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소개
한국·일본·타이완의 일본문화 연구자들이 모여
각자의 시점에서 기존 연구의 의의와 현재적 과제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전망하다
광복 70주년이자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하여 전남대학교 일본문화연구센터에서 주최한 제10회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일본문화를 연구하는 한국·일본· 타이완의 중견연구자 및 신진연구자들이 모여 각자의 시점에서 일본문화 연구의 의의와 현재적 과제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전망하였다.
제1부에서는 이제까지 일본문화 연구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환되었는가를 고찰하고, 한국에서 일본문화 연구를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최근의 연구 성과를 보고하였다.
제2부에서는 일본의 민속문화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을 비롯하여, 지역적으로는 오키나와·교토 홋카이도에 이르고, 분야로는 설화, 민속신앙, 제례에 이르기까지 개별적인 연구 사례를 모았다.
제3부에서는 근현대기 일본문화의 이동과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검토가 이루어져‘국경의 섬 쓰시마’의 탄생, 일제강점기 타이완의 원주민사회, 일본의 근대 의학교육과 번역, 니노미야 손토 쿠의 사상적 변용, 한일 영화 속의 장례식 풍경이라는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졌다.
제4부에서는 최근 일본사회에서 문화콘텐츠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괴이·요괴문화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주로 민속학 혹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괴이·요괴문화의 사회문화적 함의 및 여러 양상을 점검할 수 있다.
각자의 시점에서 기존 연구의 의의와 현재적 과제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전망하다
광복 70주년이자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하여 전남대학교 일본문화연구센터에서 주최한 제10회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일본문화를 연구하는 한국·일본· 타이완의 중견연구자 및 신진연구자들이 모여 각자의 시점에서 일본문화 연구의 의의와 현재적 과제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전망하였다.
제1부에서는 이제까지 일본문화 연구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환되었는가를 고찰하고, 한국에서 일본문화 연구를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최근의 연구 성과를 보고하였다.
제2부에서는 일본의 민속문화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을 비롯하여, 지역적으로는 오키나와·교토 홋카이도에 이르고, 분야로는 설화, 민속신앙, 제례에 이르기까지 개별적인 연구 사례를 모았다.
제3부에서는 근현대기 일본문화의 이동과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검토가 이루어져‘국경의 섬 쓰시마’의 탄생, 일제강점기 타이완의 원주민사회, 일본의 근대 의학교육과 번역, 니노미야 손토 쿠의 사상적 변용, 한일 영화 속의 장례식 풍경이라는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졌다.
제4부에서는 최근 일본사회에서 문화콘텐츠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괴이·요괴문화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주로 민속학 혹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괴이·요괴문화의 사회문화적 함의 및 여러 양상을 점검할 수 있다.
목차
서문
참고문헌
1부 일본연구의 현황과 전망
전환기에 들어선 일본연구∥고마쓰 가즈히코
1. 머리말
2. 해외에서의 일본연구사의 시작
3. ‘종합 학문’인 일본학에서 ‘지역연구’로서의 일본연구로
4. 해외의 일본연구 변화와 ‘대중문화 왕국’으로서의 일본 발견
5. 지속적인 일본연구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일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김용의
-국내 대학교의 ‘일본학연구소’를 대상으로-
1. 한일병합 100주년과 한국의 일본학 연구
2. 국내 대학교 ‘일본학연구소’의 현황
3. 국내 대학교 ‘일본학연구소’의 과제와 전망
사이카쿠의 내러티브에 보이는 전쟁영웅상의 창출과 변용의 사상적 배경연구∥정형
