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인문교양 (독서>책소개)/2.에세이

우주철학서설

동방박사님 2022. 6. 21. 04:57
728x90

책소개

지금까지 철학은 우주를 망각했다
- 인류의 우주적 진실과 삶의 의미를 탐색한 우주철학


20세기 이래 우주과학의 발전으로 인류의 우주 인식은 18세기 철학자 칸트의 선험적 이념으로서의 ‘세계’나 19세기 철학자 콩트가 알고 있던 ‘우주’에 견줄 수 없을 만큼 풍부해졌다. 현대 우주과학의 발견 앞에서 자아나 주체를 중심에 둔 근대철학의 한계가 드러났다. 그동안 유럽과 동아시아를 가릴 것 없이 고대 철학 이후 중세를 거쳐 실천적 유물론에 이르기까지 20세기까지의 철학은 모두 현대 과학이 발견한 우주의 실상을 알지 못한 채 사유한 것이다. 이 책은 ‘지금까지 철학은 우주를 망각했다’는 명제 아래 새로운 문명의 서돌이 될 ‘우주철학’을 제안한다. 인류의 우주적 진실과 삶의 의미를 탐색한 우주철학은 20세기 이래 우주과학의 발전에 근거해 과학적 선험론과 사회인식론을 뼈대로 실천명령을 제안한다.

목차

머리말
여는 글: 지금까지 철학은 우주를 망각했다

1부. 우주의 충격과 휴머니즘

1장. 근대 우주과학과 칸트 혁명
1. 코페르니쿠스 혁명과 우상
2. 근대철학과 휴머니즘
3. 칸트의 인식론 혁명

2장. 뱀파이어와 마르크스 휴머니즘
1. 철학의 새로운 지평
2.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소외
3. 인류애와 철학의 상실

3장. 인간의 고통·비애와 인식론
1. 경험비판론과 유물론
2. 철학의 근본 문제와 ‘인간의 불행’
3. 사회주의 혁명과 ‘괴물’

4장. 실천적 유물론의 실천 비판
1. 마르크스·레닌 철학의 성취
2. 인간적·민주적 사회주의와 파국
3. 중국의 사회주의 철학과 변이

2부. 현대 우주과학의 철학

1장. 공룡과 철학의 우주 망각
1. 현대 우주과학의 혁명과 망각
2. 우주의 진실과 ‘과학적 존재론’
3. 공룡의 눈과 인류의 철학

2장. 우주적 존재론의 인식론 혁명
1. 과학 발전과 유물론 비판
2. 비판철학의 선험론 비판
3. 과학적 선험철학의 문제의식
4. 인식론 혁명과 ‘어둠’의 인식론

3장. 과학적 선험철학의 사회인식론
1. 하버마스의 마르크스 비판
2.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접합
3. 새로운 사회와 새로운 인간의 조건
4. 인간의 유적 본질: 성찰과 노동

4장. 성찰과 노동의 민주주의 철학
1. 사람을 하늘로 섬기는 철학
2. 과학적 선험론의 자본주의 인식
3. 민주주의 단계론과 주권 혁명
4. 민주주의 성숙 단계의 정치철학

5장. 우주철학과 우주적 삶
1. 철학과 삶의 의미
2. 우주철학과 우주적 인간
3. 사회적 황금률과 우주적 삶

맺음말: 우주적 관점에서 우주의 관점으로

후기
 

저자 소개 

저 : 손석춘 (孫錫春)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학생운동을 했다. 1984년 신문기자로 들어가 2006년까지 언론민주화 운동을 벌였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기획실장과 ‘언론개혁시민연대’의 공동대표를 맡았다. 한겨레 여론매체부장과 논설위원을 지내며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언론개혁운동의 실천을 이론적으로 정리한 언론학 박사학위 논문 「한국 공론장의 구조변동」을 출간한 바 있다. 청년 시절 문학평론 「겨레의 진실과 표현의 과제」를 발표하며 ...
 

책 속으로

· 코페르니쿠스 혁명은 비단 유럽만이 아니라 전 세계에 걸쳐 인류의 오랜 고정관념을 무너트렸다. 그때까지 수천 년에 걸쳐 동·서를 막론하고 인류는 자신이 발 딛고 살아가는 대지를 중심에 두고 세상을 바라보았다.

· 철학의 위기를 깊이 사유한 칸트는 ‘계몽이란 무엇인가?’를 정면으로 묻고 나섰다(1784년). 이에 대해 20세기 철학자 푸코는 유럽 사상사에서 철학이 ‘오늘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은 칸트가 처음이었다고 평가했다.

