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조선시대사 이해 (독서>책소개)/4.조선역사문화

조선후기를 움직인 사건들 : 1645 소현세자의 죽음부터 1872년 지방제도 제작 까지

동방박사님 2021. 12. 22. 07:35
728x90

책소개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 분야 최고의 전문가인 저자가 조선후기를 움직인 대표적 사건들을 드라마틱하게 보여준다.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개정판)』(새문사)에 이어 조선후기의 역사를 쉽고 흥미롭게 접하면서 오늘 현재 지금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바로보게 해준다.

목차

머리글 / 5

1. 1645년 4월, 소현세자는 독살되었는가?
귀국 후 두 달, 의문의 죽음
심양에서 새롭게 눈을 뜬 소현세자
강씨의 죽음과 소현세자 가문의 몰락

2. 거역할 수 없는 명분, 효종의 즉위와 북벌
뜻하지 않았던 왕의 자리, 그리고 북벌(北伐)
북벌 추진의 허와 실
이루지 못한 꿈, 북벌

3. 당쟁의 반영, 수정본 실록의 편찬
수정본 실록의 존재 이유
붕당정치의 격화와 수정본 실록의 존재

4. 두 차례에 걸친 예송논쟁
1659년의 1차 예송논쟁(기해예송)
1674년의 2차 예송논쟁(갑인예송)
예송논쟁의 정치적 의미

5. 사후 백년 만에 빛을 본 개혁교과서 『반계수록』
유형원의 실학과 그 배경
다양한 학문에 두루 능통한 학자
『반계수록』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
사후 100여 년 만에 빛을 본 개혁교과서

6 숙종, 상평통보를 유통시키다
조선후기 화폐 주조의 배경
상평통보의 주조와 유통

7. 남인과 서인의 힘겨루기, 환국(換局) 시대를 연출하다
1680년 경신환국의 서막
기사환국(己巳換局), 남인이 권력을 잡다
갑술환국(甲戌換局), 서인의 재집권

8. 서인 내, 노론과 소론의 분열
갈등의 불씨, 윤선거의 강화도 탈출 사건
윤증의 묘갈명 부탁 사건
노론과 소론의 힘겨루기

9. 당쟁의 희생양, 인현왕후와 장희빈
역사 속의 궁중 여인들
두 여인의 운명적 갈등
당쟁의 희생양인가?

10. 숙종과 전염병 천연두의 악연
전쟁의 역사까지 바꾼 천연두
숙종과 천연두의 악연
경종·영조·인원왕후에게도 이어진 천연두

11. 「요계관방지도」의 제작과 백두산 정계비 건립
외교 현안, 조선과 청의 국경 문제
이이명, 「요계관방지도」를 바치다
분쟁의 해법, 정계비의 건립

12. 경종의 즉위와 소론의 반격, 신임사화
세자 폐위의 첫 단추, 정유독대(1717년)
왕세자냐? 왕세제냐?
소론의 반격과 신임사화

13. 영조의 즉위와 탕평책의 추진
영조의 출생 콤플렉스
뼈저린 당쟁의 경험과 탕평책

14. 1728년 무신난 ― 경종의 복수를 위하여
반란의 원인 : 경종 독살설
반란의 주도자, 이인좌와 정희량
반란의 원인과 결과

15. 북학사상의 선구적 저술 『우서』의 완성
북벌에서 북학으로
유수원의 생애와 『우서(迂書)』의 저술
『우서』에 나타난 북학사상

16. 반 값 군포의 실현, 균역법의 실시
무명옷을 입은 국왕, 영조
균역법 실시의 배경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실시된 균역법

17. 인문지리서의 종합판, 『택리지』의 저술
불우한 정치 역정을 극복한 인문지리서
『택리지』의 구성과 주요 내용

18. 1760년 청계천 준천 사업
영조대 준천 사업의 배경
준천 사업의 경과와 완성
국왕과 백성의 소통으로 이루어진 공사

19. 1762년 사도세자의 비극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아들과 아버지
세자의 부왕 공포증
나경언의 고변과 사도세자의 죽음
사도세자의 죽음을 방관한 사람들

20. 실학파의 호수 성호 이익과 『성호사설』
이익(李瀷)의 시대와 삶
『성호사설』의 구성과 주요 내용
『성호사설』의 의미

21. 개혁정치의 산실, 규장각(奎章閣)의 설치
왕권 강화를 위하여
규장각의 설치
초계문신제의 실시
정조 이후의 규장각

22. 북학파의 대가 박제가의 『북학의(北學議)』 저술
박제가의 삶과 사상
『북학의』 저술의 배경과 주요 내용
소비는 우물과 같은 것이다
청나라 문화에 대한 지나친 동경

