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한국역사 [역사지식여행] 113

[웹북] 조선의 정치

《경국대전》은 조선의 체제를 규정하였다.조선의 정치조선의 정치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로 운영되었다.조선 국왕은 이론적으로 전제 군주였으나 실제에서는 왕권과 신료의 권한이 긴장과 타협 속에서 조정되어 국정에 반영되었다. 조선의 정치 체계와 구조는 《경국대전》으로 집대성되어 관료 체제가 규정되었고다양한 층위의 논쟁과 갈등 속에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하였다. 조선 전기의 주요 갈등은 국왕과 신료들 사이의 권력 형성을 두고 일어났고 중기 이후 사림파의 등장은 붕당 정치의 발전으로 이어졌으며 후기의 호락논쟁과 같이 성리학의 이해에 대한 학문적 차이에서부터 붕당의 인맥과 실제 정치적 쟁점이 뒤섞인 독특한 정치 지형을 만들어내었다. 주체조선은 이론적으로 국왕이 절대적 주권을 지녔다는 점에서 전제군..

[웹북]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대한민국의 국보  / 정조대왕실록종목 국보 (구)제151호 (1973년 12월 31일 지정)수량 2,124책(冊)시대 조선 시대소유 국유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신림동, 서울대학교)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문화어: 조선봉건왕조실록(朝鮮封建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다. 별칭은 『조선실록』(朝鮮實錄)이다. 1997년 10월 1일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개요『조선왕조실록』 은 총 1,894권 888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49,646,667자[4]의 방대한 내용을..

[웹북] 조선 (1392~1897)

조선조선국(1392년~1894년)대조선국(1894년~1897년)朝鮮國大朝鮮國1392년~1897년국기 상단 : 국기 (1893년 ~ 1897년)하단: 왕실 어기문장왕실 인장인장 (1884년경 ~ 1897년)수도 한성부 (1394-1399, 1405-1910) / 개경 (1392-1394, 1399-1405)정치정치체제 전제군주제국왕1392년 ~ 1398년 태조 (초대) 1863년 ~ 1897년 고종 (말대) 영의정1392년 ~ 1398년 정도전 (초대) 1884년 ~ 1894년 심순택 (말대) 국성 전주 이씨역사 • 건국 1393년 8월 13일 • 조선으로 국호 변경 1393년 3월 28일 • 훈민정음 반포 1446년 • 계유정난 1453년 • 중종반정 1506년 • 임진왜란 1592년 ~ 1598..

[웹북] 조선의 학문

조선의 학문조선시대의 학문은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유학의 일파인 성리학이 융성하였고, 중기부터 도교가 도학이라는 이름으로 퍼지기 시작했다. 조선 후기에 실사구시와 이용후생을 바탕으로 실학이 일어났으며, 처음에는 이단으로 배척받던 양명학도 뿌리를 내렸다.성리학태조 이성계를 도와 조선의 건국에 큰 공을 세운 정도전·조순(趙俊) 등은 모두 주자학(朱子學)의 신봉자들로서 이들은 유학적(儒學的)인 이상을 새 왕조에 실현시켜 보려고 정교(政敎)의 지도이념으로 유교를 채택하는 동시 불교를 맹렬히 배출시켰다. 조선에서는 임금의 진강(進講)을 비롯하여, 성균관·사학(四學)·향교(鄕校) 등의 교육기관이나 과거 등에도 그 과목이 채택되어 나라의 정치는 유교정치와 같이 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새 왕조에 벼슬하지 않고 절의(..

[웹북] 조광조

조광조 趙光祖정암 조광조정암 조광조조선의 사헌부 대사헌재임 1518년 3월~1519년 1월임금 조선 중종 이름자 효직(孝直) / 호 정암(靜庵) / 시호 문정(文正) 신상정보출생일 1482년 8월 23일 / 출생지조선 한성사망일 1519년 음력 12월 20일 (향년 37세) / 사망지 조선 전라도 능성현에서 사사(사형)국적 조선 / 경력 문신, 사상가, 도학자, 정치가, 시인, 작가, 저술가 / 당파 사림파 후예 세력부모 조원강(부) 여흥 민씨 부인(모) / 형제자매 조영조(형), 조숭조(아우)배우자 한산 이씨 부인 / 자녀 조정(장남), 조용(차남) 학문 활동분야 성리학 조광조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웹북] 이언적