· 기나긴 철학사에서 처음으로 일하는 사람들, 억압과 고통을 받으면서도 한 사회의 생산을 도맡아 온 사람들 쪽에 서서 철학을 전개한 철학자가 마르크스다. 고대 노예와 중세 농노를 비롯해 사회 전체를 먹여 살려온 민중에 대해 거의 모든 철학자들은 침묵했다. 고대 철학자들은 노예들의 고통을, 중세철학자들은 농노들의 빈곤을 외면했다. 마르크스는 그러면서도 ‘현인’을 자처하거나 휴머니즘과 사랑을 주창한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의 위선을 비판했다.

· 과학적 사회주의 철학이 과학 앞에 얼마나 열려 있었는지 진솔한 성찰이 필요하다. 한 세기 넘게 철학을 실천한 경험을 통해 마르크스 철학이 미처 보지 못한 ‘어둠’이 드러났거니와 더 거슬러 올라가 근대 유럽 철학이 추구한 주체 의식과 휴머니즘의 한계 또한 또렷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20세기 이래 우주과학의 발전으로 새로운 진실도 곰비임비 발견되면서 철학의 근본적 성찰과 새로운 인식론 정립은 시대적 과제가 되었다.

· 인류가 자신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안간힘은 주체를 도드라지게 사유하는 철학을 낳았고 휴머니즘의 흐름은 데카르트에서 칸트를 거쳐 마르크스와 레닌 철학에 이르렀다.

· 인류가 자신이 살고 있는 지구의 위상을 ‘해 중심’으로 받아들이고 코페르니쿠스 혁명에 가까스로 적응할 때, 우주과학은 다시 ‘차가운 진실’을 일러주었다. 지구는 물론 태양마저 중심이 아닐 수 있다는 불길한 의심이 과학적 사실로 확인되었다. 무수한 별들 가운데 해는 평범하거나 어쩌면 그렇지도 못한 변방의 별에 지나지 않았다. 그것은 근대 천문학 혁명에 못지않은, 아니 그 이상의 혁명적 발견이었다. 지동설의 충격에서 겨우 다잡은 인류의 자부심과 존재감은 재차 뒤흔들렸다.

· 현대 우주과학의 발견 앞에서 자아나 주체를 중심에 둔 근대철학의 한계는 또렷하게 드러났다. 유럽과 동아시아를 가릴 것 없이 고대 철학 이후 중세를 거쳐 실천적 유물론에 이르기까지 20세기까지의 철학은 모두 현대 과학이 발견한 우주의 실상을 알지 못한 채 사유했다.

· 지금까지 철학은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물음을 여러 시각에서 던져왔지만 사변적 접근으로 보편적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우리가 철학의 관념적 욕망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현대 우주과학이 발견한 우주의 진실에 근거해 ‘인간은 우주적 존재’라는 ‘과학적 존재론(scientific ontology)’을 내올 수 있다.

· 공룡의 눈과 외계 생명체의 눈을 상정해 사유하면 우주에서 인간의 위치와 인식 주체로서 인간의 능력에 물음을 던질 수밖에 없다. 인간을 우주적 존재로 파악하는 과학적 존재론―정확하게는 ‘우주과학적 존재론’이지만 문맥에 따라 과학적 존재론 또는 우주적 존재론으로 표기―에 기반을 두고 철학의 우주 망각을 성찰할 때 ‘공룡의 눈’이 과거라면 ‘미래의 눈’은 외계 생명체다.

· 인간의 내면까지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몸에 담긴 ‘인식 장애’를 인정하는 인식론, 그 장애를 의식하고 최대한 벗어나려는 인식론, 인간에 앞서 자연 또는 우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함으로써 유물론에 동의하되 인간의 인식 기관 또한 자연의 부분이자 진화의 산물임을 의식하는 인식론이 과학적 선험철학이다.

· 인간 외부의 ‘객관적 실재’로서 물질을 상정할 수 있지만 인간 주체 또한 그 일부임을, 더욱이 인식하는 주체는 실체적 존재가 아니라 관계적 존재임을 우주적 선험론은 중시한다. 모든 인간은 실체가 아니라 우주와의 관계, 좁혀서 우리가 흔히 자연으로 부르는 지구와의 관계, 더 좁혀서 사회와의 관계로 존재한다. 인식하는 주체인 인간과 인식하는 대상 모두 우주의 일부라는 사실에 주목할 때 과학적 선험철학은 우주과학적 선험철학, 우주적 선험철학’으로 명명할 수 있다.

· 성찰하는 동물로서 인간은 자신만 되돌아보지 않는다. 사랑하는 가족과 이웃, 공동체, 더 나아가 인류를 성찰하는 유적 존재다. 인간은 유일하게 자신의 삶이란 무엇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묻는 성찰적 동물이다. 다른 동물과 다르게 현재를 살면서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생명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성찰하는 존재다.

