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 98

[웹북] 자유당 (1951~1970)

로고 상징색 청색자유당이념 보수주의 / 반공주의 / 민족주의 / 협동조합주의 / 일민주의 (초기) 파시즘 (초기, 논쟁적) / 스펙트럼 극우당직자 총재 이승만역사창당 1951년 12월 17일해산 1970년 1월 24일선행조직 대한독립촉성국민회통합된 정당 신민당내부 조직 중앙당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자유당(自由黨)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 17일에 대한민국에서 창립된 정당이다.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다. 최초 공화민정회와 5개 정치, 시민단체인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국민회), 대한노동조합총연맹, 농민조합연맹, 대한부인회 등이 연합하여 출범하였다.여기에 한민당 탈당파, 대한국민당 탈당..

[웹북] 대한민국 제6공화국 (1988~2022~ ) - 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렬정권

대한민국 제6공화국 (1988~)대통령 노태우(1988~1993) / 김영삼(1993~1998) / 김대중(1998~2003) / 노무현(2003~2008) / 이명박(2008~2013) / 박근혜(2013~2017) / 문재인(2017~2022) / 윤석열(2022~)정치 정치체제 민주공화정 / 단일국가 단원제입법부 대한민국 국회 / 지리면적 100,210 km2 (108위).0.3% / 인문 공용어 한국어 / 경제 통화 대한민국 원대한민국 제6공화국(大韓民國第六共和國)은 대한민국에서 1987년의 6월 항쟁의 결과로 발표된 6.29 민주화 선언에 의해 1987년 10월 29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하여 민주적으로 개정된 헌법 제10호에 의해 성립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헌정체제이다.역사198..

[웹북]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1988) - 전두환정권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년~1988년표어 정의사회구현국가 애국가수도 서울특별시정치 정치체제 대통령제 공화정 (사실상 군부 독재)대통령 전두환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9차 개정 1980년 10월 27일 6월 민주 항쟁 1987년 6월 29일 • 6·29 선언• 헌법 개정 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0.3%인문 공용어 한국어인구 1987년 어림 4,189만명경제 통화 대한민국 원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년~1988년대한민국 제5공화국(大韓民國第五共和國)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탄생한 대한민국의 다섯 번째 공화국이다. 1981년부터 1987년까지 존속했다.10·26 사건으로 새로 등장한 이른바 신군부 세력은 ..

[웹북] 대한민국 제4공화국 (1972~1981) - 박정희.최규화.전두환정권

대한민국 제4공화국대한민국 대통령제 공화국: 사실상 대통령 1인 독재 체제1972년~1981년국가 애국가대한민국 제4공화국 (1972~1981)수도 서울특별시정치 정치체제 한국식 민주주의(유신독재) (1972-1980) / 군사 정권 (1980-1981)대통령 박정희 (1962-1979) / 최규하 (1979-1980) / 전두환 (1980-1981)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헌법 공포 / • 국민투표 / • 10·26 사태 / • 12·12 사태 / • 5·17 쿠데타 / • 5·18 민주화 운동• 헌법 개정 1972년 10월 17일 /  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2월 12일 / 1980년 5월 17일 / 1980년 5월 18일  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0.3% ..

[웹북] 대한민국 제3공화국 (1962~1972) - 박정희 정권

대한민국 제3공화국 제3공화국 시기의 단편적이고 세부적인 사건 등에 대해서는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및 197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새 (1963–1972) 문장대한민국 大韓民國  1962년~1972년 국가 애국가 / 수도 서울특별시 / 정치 정치체제 대통령제 공화국 / 대통령 박정희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국민투표 1962년 12월 17일 • 10월 유신 1972년 10월 17일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 0.3% / 인문 공용어 한국어 / 인구 1970년 어림 3190만명 / 경제 통화 대한민국 원대한민국 제3공화국(大韓民國第三共和國)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의한 군정 아래에서 1962년 ..