1. 머리말
2. 일본의 전쟁영웅, 자타인식과 국학사상
3. 사이카쿠 소설에 등장하는 전쟁영웅과 신화
4. 맺음말
일본을 통하여 들어온 서양의 세시∥노성환
-발렌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1. 머리말
2. 발렌타인데이의 유래와 역사
3. 일본에 들어오면 변한다
4. 발렌타인데이가 화이트데이를 낳다
5. 바다를 건너는 일본의 발렌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6. 맺음말
2부 일본 민속문화 연구의 과제와 성과
민속 문화 연구∥가와무라 기요시
-역사의식과 생활실천, 협동작업으로서의 필드워크-
1. 머리말
2. 민속개념의 한계
3. 역사의식으로서의 민속 문화
4. 조사자의 위치
5. 문화의 전체성
6. 민속 문화 연구를 위한 시좌
7. 맺음말
일본 설화 속에 묘사된 인간과 용의 공생∥송영숙
1. 머리말
2. 용신신앙과 고진가구라
3. 일본 설화에 나타나는 인간과 용의 공생 양상
4. 맺음말
오키나와 ‘아가리우마이’의 현재적 성격∥김희영
1. 오키나와의 ‘가미우간’
2. 가미우간 ‘아가리우마이’
3. ‘아가리우마이’의 의례적 복합성
4. 동방숭배에서 비롯된 ‘아가리우마이’
5. ‘아가리우마이’의 현재성
교토의 제례와 관련된 문제들∥무라야마 고타로
1. 머리말
2. 겐보코
3. 교토의 제례와 관련한 현대적 문제
4. 맺음말
아이누 여우 설화의 유형과 특징∥최가진
1. 일본의 여우 설화 연구
2. 자연적 속성의 아이누 여우 설화 유형 및 양상
3. 초자연적 속성의 아이누 여우 설화 유형 및 양상
4. 아이누 여우 설화의 특징
3부 일본 근대문화의 월경과 수용
‘국경의 섬·쓰시마’라는 언설에 대해∥무라카미 가즈히로
-근현대 쓰시마에서의 국경관-
1. 머리말
2. 쓰시마의 개요
3. 근현대 쓰시마에서의 ‘국경’ 양상
4. 맺음말:쓰시마에서의 ‘국경’과 ‘교류’
권력의 성쇠와 징잉菁英 정책∥쑹시우환
-일제강점기의 원주민사회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2. 연구방법과 대만 원주민 징잉 연구사 개요
3. 귀족사회 리더계급의 발생과 권력구조의 변화
4. 맺음말
근대 의학 교육과 번역∥김성은·가나즈 히데미
-이마다 쓰카누의 『實用解剖學』 번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19세기 후반 일본의 의학 교육과 해부학서 번역
3. 실제 해부 지식의 집적-이마다 쓰카누의 『실용해부학』(1887)의 등장
4. 선교의료와 제국의료의 루트-조선의 두 권의 해부학 번역서
5. 한자문화권에서 근대 의학 지식의 번역방법
6. 맺음말
일본 근현대의 니노미야 손토쿠 사상의 변용과 모범인물화 양상∥김우봉
-메이지 시대부터 패전 후 GHQ 점령기까지-
1. 머리말
2. 보덕사상의 형성
3. 보덕사상의 요체-보덕사강령
4. 일본 근대의 니노미야 손토쿠 사상의 변용과 모범인물화
5. 쇼와 시대 보덕사상의 변용
6. 패전 후 GHQ의 니노미야 손토쿠 사상의 수용과 변용
7. 맺음말
한일 장례식 관련 영화에 나타난 슬픔의 재현 양상∥조아라
1. 머리말
2. [학생부군신위]와 [오소시키]에 재현된 사별의 슬픔
3. 격렬한 슬픔과 침착한 슬픔
4. 맺음말
4부 한국과 일본의 요괴문화
출산과 괴이∥야스이 마나미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요괴 ‘우부메’에서 ‘미즈코’ 공양으로-
1. 머리말-연구의 출발점
2.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요괴 ‘우부메’
3.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중국의 요괴
4. 여성의 모습으로 그려진 일본의 우부메
5. 한국에도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요괴가 존재하는가
6. ‘미즈코’ 공양이라는 일본의 새로운 민속
7. 한국의 미즈코 공양
8. 맺음말-한일비교연구를 지향하며
괴이 전승에서의 옷∥마쓰무라 가오루코
-‘소매’의 의미와 관련하여-
1. 머리말
2. 민간전승에서의 옷 괴이담
3. 일본에서의 ‘소매’ 관련 선행연구
4. 괴이 전승에서 ‘소매’의 의미
5. 맺음말
한국의 그림책으로 보는 도깨비의 비주얼 이미지∥고마쓰 아사미
-묘사와 번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도깨비의 이미지와 일본의 오니
3. 그림책으로 보는 도깨비의 시각적 이미지
4. 맺음말
괴이·요괴 화상 데이터베이스의 개요와 현황∥도쿠나가 세이코
1. 머리말
2. 괴이·요괴 화상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3. 화상 데이터베이스의 성과와 과제
참고문헌
1부 일본연구의 현황과 전망
전환기에 들어선 일본연구∥고마쓰 가즈히코
1. 머리말
2. 해외에서의 일본연구사의 시작
3. ‘종합 학문’인 일본학에서 ‘지역연구’로서의 일본연구로
4. 해외의 일본연구 변화와 ‘대중문화 왕국’으로서의 일본 발견
5. 지속적인 일본연구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일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김용의
-국내 대학교의 ‘일본학연구소’를 대상으로-
1. 한일병합 100주년과 한국의 일본학 연구
2. 국내 대학교 ‘일본학연구소’의 현황
3. 국내 대학교 ‘일본학연구소’의 과제와 전망