· 우주적 선험철학은 우주는 물론 그 미미한 부분인 인간의 내부에도 아직 철학이 파악하지 못한 ‘어둠’이 있다고 상정한다. 그 어둠에 숨어 있는 진실을 끊임없이 발견하는 열린 철학이 어둠의 인식론이자 우주적 인식론이다.

· 인간과 사회가 우주의 작은 일부라는 과학적 성찰, 인식 주체인 인간과 우주가 이어져 있다는 성찰적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는 새로운 민주주의 정치철학을 구상할 수 있다.

· 우주적 선험철학에 근거한 역사 인식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맞물려 전개되어 온 세계사적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드리운 ‘어둠’―인식의 생물적·사회적 선험성―을 남김없이 파악해내려는 성실한 성찰과 창조적 노동을 요구한다. 우주적 선험철학이 민중과 사회와 더불어 선순환을 이루며 숙성할 때 새로운 문명의 길을 활짝 열어갈 수 있다. 민주주의 성숙 단계에서 꽃필 새로운 문명의 구상은 인간의 우주적 위치와 삶의 의미를 천착하는 철학적 물음과 이어져 있다.

· 모든 사람이 자신의 개성과 차이를 다채롭게 꽃피울 때 우주가 더 아름다울 수 있다면, 우주적 사회를 이루는 철학은 분명하다. 모든 개개인이 자기를 실현할 수 있는 정치경제적 조건을 갖춘 민주주의 정치 공동체, 사회적 황금률이 사람들 사이에 불문율이 된 공동체가 우주적 사회다.
--- 본문 중에서
 

출판사 리뷰

20세기 이래 우주과학의 발전에 근거한 과학적 선험론과 사회인식론

우주철학의 인식론·존재론과 사회철학은 근대 유럽 문명을 벗어나 새로운 문명을 열어갈 우주인의 사유를 담고 있다. 먼저 1부에서는 ‘우주의 충격과 휴머니즘’을 주제로 유럽의 근대철학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했다. 근대 과학에 기반을 둔 인간 중심주의 철학을 톺아봄으로써 새로운 철학을 전개할 배경적 논의를 담았다.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충격과 칸트 철학을 논의하고 마르크스 철학이 왜, 그리고 어떻게 ‘근대 휴머니즘의 정점’인가를 정리했다. 이어 마르크스주의 인식론의 고갱이를 분석하고 20세기 내내 이어졌던 실제 혁명의 경험을 톺아봄으로써 마르크스 철학의 실천에서 드러난 한계를 되짚었다.

2부 ‘현대 우주과학의 철학’에서는 지금까지 우주를 망각해온 철학을 살펴보며 새로운 인식론으로 ‘과학적 선험철학’을 제시했다. 유럽 철학사는 인식의 원천을 중심으로 경험론, 합리론, 선험론으로 구분하는데, 이 책에서 제시한 ‘과학적 선험론’은 우주과학적 존재론에 근거해 칸트의 선험철학을 ‘지양’하며 경험론과 합리론을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인식론이다.

나아가 과학적 선험론에 이어 그에 근거한 ‘성찰’과 ‘노동’ 중심의 사회인식론을 뼈대로 우주철학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선험’은 칸트 철학의 ‘경험에 앞선’ 그리고 ‘경험의 가능 조건에 관한’ 의미의 선험 개념을 밑절미로 했다.
지금까지 철학이 우주를 망각했다는 명제가 철학사와의 단절을 뜻하지는 않는다. 단초를 동아시아와 유럽의 철학사에서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선 철학적 논의에 기대어 우주철학이라는 새로운 사유를 서술했다.

철학은 문제들을 사변이 아니라 우주과학과 함께 풀어가야 한다

이 책에서 제안하는 우주철학은 과학적 선험론과 사회인식론을 두 기둥으로 한다. ‘새로운 인간은 새로운 사회의 조건이고 새로운 사회는 새로운 인간의 조건’이라는 우주철학의 명제는 동학혁명 시기부터 면면히 이어온 민중운동의 경험에 터하고 있다.

한편 우주적 선험철학에 근거한 역사 인식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맞물려 전개되어 온 세계사적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드리운 ‘어둠’을 남김없이 파악해내려는 성실한 성찰과 창조적 노동을 요구한다. 인간과 사회가 우주의 작은 일부라는 과학적 성찰, 인식 주체인 인간과 우주가 이어져 있다는 성찰적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민주주의 정치철학을 구상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우주적 선험철학이 민중과 사회와 더불어 선순환을 이루며 숙성할 때 새로운 문명의 길을 활짝 열어갈 수 있다고 말한다. 민주주의 성숙 단계에서 꽃필 새로운 문명의 구상은 인간의 우주적 위치와 삶의 의미를 천착하는 철학적 물음과도 이어져 있다. 철학은 그 문제들을 사변이 아니라 우주과학과 함께 풀어가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