이언적이언적 李彦迪조선의 의정부 좌찬성임기 1545년 3월 ~ 1545년 12월군주 인종 이호 / 명종 이환섭정 문정왕후 파평 윤씨 이름별명 자는 복고(復古)처음 이름은 이적(李迪)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시호는 문원공(文元公) 신상정보출생일 1491년 11월 25일 / 출생지 조선 경상도 경주부 양좌촌(良佐村) 서백당(書百堂)거주지 조선 경상도 경주군 강동면 / 조선 경기도 여주 / 조선 경상도 선산군 구미면 / 조선 한성부 / 조선 경상도 경주군 자옥산 / 조선 평안도 강계군사망일 1553년 11월 23일(61세) / 사망지 조선 평안도 강계에서 병사국적 조선 / 학력 1513년(중종 8년) 생원시 입격, 1514년(중종 9년) 문과 급제경력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 종묘 배향, 의정부 좌..

[웹북] 퇴계 이황

이황 李滉이름자 경호(景浩) / 호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 / 시호 문순(文純)신상정보출생일 1502년 1월 13일 / 출생지 조선 경상도 예안현(현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사망일 1571년 1월 13일 (69세) / 사망지 조선 경상도 예안현국적 조선 / 직업 문관, 성리학자, 사상가, 시인, 정치가, 저술가본관 진보(眞城) / 부모 父 이식(李埴) / 초취 의성 김씨 (사별) / 母 어머니 춘천 박씨 (생모)형제자매 온계 이해(형) / 배우자 초취 김해 허씨 / 재취 안동 권씨 / 기첩 두향 / 자녀 이준(장남), 이채(차남)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1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율리우스력 1502년 1월 3일) ~ 1571년 1월 13일(1570년 음력 12월 8..

[웹북] 한국의 유교

유교 (儒敎)한국의 유교한국의 유교(韓國 儒敎)란 역사적으로 한국에서 받아들여지고 발전한 유교의 형태를 가리키며, 조선시대 들어서는 나름의 독자적인 사상체계로 발전하고 자리잡아 가게 된 것을 말한다. 유교가 한국에 전래된 연대는 기록이 없어 확실하지 않으나 한자가 전래된 시기에 더불어 자연스럽게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삼국시대 때, 당(唐)나라의 학제인 국학(國學)을 받아들인 때를 그 기원으로 삼는다. 조선 시대에 융성했던 주자학은 고려말 유학자 안향(安珦)에 의해 1289년 고려 충렬왕 15년에 최초로 전래된후 연구, 보급되었다.한국 유교는 고대 중국에서 발원한 유가 사상이 한반도에 전해진 후 한국 토양에서 받아들여지고, 발전 및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독특한 문화 및 철학 체계이다. 이 사상은 삼국..

[웹북] 유교

유교유교의 심볼유교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 체계이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한다. 지켜야 할 인륜의 명분(名分)에 대한 가르침이라고 하여 명교(名敎)라고도 한다. 유교의 특징 또는 핵심 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으로,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진리 구현의 방식이 수기치인이다. 수기치인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리는 것으로서 위정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이다. 즉, 유교는 자기 자신의 수양에 힘쓰고 천하를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며 또한 그것을 향한 실천이라고도 할 수 있다. 권선징악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으며 유학자들의 역사 ..

[웹북] 율곡이이

이이 李珥1965년 빙수이가 그린 이이의 초상화 이이 조선의 이조판서재임 1582년 (임금 조선 선조)이름별호 이이자 숙헌(叔獻)호 율곡(栗谷), 석담(石潭), 우재(愚齋)시호 문성(文成) 신상정보출생일 1536년 12월 26일출생지 조선 강원도 강릉부 죽헌동 오죽헌 몽룡실사망일 1584년 2월 27일(47세)사망지 조선 한성부 대사동[2] 자택국적 조선경력 문관 겸 성리학자본관 덕수(德水)부모 이원수(부) 신사임당(모)측실 권씨(서모) 형제자매누이 이매창, 형 이번, 형 이선,동생 이우배우자 정실 곡산 노씨 부인측실 김씨측실 이씨자녀 슬하 2남 1녀(서자녀) 학문 활동분야 성리학성과 이기일원론스승 백인걸이이(李珥, 1536년 12월 26일~ 1584년 2월 27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관직..