[웹북] 대한민국 제2공화국 (1960.6.15~1961.5.16) - 윤보선정권

국기 문장국새대한민국 제2공화국 (1960.6.15~1961.5.16)국가 애국가수도 서울특별시정치 정치체제 내각책임제과도 정부 수반대통령 윤보선 국무총리 허정 장면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상원 참의원하원 민의원역사 • 4·19 혁명1960년 4월 19일 • 6·15 개헌 1960년 6월 15일 • 5·16 군사정변 1961년 5월 16일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0.3%인문공용어 한국어인구 1961년 어림 2640만명경제 통화 대한민국 환대한민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대한민국 제2공화국(大韓民國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다. 대한민국 제2공화국 체제는 1960년 4·19 혁명으로..

[웹북]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1945~1948)

한반도 남부의 위치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 在朝鮮美國陸軍司令部軍政廳 /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1945년~1948년수도 서울최대도시 수도시대 구분 냉전공용어 한국어, 영어경제 통화 원, "엔" 서류, 미국 달러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한국 한자: 美國陸軍司令部軍政廳, 영어: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또는 줄여서 미군정(美軍政)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한 한반도를 삼팔선으로 나눠 그 남부를 미군 제24군단이 점령하면서 1945년 9월 8일부터 미국이 설치하여 1948년 8월 15일까지 통치했던 기구이..

[웹북] 한국의 군정기 (1945.9.9~1948.8.15)

한국의 군정기 대한민국의 5.16 군사쿠데타 이후, 수립된 군사 정부에 대해서는 국가재건최고회의 문서를, 대한민국의 신군부군사쿠테타 이후, 수립된 군사 정부에 대해서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한반도 남쪽 지역을 담당한 군정에 대해서는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문서를,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한반도 북쪽 지역을 담당한 군정에 대해서는 소비에트 민정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한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미군정기(The Army Regime) 미군정기(The Army Regime)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

[웹북] 제 1공화국 (1948~1960)

대한민국 大韓民國 ← 1948년~1960년 →국기국기문장국새 (1949–1960)대한민국의 국장문장국가 애국가 제1공화국의 최대 영역 (1950년 11월)제1공화국의 최대 영역 (1950년 11월)수도 서울특별시정치 정치체제 대통령제 / 민주공화정대통령이승만부통령  이시영 (초대) / 김성수 (2대) / 함태영 (3대) / 장면 (4대)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제헌헌법 공포 • 제1공화국 정부수립 • 6·25 전쟁 • 4·19 혁명 1948년 7월 17일1948년 8월 15일1950년 6월 25일1960년 4월 19일지리면적 100,210 km2 (108위)0.3%인문공용어 한국어인구1955년 어림 2360만명경제통화 원 (1945-1953)환 (1953-1962)기타현재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

[웹북] 10.26 사태 (1979.10.26)

10·26 사건날짜 1979년 10월 26일시간 오후 7시 41분 (KST)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안가(현 청운효자동 무궁화동산)결과 박정희 대통령,차지철 대통렬경호실장 등 수십 명 사망, 김재규 체포, 계엄령 발령사망자 경호실장 차지철, 제9대 대통령 박정희, 경호처장 정인형, 경호부처장 안재송, 대통령 경호관 김용섭, 대통령 운전기사 김용태, 경호원 수십명10·26 사건 또는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한국 한자: 朴正熙大統領弑害事件, 영어: Assassination of Park Chung Hee), 궁정동 사건(宮井洞 事件)은 1979년 10월 26일에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및 안가 경비원들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하고, 차지철 경호실장, 정인형 대통령 경호..

[웹북] 부마 민주 항쟁 (1979. 10.16~10.20)

부마 민주 항쟁 마산 시 내에 투입된 공수부대(1979년 10월 20일 촬영)부마민주항쟁날짜 1979년 10월 16일 ~ 1979년 10월 20일 / 지역 부산시, 경상남도 마산시 / 원인 박정희의 유신 정권 독재 / 종류 항의, 시위 / 결과 시위 진압, 10·26 사태에 영향 / 시위 당사자 부산-마산 시위대 / 내무부 치안본부 / 제1, 3, 5공수특전여단 / 제1해병사단 제7연대 / 참여 인원 1만명 이상 / 사상자 체포자수 1,058명 / 구금자수 125명부마 민주 항쟁(釜馬民主抗爭, 영어: Bu-Ma Democratic Protests)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현재의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 (현 소재지 :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한 시위가 일어난 것을 말한다..

