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카톨릭-천주교 (독서>책소개)/2.천주신학교리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 (2022)

동방박사님 2023. 9. 3. 15:20
728x90

책소개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는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와 흐름을 어느 한 시대도 놓치지 않고 빠짐없이 한 권에 정리한 책이다. 전체 신학사의 흐름을 살펴보며 기존에 신학사들이 놓쳤던 부분들을 빠짐없이 채웠으며, 교부 시대의 신학부터 현대 신학까지 모든 내용을 실었다. 그러면서도 핵심만 추려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였기에 신학사를 한 권으로 간략하게 볼 수 있다.

목차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를 출간하며 22

제1부 교부 시대의 신학

도입 31
제1장 박해 시대의 신학 48
1. 사도 교부들의 신학 48
1) 일반적 특징 48
2) 로마의 클레멘스 50
3)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51
4) 폴리카르포스 53
5) 헤르마스 54
6) 『디다케』, 열두 사도의 가르침 56
2. 호교 교부들의 신학 57
1) 역사, 문화적 맥락 57
2) 호교 신학의 특징 58
3) 신학적 입장 59
4) 유스티누스 60
5)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 62
3. 영지주의 이단들과 정경의 확정 63
1) 영지주의적 이단들 64
2) 정경의 규정 67
3) 신경의 정식화 68
4. 리옹의 이레네우스 69
1) 생애와 작품 70
2) 영지주의 비판 70
3) 전승의 기준과 성경의 사용 71
4) 하느님의 유일성과 인간 71
5) 그리스도론 73
5. 히폴리투스 74
6. 3세기의 그리스도론과 삼위일체론 논쟁 75
7. 라틴 신학의 시조가 되는 교부들 77
1) 라틴 신학의 아버지, 테르툴리아누스 78
2) 키프리아누스 84
8. 알렉산드리아 학파 89
1)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기원 89
2) 그리스도교 철학의 창시자, 클레멘스 91
3) 오리게네스 96
4) 오리게네스 이후 102
5) 오리게네스의 제자들 103
제2장 제국 교회 시대의 신학 (4-5세기) 106
1. 제국 교회 시대 신학의 일반적 특징 106
1) 콘스탄티누스의 전환 106
2) 종교적, 문화적 배경 109
3) 이단들의 도전 110
4) 신학의 원천과 도구들 111
2. 4-5세기의 이단들 115
1) 아리우스주의 116
2) 아폴리나리우스주의 119
3) 네스토리우스주의 119
4) 단성론 121
3. 네오알렉산드리아 학파 교부들 122
1) 아타나시우스 122
2)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 124
3) 소경 디디무스 126
4)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127
4. 카파도키아의 교부들 129
1) 대(大) 바실리우스 130
2)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133
3)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우스 135
5. 안티오키아 학파 교부들 138
1) 안티오키아 학파의 기원과 특징 138
2) 안티오키아의 에우스타티우스 139
3)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 139
4)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140
6. 예루살렘의 키릴루스와 시리아의 교부들 143
1)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144
2) 에프렘 145
7. 라틴 교부 신학의 황금기 147
1) 4-5세기의 이단과 라틴 신학의 부흥 147
2) 밀레비의 옵타투스 147
3)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149
4)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151
5) 아퀼레이아의 루피누스 154
6) 히에로니무스 155
7) 대(大) 레오 157
8)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161
8. 처음 네 보편 공의회의 신학 174
1) 니케아 공의회 175
2)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176
3) 에페소 공의회 177
4) 칼케돈 공의회 181
5) 정통 교리의 기준이자 신학의 원천인 공의회들 183
제3장 제국 교회 시대의 신학 (6-7세기) 185
1. 비잔틴 신학 187
1) 비잔틴 신학의 특징들 187
2) 위 디오니시우스 188
3) 신칼케돈 신학자들 191
4) 고백자 막시무스 194
5) 다마스쿠스의 요한 196
2. 로마 제국 멸망 후의 라틴 교부 신학 199
1) 아우구스티누스의 유산 199
2) 레랭의 빈첸시우스 200
3) 루스페의 풀겐티우스 202
4) 세베리누스의 보에티우스 203
5) 플라비우스 마뉴스 카시오도루스 205
6) 대(大) 그레고리우스 207
7) 세비야의 이시도루스 209
3. 수도승 신학 210
1) 수도승의 이상 210
2) 서방과 동방에서의 수도승 신학 211
3) 존자 베다 212
4) 요한 클리마쿠스 214