[웹북] 김정은

김정은2019년의 김정은김정은 (간단프로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3대 최고 지도자임기 2011년 12월 18일~전임: 김정일(제2대)조선로동당의 제3대 총비서임기 2011년 12월 30일~전임: 김정일(제2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의 제1대 위원장임기 2016년 6월 29일~ 신상정보출생일 1984년 1월 8일(41세)본관 전주학력 리베펠트-슈타인횔츨리 공립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경영학 학사정당 조선로동당부모 아버지 김정일, 어머니 고용희배우자 리설주(결혼 2009년)자녀 아들 김정주, 딸 김주애종교 무종교별명 은하(별칭),박운(가명)서명  군사 경력복무 조선인민군복무기간 2011년~최종계급 대원수근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 조선인민군 원..

[웹북] 김정일

김정일 金正日김정일의 공식 초상화  김정일 (간단 프로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임기 1994년 7월 8일~2011년 12월 17일전임: 김일성(제1대)후임: 김정은(제3대)조선로동당의 제2대 총비서임기 1994년 7월 8일~2011년 12월 17일전임: 김일성(제1대)후임: 김정은(제3대)신상정보출생일 1941년 2월 16일출생지 소련 하바롭스크사망일 2011년 12월 17일(69세)사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직할시본관 전주학력 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과정당 조선로동당부모 아버지 김일성, 어머니 김정숙배우자 홍일천(이혼), 성혜림(사별), 김영숙(재혼), 고용희(사별), 김옥(재혼)자녀 아들 김정남, 김정철, 김정은딸 김혜경, 김설송, 김춘송, 김여정종교 주체사상별명 소련식 이름..

[웹북] 반민족행위처벌법

반민족행위처벌법반민족행위처벌법/反民族行爲處罰法약칭 반민특위법종류 법률제정 일자 1948년 9월 22일 법률 제3호상태 1951년 2월 14일 법률 제176호로 폐지분야 공법주요 내용 친일파 처벌을 규정.관련 법규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반민특위 활동 보도 기사 (1949년 1월 11일자 조선일보 보도)반민족행위처벌법부일협력자·민족반역자·전범·간상배에 대한 특별법률조례반민족행위처벌법(反民族行爲處罰法)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에 협력한 친일파를 반민족 행위로 규정하고 처벌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이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제헌헌법 제101조에 의하여 국회에 반민족행위처벌법 기초특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그해 9월 22일 법률 제3호로서 이 법이 제정되었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약칭, ..

[웹북] 대한민국 제헌 국회 (1948~1950)

대한민국 제헌 국회대한민국 제헌 국회(大韓民國制憲國會, 영어: Constituent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는 1948년 5월 31일, 구성되고 1950년 5월 30일까지 활동한 국회를 말한다.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한 국회이다. 제헌 국회는 대한민국의 제1공화국이 수립되기 전인 1948년 5월 31일에 구성되었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미군정 시기부터 시작된다. 개요1945년 2월 26일, 유엔소총회는 사흘간의 토론 끝에 다음과 같은 결의를 찬성 32, 반대 2로 가결했다.[1] “ 조선의 가능한 지역에서 조선인의 자유의사에 의한 선거를 유엔감시하에 실시하고 이 선거는 인구비례에 의하여 독립정부 수립의 제1보..

[웹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1948~1949)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반민특위 조사관 임명장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약칭 반민특위결성 1948년 10월 22일설립자 대한민국 제헌 국회해산 1949년 10월유형 위원회목적 일제에 협력한 친일파 청산활동 지역 대한민국공식 언어 한국어위원장 김상덕(金尙德)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약칭 반민특위(反民特委)는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과 적극적으로 협조한 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헌국회에서 설치한 특별위원회이다. 1948년 9월 7일 제헌국회에서는 국권강탈에 적극 협력한 자, 일제치하의 독립운동가나 그 가족을 악의로 살상·박해한 자 등을 처벌하는 목적으로 반민족행위처벌법을 통과시켰다. 반민특위는 그 산하에 배치되어 있는 특별경찰대를 활용하여 일제시..