[웹북] 10월 유신 (1972.10.27)

10월 유신대한민국 헌법약칭 유신헌법 / 종류 헌법 제8호 / 제정 일자 1972.12.27, 전부개정 / 상태 1980.10.27, 전부개정분야 공법 주요 내용 국민의 기본적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 침해 불가능 규정 삭제, 대통령 간선제, 대통령의 긴급조치권·국회해산권 및 국회의원 3분의 1과 법관 전부에 대한 임명권 규정.관련 법규 대한민국 헌법의 역사원문 대한민국 헌법 8호 / 대한민국 헌법 (한국어 / 영어) / 전문 · 1장 · 2장 · 3장 · 4장 · 5장 · 6장7장 · 8장 · 9장 · 10장 · 부칙임시헌장→임시헌법→ / 제1호→제2호→제3호→제4호→제5호→제6호→제7호→제8호→제9호→제10호대한민국의 헌정사10월 유신은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

[웹북] 6.3항쟁 (1964)

6·3 항쟁6·3 항쟁날짜 1964년 6월 3일 / 지역 대한민국 전역 / 원인 박정희 정부의 한일협상 시도 / 목적 한일협상 반대 / 종류 항의, 시위 / 결과 계엄령 선포, 한일기본조약 통과 /시위당사자 시위참가저, 박정희 정부 / 주요 인물 윤보선,박정희 / 참여 인원 3만명 이상 / 사상자 체포자수 1,120명6·3 항쟁(六三抗爭) 또는 6·3 시위(六三示威), 한일협상 반대 운동(韓日協商反對運動)은 1964년 6월 3일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상에 반대하여 일으킨 운동이었다. 1964년 6월 3일 박정희 정부가 계엄령을 선포하여 당시 절정에 이른 한일국교정상화회담 반대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6월 3일 저녁 10시에 선포한 계엄은 7월 29일 해지되었다.원인정부가 한일 교섭을 비밀리에 추진, ..

[웹북] 5.16 군사정변 (1961)

5·16 군사정변5·16 군사반란 직후, 5월 16일 오전 8~9시 경 중앙청 앞에서 박정희 소장과 이낙선 소령, 박종규 소령, 차지철 대위5.16 군사반란 날짜 1961년 5월 16일 / 장소 대한민국 전역 / 결과 군사반란 성공 / 대한민국 제2공화국 붕괴 / 국가재건최고회의 설립 및 군정 실시교전국대한민국대한민국 군사혁명위원회 / 미국 미군방첩대 한국사무소 / 대한민국 제5사단 / 대한민국 제12사단 / 대한민국 제30사단 / 대한민국 제33사단 / 대한민국 제6군단 포병여단 / 대한민국 제1공수특전단 / 대한민국 해병대 제1여단 /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 대한민국대한민국 헌병 / 대한민국대한민국 제30사단지휘관대한민국 박정희 소장 (2군 부사령관) / 대한민국 김재춘 대령 (6관구참모장)..

[웹북] 4.19 혁명 (1960)

4·19 혁명에 참여한 시위대의 모습.4·19 혁명날짜 1960년 4월 11일~4월 26일 / 지역 대한민국(전국) / 원인 3·15 부정선거 / 목적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 종류 민주주의 혁명 / 결과 대한민국 제2공화국의 출범시위 당사자-대한민국 국민 / 민주당-자유당 정권 / 대한민국 경찰주요 인물장면 / 윤보선 /  이승만 /  이기붕참여 인원10만 명 이상사상자사망자수 186명(시민)부상자수 6,026명(시민)1960년 3월 15일 자《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4·19 혁명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의 학생과 시민들이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에 대항하여 일으킨 민주 항쟁이다. 3월 15일에 실시된 대통령과 부통령 선..