사이카쿠의 내러티브에 보이는 전쟁영웅상의 창출과 변용의 사상적 배경연구∥정형
1. 머리말
2. 일본의 전쟁영웅, 자타인식과 국학사상
3. 사이카쿠 소설에 등장하는 전쟁영웅과 신화
4. 맺음말
일본을 통하여 들어온 서양의 세시∥노성환
-발렌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1. 머리말
2. 발렌타인데이의 유래와 역사
3. 일본에 들어오면 변한다
4. 발렌타인데이가 화이트데이를 낳다
5. 바다를 건너는 일본의 발렌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6. 맺음말
2부 일본 민속문화 연구의 과제와 성과
민속 문화 연구∥가와무라 기요시
-역사의식과 생활실천, 협동작업으로서의 필드워크-
1. 머리말
2. 민속개념의 한계
3. 역사의식으로서의 민속 문화
4. 조사자의 위치
5. 문화의 전체성
6. 민속 문화 연구를 위한 시좌
7. 맺음말
일본 설화 속에 묘사된 인간과 용의 공생∥송영숙
1. 머리말
2. 용신신앙과 고진가구라
3. 일본 설화에 나타나는 인간과 용의 공생 양상
4. 맺음말
오키나와 ‘아가리우마이’의 현재적 성격∥김희영
1. 오키나와의 ‘가미우간’
2. 가미우간 ‘아가리우마이’
3. ‘아가리우마이’의 의례적 복합성
4. 동방숭배에서 비롯된 ‘아가리우마이’
5. ‘아가리우마이’의 현재성
교토의 제례와 관련된 문제들∥무라야마 고타로
1. 머리말
2. 겐보코
3. 교토의 제례와 관련한 현대적 문제
4. 맺음말
아이누 여우 설화의 유형과 특징∥최가진
1. 일본의 여우 설화 연구
2. 자연적 속성의 아이누 여우 설화 유형 및 양상
3. 초자연적 속성의 아이누 여우 설화 유형 및 양상
4. 아이누 여우 설화의 특징
3부 일본 근대문화의 월경과 수용
‘국경의 섬·쓰시마’라는 언설에 대해∥무라카미 가즈히로
-근현대 쓰시마에서의 국경관-
1. 머리말
2. 쓰시마의 개요
3. 근현대 쓰시마에서의 ‘국경’ 양상
4. 맺음말:쓰시마에서의 ‘국경’과 ‘교류’
권력의 성쇠와 징잉菁英 정책∥쑹시우환
-일제강점기의 원주민사회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2. 연구방법과 대만 원주민 징잉 연구사 개요
3. 귀족사회 리더계급의 발생과 권력구조의 변화
4. 맺음말
근대 의학 교육과 번역∥김성은·가나즈 히데미
-이마다 쓰카누의 『實用解剖學』 번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19세기 후반 일본의 의학 교육과 해부학서 번역
3. 실제 해부 지식의 집적-이마다 쓰카누의 『실용해부학』(1887)의 등장
4. 선교의료와 제국의료의 루트-조선의 두 권의 해부학 번역서
5. 한자문화권에서 근대 의학 지식의 번역방법
6. 맺음말
일본 근현대의 니노미야 손토쿠 사상의 변용과 모범인물화 양상∥김우봉
-메이지 시대부터 패전 후 GHQ 점령기까지-
1. 머리말
2. 보덕사상의 형성
3. 보덕사상의 요체-보덕사강령
4. 일본 근대의 니노미야 손토쿠 사상의 변용과 모범인물화
5. 쇼와 시대 보덕사상의 변용
6. 패전 후 GHQ의 니노미야 손토쿠 사상의 수용과 변용
7. 맺음말
한일 장례식 관련 영화에 나타난 슬픔의 재현 양상∥조아라
1. 머리말
2. [학생부군신위]와 [오소시키]에 재현된 사별의 슬픔
3. 격렬한 슬픔과 침착한 슬픔
4. 맺음말
4부 한국과 일본의 요괴문화
출산과 괴이∥야스이 마나미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요괴 ‘우부메’에서 ‘미즈코’ 공양으로-
1. 머리말-연구의 출발점
2.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요괴 ‘우부메’
3.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중국의 요괴
4. 여성의 모습으로 그려진 일본의 우부메
5. 한국에도 출산 중 사망으로 생긴 요괴가 존재하는가
6. ‘미즈코’ 공양이라는 일본의 새로운 민속
7. 한국의 미즈코 공양
8. 맺음말-한일비교연구를 지향하며
괴이 전승에서의 옷∥마쓰무라 가오루코
-‘소매’의 의미와 관련하여-
1. 머리말
2. 민간전승에서의 옷 괴이담
3. 일본에서의 ‘소매’ 관련 선행연구
4. 괴이 전승에서 ‘소매’의 의미
5. 맺음말
한국의 그림책으로 보는 도깨비의 비주얼 이미지∥고마쓰 아사미
-묘사와 번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도깨비의 이미지와 일본의 오니
3. 그림책으로 보는 도깨비의 시각적 이미지
4. 맺음말
괴이·요괴 화상 데이터베이스의 개요와 현황∥도쿠나가 세이코
1. 머리말
2. 괴이·요괴 화상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3. 화상 데이터베이스의 성과와 과제
'39.일본학 연구 (학부전공>책소개) > 2.일본문화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 (2020) - 가려진 피해자들의 역사를 말하다 (0) | 2023.04.22 |
---|---|
일본 문화의 현장과 현재 (2018) (0) | 2023.04.02 |
일본 마쓰리의 현장과 현재 (2022) (0) | 2023.04.02 |
일본 사찰의 음식 수행 (2023) (0) | 2023.04.02 |
난감한 이웃 일본을 이해하는 여섯 가지 시선 (2018)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