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역사이야기 (관심>책소개)/7.독립운동사

새롭게 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

동방박사님 2022. 7. 2. 23:01
728x90

책소개

반인류적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인류의 자유와 정의를 수호한 평화운동,
한국 독립운동 전 과정을 아우른 필독서


한국의 독립운동은 항일투쟁뿐 아니라 민족문제를 해결하고 근대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이었다. 민족운동을 통한 근대화 현상은 동학농민전쟁에서 발원했다. 봉건적 사회질서를 타파하기 위한 동학농민전쟁은 일제 침략을 맞아 반제 민족운동으로 전이되었고, 의병전쟁과 함께 3·1운동의 원류로 작용했다. 구시대와 신시대를 나누는 분수령이 된 3·1운동은 국제사회를 향해 진정한 평화를 외치며, 백성이 아닌 국가의 주인, 제국이 아닌 민국을 만들었다. 그 후 이념과 방략을 달리해 한인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독립운동이 일어났다.

“한국 독립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제국주의가 멸망하는 날 약소민족의 해방을 위해 전개한 것”이라는 윤봉길 의사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의 독립운동은 반인류적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인류의 자유와 정의를 수호한 평화운동이었고 인도주의운동이었다.

과연 광복은 독립운동으로 일구어낸 것인가, 아니면 일제 패망으로 얻은 산물인가를 놓여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독립운동으로 광복을 이뤘다고 하기에는 힘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고, 일제 패망으로 얻은 것이라면 독립운동의 가치가 설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립운동을 기존의 시각대로 ‘일제 침략에 맞서 나라를 되찾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제국주의를 퇴치하는 평화운동’의 관점에서 보면, 인류의 자유를 파괴한 일제를 퇴치하기 위해 독립운동이 무엇을 했는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마주하게 된다.

의병운동부터 8ㆍ15광복까지 독립운동의 전 과정을 담아낸 이 책을 통해 ‘독립운동이 무엇을 했는가’를 한번쯤 고민해보자.

목차

책을 펴내며 _박걸순

총론: 자유와 독립 그리고 평화 _장석흥

01 평민이 나서다
02 4세대에 걸쳐 싸우다
03 어떻게 발전해 갔는가
04 방략과 이념이 다원했다
05 근대화를 촉진하다
06 왜 평화운동인가

1강 일제강점기 통치의 성격과 특징 _박맹수
01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와 통치
02 1910년대 식민지 통치 기반의 구축
03 1920년대: 일제의 경제 수탈 강화와 민족 분열 획책
04 1930년대 전반: 전시체제로의 전환
05 1930년대 후반 이후: 국민총동원 체제와 민족 말살

2강 한국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_김기승
01 1910년대의 복벽주의와 공화주의
02 민족주의운동의 이념과 방략
03 무정부주의 사상과 독립운동
04 사회주의운동의 이념과 방략

3강 한국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 _박걸순
01 1910년대 독립운동: 국내 비밀결사 투쟁과 국외 독립군 기지 개척
02 1920년대 독립운동: 통합 전선의 구축과 총력 항쟁
03 1930년대의 독립운동: 독립운동의 시련과 국학민족주의 고양
04 1940년대 전반: 독립의 전망과 노선 통합 노력

4강 한말 국권회복운동 _이계형
01 의병운동
02 계몽운동
03 국채보상운동
04 의열투쟁

5강 1910년대 국내 비밀결사운동 _이성우
01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의 상황과 비밀결사
02 의병 계열의 비밀결사
03 계몽운동 계열의 비밀결사
04 기타 단체의 독립운동
05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의 의의

6강 3·1운동 _김정인
01 3·1운동의 배경과 추진 과정
02 3·1운동의 전개 양상과 특징
03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7강 1920년대 국내 독립운동 _강윤정
01 1920년대 국내 항일투쟁 상황
02 농민·노동 운동
03 청년·학생 운동
04 사회주의 수용과 독립운동의 분화
05 6·10만세운동 발발과 전개

8강 1930~1940년대 국내 독립운동과 사회주의운동 _김명섭
01 일제의 만주 침략과 혁명적 대중운동의 확산
02 학생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아나키스트운동
03 중일전쟁기 일제의 파시즘 체제 확립과 강제 연행
04 반파쇼 저항운동과 조선건국동맹의 활동