[웹북] 자유당 (1951~1970)

로고 상징색 청색자유당이념 보수주의 / 반공주의 / 민족주의 / 협동조합주의 / 일민주의 (초기) 파시즘 (초기, 논쟁적) / 스펙트럼 극우당직자 총재 이승만역사창당 1951년 12월 17일해산 1970년 1월 24일선행조직 대한독립촉성국민회통합된 정당 신민당내부 조직 중앙당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자유당(自由黨)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 17일에 대한민국에서 창립된 정당이다.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다. 최초 공화민정회와 5개 정치, 시민단체인 대한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국민회), 대한노동조합총연맹, 농민조합연맹, 대한부인회 등이 연합하여 출범하였다.여기에 한민당 탈당파, 대한국민당 탈당..

[웹북] 대한민국 제6공화국 (1988~2022~ ) - 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렬정권

대한민국 제6공화국 (1988~)대통령 노태우(1988~1993) / 김영삼(1993~1998) / 김대중(1998~2003) / 노무현(2003~2008) / 이명박(2008~2013) / 박근혜(2013~2017) / 문재인(2017~2022) / 윤석열(2022~)정치 정치체제 민주공화정 / 단일국가 단원제입법부 대한민국 국회 / 지리면적 100,210 km2 (108위).0.3% / 인문 공용어 한국어 / 경제 통화 대한민국 원대한민국 제6공화국(大韓民國第六共和國)은 대한민국에서 1987년의 6월 항쟁의 결과로 발표된 6.29 민주화 선언에 의해 1987년 10월 29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하여 민주적으로 개정된 헌법 제10호에 의해 성립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헌정체제이다.역사198..

[웹북]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1988) - 전두환정권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년~1988년표어 정의사회구현국가 애국가수도 서울특별시정치 정치체제 대통령제 공화정 (사실상 군부 독재)대통령 전두환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9차 개정 1980년 10월 27일 6월 민주 항쟁 1987년 6월 29일 • 6·29 선언• 헌법 개정 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0.3%인문 공용어 한국어인구 1987년 어림 4,189만명경제 통화 대한민국 원 대한민국 제5공화국 1981년~1988년대한민국 제5공화국(大韓民國第五共和國)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탄생한 대한민국의 다섯 번째 공화국이다. 1981년부터 1987년까지 존속했다.10·26 사건으로 새로 등장한 이른바 신군부 세력은 ..

[웹북] 대한민국 제4공화국 (1972~1981) - 박정희.최규화.전두환정권

대한민국 제4공화국대한민국 대통령제 공화국: 사실상 대통령 1인 독재 체제1972년~1981년국가 애국가대한민국 제4공화국 (1972~1981)수도 서울특별시정치 정치체제 한국식 민주주의(유신독재) (1972-1980) / 군사 정권 (1980-1981)대통령 박정희 (1962-1979) / 최규하 (1979-1980) / 전두환 (1980-1981)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헌법 공포 / • 국민투표 / • 10·26 사태 / • 12·12 사태 / • 5·17 쿠데타 / • 5·18 민주화 운동• 헌법 개정 1972년 10월 17일 /  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2월 12일 / 1980년 5월 17일 / 1980년 5월 18일  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0.3% ..

[웹북] 대한민국 제3공화국 (1962~1972) - 박정희 정권

대한민국 제3공화국 제3공화국 시기의 단편적이고 세부적인 사건 등에 대해서는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및 197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새 (1963–1972) 문장대한민국 大韓民國  1962년~1972년 국가 애국가 / 수도 서울특별시 / 정치 정치체제 대통령제 공화국 / 대통령 박정희입법부 대한민국 국회역사 • 국민투표 1962년 12월 17일 • 10월 유신 1972년 10월 17일지리 면적 100,210 km2 (108위) / 0.3% / 인문 공용어 한국어 / 인구 1970년 어림 3190만명 / 경제 통화 대한민국 원대한민국 제3공화국(大韓民國第三共和國)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의한 군정 아래에서 1962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