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2020년은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20년 6월과 10월 독립군이 길림성 왕청현 봉오동과 화룡현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과 싸워 승리한 해였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두 차례 기획한 학술회의에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 자체를 조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았다. 전투 자체는 그동안의 선행 연구들로 상당히 해명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투를 좀 더 다양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주제를 분석하는 데 치중하였다.
이때 주목한 주제가 ‘군사’였다. 그리고 무력이 작동하는 배경으로서 ‘사회’였다. 무력 대 무력의 싸움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고 가장 기초적인 주제가 군대와 사회인데 선행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연구자 개인의 의지에 기대어서는 앞으로도 그 결핍을 메우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럼 이제부터 선행연구의 동향을 시간의 흐름을 따라 추적하면서 군대와 사회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던 이유를 짚어보자. 더불어 현재까지 형성된 선행연구의 논점이 무엇이고, 여전히 메우지 못하고 있는 역사에 무엇이 있는지를 압축적으로 정리하자.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리된 과제들을 군대와 사회의 측면에서 볼 때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 대안도 함께 제시하겠다. (총론 中)
이때 주목한 주제가 ‘군사’였다. 그리고 무력이 작동하는 배경으로서 ‘사회’였다. 무력 대 무력의 싸움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고 가장 기초적인 주제가 군대와 사회인데 선행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연구자 개인의 의지에 기대어서는 앞으로도 그 결핍을 메우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럼 이제부터 선행연구의 동향을 시간의 흐름을 따라 추적하면서 군대와 사회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던 이유를 짚어보자. 더불어 현재까지 형성된 선행연구의 논점이 무엇이고, 여전히 메우지 못하고 있는 역사에 무엇이 있는지를 압축적으로 정리하자.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리된 과제들을 군대와 사회의 측면에서 볼 때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 대안도 함께 제시하겠다. (총론 中)
목차
총론 : 봉오동·청산리전투 연구동향과 새로운 연구방향 | 신주백
제1부 독립전쟁의 기원
1910년대 만주·연해주지역 의병세력과 독립운동 | 심철기
Ⅰ. 머리말
Ⅱ. 의병세력의 만주·연해주 이주
Ⅲ. 연해주지역 의병세력과 「의원안」
Ⅳ. 맺음말
1920년의 임시정부 독립전쟁론과 북간도지역 독립군 | 신주백
Ⅰ. 머리말 : 기억과 연구의 흐름
Ⅱ. 전략론으로서 독립전쟁론과 대외정세활용론
Ⅲ.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준비와 국내외 움직임
Ⅳ. 북간도지역에서 독립전쟁론의 구체화 과정으로서 독립군 통합논의와 전투
Ⅴ. 맺음말
제2부 독립전쟁과 일본군
「봉오동부근전투상보」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 | 이상훈
Ⅰ. 머리말
Ⅱ. 일본 측 전과기록의 검토
Ⅲ. 봉오동전투의 현장
Ⅳ. 맺음말
청산리 전역시 일본군의 군사체계와 독립군의 대응 | 신효승
Ⅰ. 머리말
Ⅱ. 독립군 부대의 특징과 일본군의 중국 연변지역 독립군 탄압 추진
