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각 분야 아리스토텔레스 전공자 다섯 명에 의한 10년에 걸친 기획!
서양 철학의 양대 산맥을 꼽으라고 한다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일 것이다. 비록 둘은 스승과 제자 사이였지만 이들이 사유한 세계와 철학적 유산은 이후 서양 철학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국내에 번역, 출판된 이들 두 철학자의 지적 유산은 아직도 완역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나마 정암학당을 주축으로 플라톤 철학의 텍스트들은 거의 다 번역되어 그의 철학 세계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토대는 마련되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에는 아직도 대부분의 문헌이 번역, 출판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아리스토텔레스 전공자 대부분이 형이상학 분야이기에, 아리스토텔레스 텍스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자연학과 생물학 분야의 텍스트는 거의 번역, 출판되지 못하고 있다. 자연스레 이러한 상황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사유 세계를 ‘형이상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에 머무르게 해 종합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에 도서출판 길에서 기획한 지 10여 년 만에 펴내는 이 선집에는 국내 최초로 전공자에 의한 자연학과 생물학 분야의 텍스트가 포함됨으로써, 비록 ‘선집’의 형태이기는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전반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국내에 초역된 문헌은 다음과 같다. 논리학적 저술에 속하는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를 비롯해 『자연학』, 『동물부분론』, 『동물운동론』이 그것들이다.
서양 철학의 양대 산맥을 꼽으라고 한다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일 것이다. 비록 둘은 스승과 제자 사이였지만 이들이 사유한 세계와 철학적 유산은 이후 서양 철학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국내에 번역, 출판된 이들 두 철학자의 지적 유산은 아직도 완역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나마 정암학당을 주축으로 플라톤 철학의 텍스트들은 거의 다 번역되어 그의 철학 세계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토대는 마련되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에는 아직도 대부분의 문헌이 번역, 출판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아리스토텔레스 전공자 대부분이 형이상학 분야이기에, 아리스토텔레스 텍스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자연학과 생물학 분야의 텍스트는 거의 번역, 출판되지 못하고 있다. 자연스레 이러한 상황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사유 세계를 ‘형이상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에 머무르게 해 종합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에 도서출판 길에서 기획한 지 10여 년 만에 펴내는 이 선집에는 국내 최초로 전공자에 의한 자연학과 생물학 분야의 텍스트가 포함됨으로써, 비록 ‘선집’의 형태이기는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전반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국내에 초역된 문헌은 다음과 같다. 논리학적 저술에 속하는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를 비롯해 『자연학』, 『동물부분론』, 『동물운동론』이 그것들이다.
목차
해제: 균형 잡힌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이해를 위한 길라잡이 5
1. 범주론 33
2. 명제론 47
3. 분석론 전서 63
4. 분석론 후서 73
5. 변증론 123
6. 자연학 149
7. 생성소멸론 237
8. 영혼론 243
9. 동물부분론 301
10. 동물운동론 321
11. 형이상학 329
12. 니코마코스 윤리학 491
13. 정치학 681
14. 수사학 739
15. 시학 775
용어 해설 804
1. 범주론 33
2. 명제론 47
3. 분석론 전서 63
4. 분석론 후서 73
5. 변증론 123
6. 자연학 149
7. 생성소멸론 237
8. 영혼론 243
9. 동물부분론 301
10. 동물운동론 321
11. 형이상학 329
12. 니코마코스 윤리학 491
13. 정치학 681
14. 수사학 739
15. 시학 775
용어 해설 804
출판사 리뷰
국내 초역되는 문헌들: 『자연학』, 『분석론 전/후서』, 『동물부분론』, 『동물운동론』
특히 『자연학』 번역이 차지하는 위상을 다대하다고 할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철학적 저술들 맨 앞을 차지하면서 ‘자연’, ‘운동’, ‘형상’, ‘질료’, ‘기체’, ‘목적’, ‘연속’ 등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 사유를 떠받치는 핵심 개념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자연학’(ta physika)은 좁은 의미로는 『자연학』이라 불리는 저술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자연학』을 필두로 『생성소멸론』, 『천체론』, 『기상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자연학적 저술들’을 통칭하기도 한다. 『형이상학』은 그래서 넓은 의미의 ‘자연학적 저술들 다음에 오는 저술’(ta meta ta physika)이라는 뜻을 갖는다. 난해하기로 유명한 그의 이론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념이 처음 제기된 문맥 속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자연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철학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헌인 것이다. 한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일반적으로 서양 과학의 기초로 간주되는데,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wgger)는 “『자연학』이 없었다면 갈릴레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할 정도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서양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이 자연이 숨겨놓은 비밀을 놀라울 정도로 밝혀낼 수 있었던 ‘보고’(寶庫)였다.
