘇文, ?~ 666년?)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인이다. 일명 개금(蓋金)으로도 불린다.중국의 《구당서》, 《신당서》 및 ..

[웹북] 고구려

고구려 (5세기 이전) 高句麗 / 고려 (5세기 이후) 高麗 / 기원전 37년~서기 668년 / 표어 天帝之子천제지자수도 졸본성(기원전 37년 ~ 3년) / 국내성(3년 ~ 427년) / 평양성(427년 ~ 668년)정치정치체제 군주제왕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동명성왕(초대) / 371년 ~ 384년 소수림왕 / 392년 ~ 413년 광개토대왕 / 413년 ~ 491년 장수왕 / 642년 ~ 668년 보장왕(말대) 국상166년 ~ 179년 명림답부(초대) / 294년 ~ ? 창조리(말대) 대막리지642년 ~ 665년 연개소문(초대) / 666년 ~ 668년 연남건(말대)국성 고씨입법부 제가회의역사시대 구분 삼국 시대 • 건국 5세기 기원전 37년 /  • 충주 고구려비 축조 / • 광개토대왕비 축..

[웹북] 김유신 (660~673) 신라 대장군

1926년에 발간된 조선명현초상화사진첩에 실린 김유신의 초상화김유신 / 金庾信신라의 추존왕신라의 태대각간 / 재임 668년 ~ 673년 8월 21일신라의 상대등 / 재임 660년 1월 ~ 673년 8월 21일전임 금강 / 후임 김군관 / 군주 문무왕이름별호 흥무공, 대각공 / 시호 개국공(開國公) / 순충장렬흥무대왕(純忠壯烈興武大王)신상정보출생일 건복 12년(595년) / 출생지 신라 만노군 / 사망일 문무왕 13년(673년) 8월 21일 (78세) / 사망지 신라 금성 / 국적 신라 / 경력 관등: 태대각간, 직책: 대장군, 양하도총관, 봉상정경(당) / 가문 신김씨 / 부친 김서현 / 모친 만명부인 / 배우자 영모 부인, 지소 부인 / 자녀 삼광(三光), 원술(元述), 원정(元貞), 장이(長耳), 원..

[웹북] 계백 장군 (660년) - 황산벌 전투

계백계백 / 階伯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신라 황산벌 / (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달솔 / 백제 / 백제 육군백제군 결사대황산벌 전투계백(階伯, ? ~ 660년 8월 20일(음력 7월 9일))은 백제 말기의 군인이다.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할 때 가족의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충성을 지킨 인물로 알려져 있다. 군사 5천을 이끌고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과 네 차례의 전투를 벌인 끝에 백제군이 전멸하고 계백도 전사했다. 성충, 흥수와 함께 백제의 충신이라 불린다.생애660년 당의 신구도대총관(神丘道大摠管) 소정방이 이끄는 13만 수군과 신라의 상장군 김유신이 지휘하는 5만 육군이 수륙 협공으로 백제를 침공했을 때, 계백은 충상의 지휘 하에 5천의 결사대로 황산벌에서 신라군을 만났다..

[웹북] 황산벌전투 (660년) - 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

황산벌 전투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날짜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장소 황산벌, 현재 논산시 연산면 인근결과 신라의 승리, 백제 패망교전국신라 / 백제지휘관김유신. 김흠순 . 품일 . 김천존 . 김반굴. 관창. 김법민 / 충상 항복. 상영 항복 . 계백 병력50,000명 / 5,000명피해 규모불명 4,980명황산벌 전투(黃山伐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신라군과 백제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다. 《삼국유사》 태종무열왕조, 《삼국사기》 계백 열전 등에 전투 내용이 나온다.배경642년(의자왕 2)에 백제가 신라를 공격해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함락하며 신라를 압박했다.신라는 고구려의 힘을 빌리려 하였..

[웹북] 백강전투 (663년) - 백제 부흥운동의 일부

백강 전투백강 전투백제 부흥운동의 일부날짜 663년 8월 27일~8월 28일 / 장소 백강 부근 / 결과 나당연합군의 승리 교전국신라.당나라 야마토 왕권 / 백제 부흥군.탐라지휘관문무왕. 유인궤 / 부여융 가미쓰케노키미 와카코 . 아베노 히라후 . 풍왕병력당군 17,000명. 당 함선 170여척 .신라군 병력 규모 불명 / 왜군 42,000명.왜 함선 800척.백제군 병력 규모 불명피해 규모불명 함선 400척 손실 / 왜군 10,000명 사망. 말 1,000필 손실 백강 전투(白江戰鬪, 중국어: 白江口之战→백강구 전투, 일본어: 白村江の戦い→백촌강 전투)는 663년 8월에 신라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국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이 벌인 전투이다. 당·신라 연합군의 승리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