Ⅲ. 청산리 어랑촌 전투 간 독립군의 대응과 전개과정
Ⅳ. 맺음말
『간도출병사』를 통해 본 1920년 강안수비대의 활동 | 김연옥
Ⅰ. 머리말
Ⅱ. 초기 침공 단계의 실태(1920년 8∼12월)
Ⅲ. 주력 부대 철수 이후의 실태(1920년 12월 이후)
Ⅳ. 맺음말
제3부 독립전쟁과 북간도지역 민족사회
봉오동·청산리전투 전후의 간도 조선인 사회: 일본의 지역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조정우
Ⅰ. 머리말 : 간도라는 경계지대와 현지조사
Ⅱ. ‘영토문제’로서의 간도조사 : 통감부임시간도파출소와 나이토 코난
Ⅲ. 간도 지역조사의 출발 : 1915년 조선총독부의 『국경지방시찰복명서』
Ⅳ. 봉오동·청산리전투 직전의 간도 지역조사, 1918년 동척의 『간도사정』
Ⅴ. 봉오동·청산리전투 직후의 간도조사 : 1921년 조선은행의 경제조사
Ⅵ. 맺음말 : 조사체제의 전환, 영토주의에서 경제주의로
1920년 제국주의 일본군의 간도침략과 한인 대학살: 통제와 은폐 | 김주용
Ⅰ. 머리말
Ⅱ. 기획된 대학살의 전주곡, 훈춘사건
Ⅲ. 군용통신 시스템 구축과 학살의 공간 확대
Ⅳ. 대학살의 과정과 실상
Ⅴ. 맺음말 : 경신참변은 제노사이드이다
훈춘 일본인사회와 훈춘사건 | 다나카 류이치
Ⅰ. 머리말
Ⅱ. 훈춘 일본인사회의 형성
Ⅲ. 훈춘 일본인사회와 훈춘사건
Ⅳ. 1910년대 간도무역의 변용과 훈춘
Ⅴ. 1920년대 전반 훈춘무역과 일본인사회
Ⅵ. 맺음말
논문출처
찾아보기
제1부 독립전쟁의 기원
1910년대 만주·연해주지역 의병세력과 독립운동 | 심철기
Ⅰ. 머리말
Ⅱ. 의병세력의 만주·연해주 이주
Ⅲ. 연해주지역 의병세력과 「의원안」
Ⅳ. 맺음말
1920년의 임시정부 독립전쟁론과 북간도지역 독립군 | 신주백
Ⅰ. 머리말 : 기억과 연구의 흐름
Ⅱ. 전략론으로서 독립전쟁론과 대외정세활용론
Ⅲ. 임시정부의 독립전쟁 준비와 국내외 움직임
Ⅳ. 북간도지역에서 독립전쟁론의 구체화 과정으로서 독립군 통합논의와 전투
Ⅴ. 맺음말
제2부 독립전쟁과 일본군
「봉오동부근전투상보」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 | 이상훈
Ⅰ. 머리말
Ⅱ. 일본 측 전과기록의 검토
Ⅲ. 봉오동전투의 현장
Ⅳ. 맺음말
청산리 전역시 일본군의 군사체계와 독립군의 대응 | 신효승
Ⅰ. 머리말
Ⅱ. 독립군 부대의 특징과 일본군의 중국 연변지역 독립군 탄압 추진
Ⅲ. 청산리 어랑촌 전투 간 독립군의 대응과 전개과정
Ⅳ. 맺음말
『간도출병사』를 통해 본 1920년 강안수비대의 활동 | 김연옥
Ⅰ. 머리말
Ⅱ. 초기 침공 단계의 실태(1920년 8∼12월)
Ⅲ. 주력 부대 철수 이후의 실태(1920년 12월 이후)
Ⅳ. 맺음말
제3부 독립전쟁과 북간도지역 민족사회
봉오동·청산리전투 전후의 간도 조선인 사회: 일본의 지역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조정우
Ⅰ. 머리말 : 간도라는 경계지대와 현지조사
Ⅱ. ‘영토문제’로서의 간도조사 : 통감부임시간도파출소와 나이토 코난
Ⅲ. 간도 지역조사의 출발 : 1915년 조선총독부의 『국경지방시찰복명서』
Ⅳ. 봉오동·청산리전투 직전의 간도 지역조사, 1918년 동척의 『간도사정』
Ⅴ. 봉오동·청산리전투 직후의 간도조사 : 1921년 조선은행의 경제조사
Ⅵ. 맺음말 : 조사체제의 전환, 영토주의에서 경제주의로
1920년 제국주의 일본군의 간도침략과 한인 대학살: 통제와 은폐 | 김주용
Ⅰ. 머리말
Ⅱ. 기획된 대학살의 전주곡, 훈춘사건
Ⅲ. 군용통신 시스템 구축과 학살의 공간 확대
Ⅳ. 대학살의 과정과 실상
Ⅴ. 맺음말 : 경신참변은 제노사이드이다
훈춘 일본인사회와 훈춘사건 | 다나카 류이치
Ⅰ. 머리말
Ⅱ. 훈춘 일본인사회의 형성
Ⅲ. 훈춘 일본인사회와 훈춘사건
Ⅳ. 1910년대 간도무역의 변용과 훈춘
Ⅴ. 1920년대 전반 훈춘무역과 일본인사회
Ⅵ. 맺음말
논문출처
찾아보기
'22.역사이야기 (관심>책소개) > 7.독립운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례의 큰 별들 (0) | 2022.02.17 |
---|---|
독립운동의 접두사 (0) | 2022.02.17 |
한국 광복군의 일상과 기억 (0) | 2022.02.15 |
애국인가 친일인가 (일제강점기 무관15인) (0) | 2022.02.15 |
특별한 형제들: (친일파 항일,근현대 형제 열전)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