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2.한국철학사상

한국철학사 : 16개의 주제로 읽은 한국철학

동방박사님 2021. 12. 22. 09:00
728x90

책소개

한민족의 사상적 바탕이 된 개념들을 알아보고, 외래사상이 유입되면서 그것이 어떤 형태로 변화·발전되어 왔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외래사상 유입 전·후, 조선시대와 근대 등 시기별로 여러 사상들이 대립하고 어우러지며 만들어낸 새로운 철학의 양상들을 다루고 있는데, 한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은 그 사회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우리의 사상을 알고, 그를 통해 역사적 사실들을 이해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고·중세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친 불교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로 우리 철학이 성리학, 실학, 서구의 근대문명 등을 만나면서 어떤 식의 전개를 보였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또, 매 장을 설명하기에 앞서 같은 시기에 어떤 사상이 존재했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놓아 시기별로 철학의 총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독자들은 그 속에서 한국철학사에 등장한 여러 사상들의 특징과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부 | 한국의 원초적 사유와 고중세의 불교사상
1강 건국신화의 세계와 원초적 사유
1. 머리말
2. 신화의 도입부분
3. 신화의 전개부분
4. 신화의 결말부분
5. 맺음말

2강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불교사상
1. 머리말
2. 불교의 수용과 삼국의 불교사상
3.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4. 맺음말

3강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1. 머리말
2. 고려시대 불교의 전개
3. 보조 지눌의 사상
4. 맺음말

제2부 | 근세 전기 조선성리학의 성립
4강 여말선초의 역사적 전환과 사대부의 사상적 대응
1. 머리말
2. 도덕성과 실용성
3. ‘무’적 사유에서 ‘유’적 사유로
4. ‘실’의 철학과 정치 의식
5. 맺음말

5강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사단칠정론
1. 머리말
2. 퇴계의 사단칠정론
3. 율곡의 사단칠정론
4. 맺음말

보론 | 성리학의 이기론과 심성론
마음은 성과 정으로 구성된다
리와 기란 무엇인가
리와 기의 관계
심성정의 개념

3부 | 근세 후기 조선성리학의 발전과 변용
6강 호락논쟁의 성립과 남당 한원진?외암 이간의 심성론
1. 머리말
2. 외암의 인물성동론과 미발심론
3. 남당의 인물성이론과 미발심론
4. 맺음말

7강 녹문 임성주와 노사 기정진의 이일분수설
1. 머리말
2. 임성주와 기정진의 이일분수설
3. 맺음말

8강 조선성리학의 심학화 경향
1. 머리말
2. ‘심구리(心具理)’, ‘심여리일(心與理一)’, ‘심즉리(心卽理)’
3. ‘심시기(心是氣)’에서 ‘심성일치(心性一致)’로
4. ‘심합이기(心合理氣)’에서 ‘심즉리’로
5. 맺음말

9강 한주학파와 간재학파의 심설논쟁
1. 머리말
2. 한주 이진상의 율곡학파 비판과 심즉리설의 정립
3. 간재 전우의 한주비판과 ‘성사심제설’의 정립
4. 맺음말

제4부 | 양명학과 실학사상
10강 하곡 정제두와 강화학파의 양명학
1. 머리말
2. 양명학설의 수용과 계승
3. 한국양명학의 태두(泰斗) 정제두(鄭齊斗)
4. 강화학파의 양명학
5. 맺음말:양명학의 한국적 수용

11강 조선 후기 실학파의 사상적 계보
1. 머리말
2. 퇴율이후 성리론의 전개양상
3. 인물성동이논쟁의 전개와 그 특성
4. 실학파의 형성과 그 철학적 특질
5. 맺음말

12강 서학과 다산 정약용? 혜강 최한기의 실학사상
1. 머리말
2. 조선후기 서학의 수용
3.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경학사상
4. 혜강 최한기의 기학과 실학사상
5. 맺음말

13강 조선성리학의 도가철학에 대한 인식
1. 머리말
2. 조선조 도가사상 이해의 기본틀
3. 맺음말

제5부 | 근대 이행기의 사상적 동향
14강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조선유학의 대응양상
1. 머리말:강력한 타자, 서양의 만남
2. 위정척사(衛正斥邪):문화적 자긍심과 반외세사상
3. 개화사상(開化思想):문명한 세상 열기
4. 동학사상(東學思想):민중의 주체적 자기인식
5. 맺음말:강력한 타자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역동적 대응

15강 국권회복을 위한 자강사상
1. 머리말:사회진화론 수용의 파장
2. 자강운동(自强運動):강자되기 프로젝트
3. 문명에 대한 서로 다른 시선
4. 야만적 근대 넘어서기
5. 맺음말:야누스적 타자와 마주 선 한국 근대

16강 한국 근대 신종교의 사상적 지형
1. 머리말
2. 철학적 주제들
3. 후천개벽론
4. 맺음말
 

저자 소개

저 : 최영진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다.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사무차장보, 주 코트디부아르 유엔 평화유지임무단(UNOCI) 대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외교부 차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주 유엔대사, 주미 대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UNOCI에서의 활동은 코트디부아르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세대에서 의과대학 4년을 수료하고,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1대...