제2부 스콜라학 시대의 신학

도입 219
제1장 초기 스콜라학 223
1. 카롤루스 대제 시대의 신학 223
1) 카롤루스 대제의 문화적, 종교적 목표 223
2) 카롤루스 시대의 신학의 부흥 225
3) 신학적 방법 225
4) 9세기의 교리 논쟁들 226
5) 알쿠이누스 230
6) 요한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231
2. 10세기의 신학 233
1) 카롤루스 제국의 해체와 봉건 제도의 탄생 233
2) 신학 작업 234
3. 11세기의 수도원 개혁과 신학의 각성 235
1) 시대적 상황과 수도원 개혁 운동 235
2) 페트루스 다미아누스 236
3) 그레고리오 7세 237
4) 베렌가리우스 드 투르 242
5)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243
4. 비잔틴 스콜라학 247
1) 서방 교회와의 신학적 논쟁 248
2) 포시우스 249
3) 신학자 시메온 250
4) 그레고리우스 팔라마스 251
5. 12세기 신학의 개화 253
1) 12세기 신학의 위대함 253
2) 12세기 신학적 각성의 배경 253
3) 신학의 위대한 중심지들 255
4) 신학 작업의 도구들 256
5) 문학 유형 257
6) 전통주의자와 진보주의자 간의 충돌 259
7) 12세기 신학의 구분 261
6. 전통의 신학과 그 학파들 262
1) 베르나르두스와 시토회 학파 262
2) 기욤 드 생티에리와 성 빅토르 학파 264
3) 이사악 드 에투알 266
4) 아일레드 드 리보 267
7. 성 빅토르 학파 269
1) 기욤 드 샹포 270
2) 성 빅토르의 후고 271
3) 성 빅토르의 리카르두스 273
8. 쇄신의 신학: 샤르트르 학파 275
1) 베르나르두스 드 샤르트르 276
2) 기욤 드 콩쉐 276
3) 요한 살리스베리 278
4) 질베르투스 포레타누스 280
9. 신학 쇄신의 주역들 282
1) 아벨라르두스 283
2) 페트루스 롬바르두스 285
3) 피오레의 요아킴 287
제2장 전성기 스콜라학 290
1. 스콜라학 전성기의 정치적·종교적·문화적 배경 291
1) 정치적 배경 291
2) 종교적 배경 292
3) 문화적 배경 294
2. 신학적 학문의 구성과 신학적 인식론 302
1)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지혜, 기술 개념 304
2) 신학의 원인들에 대한 분석 305
3) 신학을 아리스토텔레스적 학문 개념에 편입시키는 데 따르는 어려움 307
4) 신학적 학문의 다름 307
5) 신학에서 학문의 외부적 사용 308
6) 신학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환 308
7) 신학에서 학문의 내밀한 사용 310
3. 보나벤투라와 프란치스코 학파 313
1) 스콜라학의 정점 313
2) 파리와 옥스퍼드의 프란치스코 학파 313
3) 로베르투스 그로세테스테 314
4) 로저 베이컨 315
5) 보나벤투라 다 바뇨레지오 316
4. 알베르투스 마뉴스 326
1) 생애와 작품 326
2) 인품 328
3) 학문적 구상 329
4) 하느님의 실존과 본질 332
5) 교회론과 마리아론 333
6) 영성 신학 334
7) 알베르투스 학파 335
5. 토마스 아퀴나스 335
1) 생애와 작품 337
2) 인식 이론 342
3) 존재 형이상학 344
4) 성경 주해 348
5) 삼위일체 하느님 351
6) 철학적 및 신학적 인간학 354
7) 그리스도론 357
8) 토마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 358
6. 아베로이즘과의 논쟁 및 1277년의 단죄 360
1) 시제 브라방 361
2) 1277년의 단죄 363
3) 1277년 이후의 신학 운동 364
7. 1277년 이후의 신학 운동 365
1) 요한 둔스 스코투스 365
2) 피에르 장 올리비 376
3) 라이문두스 룰루스 378
제3장 후기 스콜라학 382
1. 14세기: 중세 문명의 위기와 새로운 신학 382
1) 스콜라학이 쇠퇴한 원인들 383
2) 두란두스 드 생-푸르생 384
3) 피에르 아우레올로 386
2. 윌리엄 오캄과 새로운 길 388
1) 생애와 작품 389
2) 오캄의 면도날 390
3) 논리학과 형이상학 391
4) 자유와 도덕성 392
5) 하느님의 실존과 본성 393
6) 절대적 권능과 질서 지워진 권능 394
7) 교회론 395
8) 정치 신학 397
9) 오캄의 영향 397
3. 새로운 길의 확산: 오캄의 추종자들 398
1) 니콜라스 드 오트르쿠르 399
2) 피에르 대이이 400
3) 존 위클리프 402
4. 신비 신학: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그 제자들 404
1)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405
2) 요한네스 타울러 410
3) 요한네스 뤼스브뢰크 411
4) 장 드 제르송 414