더불어 논리학적 저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석론 전서』의 경우에는, 형식 논리학에 대한 연구서의 성격에 걸맞게 매우 엄밀한 언어로 쓰였다. 논리학을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갖춘 새로운 창조물로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은 놀랄 만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저술은 2000년 이상 이어온 논리학의 토대이자 모델 역할을 해온 문헌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분석론 후서』는 “참이고 첫째가며 무매개적이고 더 잘 알려지고 선행하며 원인이 되는” 전제들을 출발점으로 전개되는 논증만이 학문적 인식을 낳을 수 있다고 봄으로써 개연적인 전제를 출발점으로 삼는 변증술의 추론과의 차별성을 토대로 학문적 추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텍스트이다.
생물학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활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제까지 전해진 그의 전체 저술 가운데 생물학 저술이 1/3을 넘는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 연구는 500여 종이 넘는 동물들에 대한 관찰을 담은 기록인 『동물지』에서 시작해 생명의 다양한 능력들을 다룬 『영혼론』과 『자연학 소논문집』을 거쳐 영혼의 다양한 능력을 가능케 하는 신체적 부분들에 대한 연구인 『동물부분론』으로 이어지고, 뒤이어 동물의 여러 능력 가운데 특히 운동능력, 이동능력, 생식능력을 다룬 『동물운동론』, 『동물이동론』, 『동물발생론』으로 귀결된다. 이 선집에는 그중에서 『동물부분론』과 『동물운동론』의 일부를 싣고 있다.
『동물부분론』은 동물의 부분들에 속한 기능과 그것이 전체 유기체를 위해 수행하는 기능을 다루는 데 있는데, 따라서 이 텍스트는 그의 목적론이 가장 잘 드러난 저술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특히 이 선집에 실린 『동물부분론』 제1권 제5장은 동물세계에 대한 탐구를 권유하는 글로서 독립된 학문으로서 생물학의 의의를 선포하는 서양 최초의 문헌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적인 것들이 더 고상하기는 하지만 우리는 동물세계에서 더 풍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동물세계에 대한 앎은 놀라움을 안겨주며 가장 낮은 수준의 동물들에게서도 놀라운 것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형이상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를 벗어나 그의 사상 세계 전반을 아우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 사상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분량의 저술을 인류에게 남겼다. 그리스의 전기 작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enes Laertios, 기원전 3세기 초반)에 따르면, 아르스토텔레스는 115개 주제에 대해 550권의 글을 썼다고 한다. 오늘날 통용되는 계산법에 따르면 6,000여 쪽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하지만 그의 저술 세계는 방대함뿐만 아니라 그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다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이번 선집은 그러한 그의 방대한 저술과 사유 세계 전반을 비록 ‘선집’의 형태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데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자연학』 번역이 차지하는 위상을 다대하다고 할 수 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철학적 저술들 맨 앞을 차지하면서 ‘자연’, ‘운동’, ‘형상’, ‘질료’, ‘기체’, ‘목적’, ‘연속’ 등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전 사유를 떠받치는 핵심 개념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자연학’(ta physika)은 좁은 의미로는 『자연학』이라 불리는 저술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자연학』을 필두로 『생성소멸론』, 『천체론』, 『기상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자연학적 저술들’을 통칭하기도 한다. 『형이상학』은 그래서 넓은 의미의 ‘자연학적 저술들 다음에 오는 저술’(ta meta ta physika)이라는 뜻을 갖는다. 난해하기로 유명한 그의 이론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념이 처음 제기된 문맥 속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자연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철학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헌인 것이다. 한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일반적으로 서양 과학의 기초로 간주되는데,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wgger)는 “『자연학』이 없었다면 갈릴레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할 정도이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서양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이 자연이 숨겨놓은 비밀을 놀라울 정도로 밝혀낼 수 있었던 ‘보고’(寶庫)였다.