9강 한국 독립운동과 민족통일전선운동 _박윤재
01 1910년대 말~1920년대 초 민족통일전선운동
02 1920년대 후반 민족통일전선운동
03 1930년대 독립운동 정당의 통일운동
04 1940년대 민족통일전선운동
05 민족통일전선운동의 역사적 의미

10강 국내외 여성 독립운동 _김성은
01 대한제국 시기 여성들의 국권회복운동
02 3·1운동과 여성독립운동 단체 조직
03 3·1운동 이후 여성들의 독립운동과 민족운동
04 중국 관내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11강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_김주용
01 만주 지역과 한인 이주
02 만주 지역 3·1운동
03 무장독립투쟁
04 독립운동 세력의 재정비와 삼부 성립
05 만주사변과 독립운동 세력의 동향
06 만주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의

12강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_윤상원
01 러시아 지역 한인 사회의 형성과 한인 민족운동
02 러시아혁명 이후 한인의 항일투쟁
03 1920~1930년대 연해주 한인 사회와 강제이주

13강 중국 관내 지역의 독립운동 _손염홍
01 1910년대 독립운동의 방략 모색과 기반 조성
02 1920년대 독립운동의 전개와 분화
03 1930년대 이후 정당 활동과 항일민족협동전선운동
04 1940년대 임시정부로의 재집결과 화베이 지역 공산주의자들의 활동

14강 대한민국임시정부 _김광재
01 상하이 시기(1919~1932년): 임시정부 수립 이후의 활동과 변천
02 이동 시기(1932~1940년): 정당설립운동과 군사 활동 준비
03 충칭 시기(1940~1945년): 대일 참전 추진과 한국광복군
04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의와 평가

15강 미주 지역의 독립운동 _김도훈
01 미주의 한인 사회와 독립운동 단체 결성
02 대한인국민회의 임시정부 표방과 군인양성운동
03 대한민국임시정부 후원과 외교 활동
04 국민회 부흥과 진보 단체의 출현
05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주미외교위원부의 활동

16강 일본·동남아 지역의 독립운동 _김도형
01 일본 지역 독립운동
02 동남아 지역 독립운동

17강 보론: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 광복과 독립운동의 경제적 의의 _허수열
01 1918년 이전의 조선총독부 농업통계의 문제점
02 김제 만경평야 농업 논쟁
03 일제강점기 조선의 1인당 GDP와 조선인들의 생활 상태
04 식민지적 경제구조
05 광복 후 한국 경제의 발전
06 식민지근대화론의 역사적 비판
 

출판사 리뷰

민족의 자유와 인류평화를 향한 역사의 혁신!
한국 독립운동의 발자취를 걷는다


1998년에 발행한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는 대학 교재로, 교원 임용시험 준비생들에게는 수험용 책으로, 일반인에게는 교양 도서로 애용되었다. 2007년 이 책의 개정판이 나오기도 했으나, 1998년 이후의 성과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채 이전 책의 오류만 수정하여 출간해야 했다. 이에 새로운 판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었고, 한국근현대사학회에서는 이에 호응해 논의를 거듭한 끝에 신진 학자들로 필진을 구성해 ??새롭게 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 발간 작업에 착수했다.

2018년부터 3년여의 시간을 들여 출간하는 이 책은 신진 학자들의 글(4~16강)에 장석흥, 박맹수, 김기승, 박걸순, 허수열 교수가 ‘총설: 자유와 독립 그리고 평화’, ‘일제강점기 통치의 성격과 특징’, ‘한국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한국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식민지근대화론 비판’이라는 글을 더해 책의 균형을 맞췄다.

대학 교재를 염두에 두고 구성한 책이기에 시기별·주제별·지역별로 나눠 서술한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의 큰 틀은 유지했으나, 새로운 필진이 그간의 성과를 담아 새로운 책을 만들어냈다.

사회에서, 인터넷상에서 첨예하게 대립하는 민심을 보고 읽을 때마다 한말과 해방 공간의 한국이 떠오른다. “역사인식이 올바르지 못하기 때문에 천박한 논의에도 부끄러운 줄 모른다”는 편찬위원장 박걸순 교수의 말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요즘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 앞에 국민이 보여주는 대한민국만의 저력을 보며, 어떻게 그 오랜 시간 빼앗긴 나라를 찾기 위해 헌신할 수 있었는지 어렴풋이 이해가 된다.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의 고비에 뜨겁게 빛나는 ‘민(民)의 힘’에서 올바른 역사인식을 향한 이정표를 발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