제3부 근대 신학

도입 419
제1장 인문주의 시대: 15세기 신학 422
1. 인문주의와 신학 422
1) 역사적, 문화적 맥락 422
2) 인문주의와 르네상스 개념 424
3) 인문주의에 대한 해석들 424
4) 인문주의의 특징들 425
5) 인문주의 신학 427
2. 플라톤적 노선의 신학자들 429
1) 니콜라우스 쿠사누스 429
2) 마르실리오 피치노 434
3) 피코 델라 미란돌라 437
3. 15세기의 신학 학파들과 주요 대변자들 439
1) 오캄 학파 440
2) 토마스 학파 444
3) 스코투스 학파 446
4) 알베르투스 마뉴스 학파 446
5) 아우구스티누스의 부흥 447
4. 인문주의 신학의 마지막 대변자들 448
1) 존 콜렛 449
2)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450
3) 토마스 모어 452
5. 근대 신심과 신학 453
1) 근대 신심의 시조인 게르트 그로테 454
2) 근대 신심의 표현인 『준주성범』 455
3) 근대 신심과 신학 456
제2장 종교 개혁과 반동 종교 개혁 시대: 16세기 신학 458
1. 종교 개혁의 여명에 선 교회와 신학 458
1) 종교 개혁의 원인들 459
2) 루터 이전의 독일의 정치적-종교적 상황들 461
3) 종교 개혁과 반동 종교 개혁이 지속된 기간 463
2. 마르틴 루터 464
1) 생애 464
2) 사상 466
3. 그 밖의 종교 개혁자들 472
1) 멜란히톤 472
2) 츠빙글리 476
3) 장 칼뱅 478
4. 종교 개혁자들에 대한 가톨릭의 응답 482
1) 신학자들의 응답 483
2) 교도권의 응답: 트리엔트 공의회 488
5. 트리엔트 시대의 가톨릭 신학: 스콜라 신학의 쇄신 495
1) 신학적 부흥의 중심지: 살라망카와 로마 495
2) 토미즘의 승리 496
3) 트리엔트 신학의 주요 특징들 497
4) 실증 신학과 영성 신학의 발전 498
6. 살라망카 학파 500
1) 살라망카 대학의 기원과 중요성 500
2) 프란치스코 데 빅토리아: 살라망카 학파의 창시자 501
3) 도밍고 데 소토 503
4) 후안 데 산 토마스 505
7. 예수회원들의 신학 506
1) 바로크적 스콜라 신학 506
2) 바로크적 스콜라 신학의 아버지인 프란치스코 수아레스 507
3)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512
4) 페트루스 카니시우스 515
8. 은총 신학 517
1) 미셸 바이우스 518
2) 도밍고 바녜스 520
3) 루이스 데 몰리나 522
4) 은총 논쟁에 대한 교황청의 개입 523
9. 스페인의 신비 신학 524
1) 스페인 신비 신학의 중요성과 특징들 524
2) 스페인 신비 신학의 대표적 인물들: 이냐시오, 예수의 데레사, 십자가의 요한 525
10. 프랑스 영성 532
1) 기원과 중요성 그리고 특징들 532
2) 프랑수아 드 살 533
3) 피에르 드 베륄 535
11. 바로크 시대의 개신교 스콜라 신학과 신비 신학 537
1) 개신교 스콜라 신학 538