23. 강화도 외규장각의 설치
외규장각, 그 영광과 수난의 역사
외규장각 의궤의 약탈과 발견

24. 베스트셀러 『열하일기』의 완성
베스트셀러, 『열하일기』
『열하일기』를 쓰기까지
곳곳에서 견문한 내용을 치밀한 기록으로 담다
『열하일기』에 담긴 북학(北學)과 실용의 정신
『열하일기』의 저자 박지원

25. 1791년 신해통공(辛亥通共), 소상인 보호 정책
사상(私商)의 성장과 금난전권(禁亂廛權)
정조, 신해통공(辛亥通共)을 단행하다
노론과 남인의 힘겨루기
신해통공의 의의

26. 화성의 건설(1794년)과 『화성성역의궤』
화성 건설의 배경
화성 건설의 공사 보고서 『화성성역의궤』
의궤의 자료적 가치와 실용성

27. 1795년 정조의 화성 행차, 그 8일
화성 행차의 배경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
화성행차의 의미

28. 정조 시대의 편찬 사업과 문예 중흥
편찬 사업의 배경과 성과들
궁정 화원 김홍도의 역할
『일성록』과 『홍재전서』

29. 궁중문학의 백미, 『한중록』의 집필
『한중록』 집필의 배경
『한중록』의 구성
뛰어난 기억력이 돋보이는 증언 문학

30. 조선의 산천과 풍속을 담은 화가들의 탄생
진경산수화의 중심, 정선
정선이 그린 300년 전의 서울 풍경들
조선의 풍속을 화폭에 담다

31. 1800년 개혁군주 정조의 죽음
말년의 정국 운영
건강의 적신호, 정조의 마지막 장면
독살설의 배후

32. 세도정치의 시작
순조의 즉위와 세도정치의 시작
잊혀진 왕세자 효명세자
19세기 세도정치의 주역, 안동 김씨

33. 1801년 공노비 해방
노비의 역사
조선시대의 노비제도
1801년 공노비, 역사 속에서 사라지다

34. 1811년 홍경래의 난, 지역 차별에 반기를 들다
지역차별과 세도정치의 타파를 위하여
평안도 농민 전쟁의 배경
홍경래난의 과정과 초반의 승리
정주성의 함락과 반란의 실패

35. 정약용의 유배와 유배지에서 꽃 핀 실학
1801년의 신유박해와 정약용의 유배
실학의 산실, 유배지 강진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유배의 아픔을 실학으로 승화시키다

36. 헌종, 낙선재를 짓다
최연소로 즉위한 왕, 헌종
정조를 이어받고자 한 헌종
낙선재 영역에 나타난 경빈 김씨의 흔적들

37. 1849년, 강화도령 왕이 되다
강화도령, 왕이 되다
철종의 즉위와 안동 김씨 천하
철종의 선계(先系) 기록을 삭제한 까닭은?

38. 김정호와 대동여지도의 완성
김정호 생애의 미스터리들
『대동여지도』를 만들기까지
『대동여지도』, 지도인가? 책인가?

39. 전국을 휩쓴 삼남의 민란(1862년)
민란의 진원지, 진주
봉기의 과정과 경과
미온적인 정부 대책과 살아남은 반란의 불씨

40.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정책
최고 권력자로의 변신
거칠 것 없는 개혁정책
경복궁 중건사업의 허와 실

41. 두 차례의 양요(洋擾)와 대원군의 국방정책
이양선의 출몰과 병인양요(1866년)
신미양요(1871년)와 척화비의 건립

42. 경복궁 근정전(勤政殿), 그 영광과 수난의 역사
조선 왕실의 상징 공간, 근정전
조선후기의 근정전
일제강점기의 근정전

부록
조선시대 역대 왕들의 혼인과 혼인 때의 지위
조선시대사 주요 사건 연표(1392년~1875년)
 

저자 소개

저 : 신병주 (申炳周)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였다(석사, 박사). 서울대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KBS1 TV에서 ‘역사저널 그날’을, KBS1 라디오에서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을 진행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연산군과 광해군, 왕과 아들, 전염병 편에 출연하였다. 문화재재단 이사, 궁능활용심의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KBS 1 라디오 ‘신병주의 역사여행’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에는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최고 베스트 강사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고전 소설 속 역사기행』,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왕조실록』, 『왕으로 산다는 것』, 『참모로 산다는 것』, 『왕비로 산다는 것』, 『조선평전』, 『조선과 만나는 법』, 『56개 공간으로 읽는 조선사』, 『절반의 한국사』(공저) 등이 있다. 규장각에 있는 수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의 전통 문화를 일반인에게 좀 더 친근하게 소개하는 연구 사업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