저자 : 최영진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다. 공주사대 한문교육과 조교수, 전북대 철학과 조교수, 성균관대 유학.동양학부장 겸 유학대학원장, 한국 사상사학회장, 한국주역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성균관대 한국철학과 교수, 한국동서철학회 회장, 한국유교학회 회장, 국제유교문화포럼 상임공동대표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공저), ...
 
저자 : 김방룡
전북대학교 철학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다. 영산선학대학교 교수, 북경대학교 방문연구 학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저서로는 『보조 지눌의 사상과 영향』(보고사, 2006)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여말 삼사의 간화선 사상과 그 성격」(『보조사상』 제23집, 보조사상연구원, 2005)이 있다.
저자 : 박연수
육군사관학교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다. 한국양명학회장 역임했고, 현재 육군사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저서로는 『양명학의 이해-양명학과 한국양명학』(집문당, 1999), 『하곡 정제두의 사상』(한국학술정보, 2007)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강화 하곡학파의 實心·實學」(『양명학』 제16호, 한국양명학회, 2006), 「강화 하곡학파의 근대적 성향」(『인천학연구』 제7호, 인천...
 
저자 : 박정심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와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고, 현재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논문으로 「박은식의 대동사상의 이념과 현실적 구현」(『동양철학연구』 제27집, 2001), 「신채호의 유교인식에 관한 연구-근대적 주체 문제와 관련하여-」(『한국사상사학』 제22집, 2004), 「한국 근대지식인의 ‘근대성’인식」(동양철학연구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동아시아 근대지식인의 근대성비판...
 
저자 : 안재순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철학박사)했다. 청주대 조교수 역임했으며, 현재 강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로 있다. 주요논문으로 「柳磻溪 實學思想의 哲學的 基調」(『(道原柳承國博士華甲紀念論文集)東方思想論攷』, 종로서적, 1983), 「磻溪 柳馨遠의 敎育思想」(『敎育思想家選集』, 강원대학교, 1986), 「李星湖의 四端七情論」(『동양철학연구』 제5집, 동양철학연구회, 1984) 등이 있다.
저자 : 이경원
부산대 무역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고, 현재 대진대학교 종교문화학부 교수로 있다. 주요저서(공저)로는 『한국철학사상가 연구』(철학과 현실사, 2002)가 있고, 주요논문으로 「한국 근대 신종교에 나타난 선·후천론의 특질」(『신종교연구』 4집, 한국신종교학회, 2001), 「한국 근대 신종교의 사회사상연구」(『신종교연구』 8집, 한국신종교학회, 2003)가 있다.
저자 : 이종우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와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강사로 있다. 주요저서로 『흐름으로 읽는 동양철학』(보고사, 2003), 『19·20세기 한국성리학의 심성논쟁』(심산출판사, 2005) 등이 있다. 주요논문으로는 「퇴계 이황의 이약(理弱)」(『철학』 88집, 한국철학회, 2006),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에서 초형기성의 성립문제」(『철학』 제93집, 한국철학회, 2...
 
저자 : 이행훈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와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고,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로 있다. 주요논문으로 「최한기의 기화적 문명관」(『한국사상사학』 22집, 2004), 「최한기의 운화론적 사회관」(『동양철학연구』 43집, 2005), 「최한기의 운화론적 인간관」(『한국철학논집』 17집, 2006) 등이 있다.
저자 : 임태홍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경대학교를 인문사회계 연구과 동아시아사상문화전공으로 졸업(문학박사)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로 있다. 주요저서(번역서)로 『50인으로 읽는 중국사상』(무수, 2007)가 있고, 주요논문으로는 「유교가 한국 건국신화에 미친 영향」(『유교사상연구』 제29집, 2007), 「한국고대 건국신화의 구조적 특징」(『동양철학연구』 제52집, 2007), 「단군신화에 ...
 
저자 : 조민환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와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 졸업(철학박사)했고,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있다. 주요저서로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예문서원, 1996),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한길사, 2002), 『서명응의 도덕지귀』(예문서원, 2008) 등이 있다.
저자 : 홍정근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와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했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강사, 유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주요저서로는 『호락논쟁의 본질과 임성주의 철학사상』(한국연구원, 2007), 『근세 한국철학의 재조명』(심산출판사, 2007, 공저) 등이 있다. 주요논문으로 「한·중 사상 비교 연구 방법 시론」(『동양철학연구』 제43집, 동양철학연구회, 2005), 「율곡의 이통기국설에 대한 외암의 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