[웹북] 부산정치파동 (1952)

부산 정치 파동부산 정치 파동(釜山政治波動)은 1952년 5월 25일부터 7월 7일, 대한민국 헌법 제2호 공포까지의 기간 동안 6.25 전쟁 중 대한민국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일어난 일련의 정치 파행이다. 이 기간에 대통령 이승만은 자신의 재선을 위하여 자신의 기반이 약한 국회가 아닌, 국민적 지지를 통한 집권을 위해 대통령과 부통령의 직선제를 골자로하는 발췌개헌을 통과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경위헌병대가 구속된 국회의원들을 버스에 태워 연행하고 있다. 이 사진은 정치파동을 상징하는 유명한 사진으로 남아있다.1950년, 5·30 선거에서 피선된 제2대 국회는 내각책임제 개헌을 주장하였고, 이에 반대하는 대통령 이승만의 재선은 불투명해지고 있었다. 6.25 전쟁 와중인 1951년 11월 30일, 정부는 대..

[웹북] 제주4.3사건 (1947~1954)

제주43평화공원 다랑쉬굴 학살 현장 재현제주 4·3 사건날짜 1947년 3월 1일 ~ 1954년 9월 21일장소 제주도 전역결과 대한민국 정부의 소요사태 진압수만 명의 민간인이 희생됨 / 사건 이후 진상 규명을 위한 여러 노력 /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2000)교전국 - 미국 미군정 (-1948) / 대한민국 대한민국 (1948-) / 서북청년단 = 남조선로동당지휘관-미국 윌리엄 F. 딘 / 대한민국 송요찬 / 대한민국 유재흥 / 대한민국 김익렬 / 대한민국 조병옥-대한민국 박진경 † 김달삼 † 이덕구 †병력 -3000여명  -남조선로동당원 500여명 / 제주도민 지원자 1000여명이나 이승만 전 대통령 산하의 근거없는 주장이었다.­피해 규모1,091명 (군인..

[웹북] 여수 순천사건 (1948.10)

1948년 10월, 여순 반란 사건 당시 반란군의 정보요원으로 활동하다 체포되는 여맹원들.여수·순천 사건  (여순 사건)날짜 1948년 10월 19일 ~ 1948년 10월 27일장소 전라남도 동부 일대결과 대한민국 국군의 승리, 반란 진압교전국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 /  국방경비대 / 여수·순천 경찰 남조선로동당 / 육군 14연대지휘관이승만 / 송호성 / 원용덕 / 김백일 / 백선엽 / 정일권 / 백인엽 / 송석하 / 김창룡 김지회 † / 지창수 †병력10,000여 명 / 2,000여 명피해 규모군인 약 180명 / 경찰 74명 불명 / 민간인(경찰 제외) 대략 3,384명(행방불명 825명 포함)여수·순천 사건 (여순 사건)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또는 여순 사건(麗順事件)은 1948년 10..

피고인 김재규 (2024) - 10ㆍ26 비공개 재판 통합 증언록

책소개집권 쿠데타인가 민주 회복 거사인가10·26 사건의 진실을 밝혀 줄 비공개 재판 법정 증언록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왜 대통령 박정희를 권총으로 쏘았는가? 《피고인 김재규》는 이 물음에 가장 실증적인 해답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10·26 군사재판의 1심 공판 10개 회와 2심 공판 4개 회의 전 녹음을 정리한 비공개 재판 통합 증언록이다. 당시 군사재판을 이끈 재판부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재판을 비공개로 진행했으며 변호사의 녹취도 허락하지 않았다. 이 책은 저자가 1993년 한 의인으로부터 테이프를 제공받은 덕분에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김재규는 군사법정에서 박정희에게 권총을 쏜 이유에 대해 “다수 국민의 희생을 막기 위해 나의 가족과도 같은 각하 한 사람을 희생시킬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웹북] 7·4 남북 공동 성명

7·4 남북 공동 성명한반도 평화 논의한국전쟁 휴전협정 1953년 7월 27일7·4 남북 공동 성명 1972년 7월 4일남북 유엔 동시가입 1991년 8월 8일남북 기본합의서 1991년 12월 13일2000년 남북정상회담 2000년 6월 13일-15일6·15 남북 공동선언 2000년 6월 15일2007년 남북정상회담 2007년 10월 2일-4일10·4 남북정상선언 2007년 10월 4일봄이 온다 2018년 4월 1일-3일2018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4월 27일판문점 선언 2018년 4월 27일2018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5월 26일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6월 12일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9월 18일-20일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 2019년 2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