더불어 논리학적 저술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석론 전서』의 경우에는, 형식 논리학에 대한 연구서의 성격에 걸맞게 매우 엄밀한 언어로 쓰였다. 논리학을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갖춘 새로운 창조물로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은 놀랄 만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저술은 2000년 이상 이어온 논리학의 토대이자 모델 역할을 해온 문헌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분석론 후서』는 “참이고 첫째가며 무매개적이고 더 잘 알려지고 선행하며 원인이 되는” 전제들을 출발점으로 전개되는 논증만이 학문적 인식을 낳을 수 있다고 봄으로써 개연적인 전제를 출발점으로 삼는 변증술의 추론과의 차별성을 토대로 학문적 추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텍스트이다.
생물학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활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제까지 전해진 그의 전체 저술 가운데 생물학 저술이 1/3을 넘는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 연구는 500여 종이 넘는 동물들에 대한 관찰을 담은 기록인 『동물지』에서 시작해 생명의 다양한 능력들을 다룬 『영혼론』과 『자연학 소논문집』을 거쳐 영혼의 다양한 능력을 가능케 하는 신체적 부분들에 대한 연구인 『동물부분론』으로 이어지고, 뒤이어 동물의 여러 능력 가운데 특히 운동능력, 이동능력, 생식능력을 다룬 『동물운동론』, 『동물이동론』, 『동물발생론』으로 귀결된다. 이 선집에는 그중에서 『동물부분론』과 『동물운동론』의 일부를 싣고 있다.
『동물부분론』은 동물의 부분들에 속한 기능과 그것이 전체 유기체를 위해 수행하는 기능을 다루는 데 있는데, 따라서 이 텍스트는 그의 목적론이 가장 잘 드러난 저술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특히 이 선집에 실린 『동물부분론』 제1권 제5장은 동물세계에 대한 탐구를 권유하는 글로서 독립된 학문으로서 생물학의 의의를 선포하는 서양 최초의 문헌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신적인 것들이 더 고상하기는 하지만 우리는 동물세계에서 더 풍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동물세계에 대한 앎은 놀라움을 안겨주며 가장 낮은 수준의 동물들에게서도 놀라운 것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형이상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를 벗어나 그의 사상 세계 전반을 아우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 사상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분량의 저술을 인류에게 남겼다. 그리스의 전기 작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enes Laertios, 기원전 3세기 초반)에 따르면, 아르스토텔레스는 115개 주제에 대해 550권의 글을 썼다고 한다. 오늘날 통용되는 계산법에 따르면 6,000여 쪽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하지만 그의 저술 세계는 방대함뿐만 아니라 그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거의 모든 학문 분야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다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이번 선집은 그러한 그의 방대한 저술과 사유 세계 전반을 비록 ‘선집’의 형태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데에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51.서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 > 4.서양철학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의 기술 (2024) (1) | 2024.11.22 |
---|---|
자기 자신에게 이르는 것들 (2023) - 2천년 불멸의 고전, 명상록 : 헬라스어 완전 완역 + 풍부한 주석 (0) | 2024.08.26 |
나의 현재만이 나의 유일한 진실이다 (2024) (0) | 2024.08.22 |
살로메, 니체를 말하다 (2021) - 니체의 작품으로 본 니체 (1) | 2024.07.29 |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 (2022)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동북아시아 사상의 전이와 재형성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