2) 개신교 신비주의 539
12. 16-17세기의 선교 신학 542
1) 아메리카에서의 선교 신학 543
2) 아시아에서의 선교 신학 549
제3장 합리주의와 세속화 시대 554
1. 신학의 고립과 위기 554
1)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환경 554
2) 근대성 556
3) 신학의 위기 556
4) 연구의 중심지들: 대학, 학술원, 신학교 558
5) 신학적 암흑기의 신학자들과 운동들 558
2. 얀세니우스와 얀세니우스주의 559
1) 얀세니우스의 생애와 작품들 559
2) 얀세니우스의 사상 560
3)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단죄 561
4) 끊이지 않는 얀세니우스 논쟁 562
3. 위대한 호교론자들 565
1) 블레즈 파스칼 566
2) 니콜라 말브랑슈 569
4. 정적주의 573
1) 미겔 데 몰리노스 573
2) 마담 귀용 574
3) 프랑수아 드 페넬롱 576
4) 자크 베니뉴 보쉬에 577
5. 제3기 스콜라 신학의 사변 신학과 역사 신학 581
1) 사변 신학 581
2) 역사 신학 583
6. 윤리 신학의 발전 586
1) 알폰소 데 리구오리 이전의 윤리 신학 586
2) 알폰소 데 리구오리 589
3) 베네딕토 14세 592
7. 개신교 신학의 경건주의와 계몽주의 594
1) 경건주의 595
2) 신학적 계몽주의 599
3) 영국의 계몽주의 601
4) 프랑스 계몽주의 605
5) 독일의 계몽주의 609
8. 철학자들의 자연 신학 614
1) 신학의 세속화 615
2) 17-18세기의 위대한 철학자들과 주요 철학적 경향들 617
9. 칸트와 신학 626
1) 「감각적 세계와 지성적 세계의 형태와 원리들에 관하여」 628
2) 『윤리학 강요』 628
3) 『순수 이성 비판』 629
4) 『실천 이성 비판』 630

제4부 현대 신학

도입 635
제1장 프랑스 혁명으로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637
1. 낭만주의 시대의 신학 638
1) 낭만주의 639
2) 요한 헤르더 639
3) 슐라이어마허 641
2. 개신교 자유주의 신학 644
1) 주요 갈래 645
2) 슈트라우스 646
3) 폰 하르낙 649
4) 캘러 651
3. 유럽 가톨릭 신학: 프랑스 혁명부터 제1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652
1) 힘겨운 재각성 652
2) 호교론자들: 샤토브리앙, 드 매스트르 652
3) 전통주의와 맹신주의: 라므네, 보탱 655
4) 독일 합리주의자들: 헤르메스, 프로샴머 658
5) 튀빙겐 가톨릭 학파: 드라이, 묄러 661
6) 영국 가톨릭 신학의 부흥: 뉴먼 664
4. 19세기 이탈리아 신학의 쇄신 노력 667
1) 로스미니 667
2) 로마 학파와 신스콜라학의 발단 670
3) 토마스 부흥 운동의 단초 672
5. 제1차 바티칸 공의회부터 비오 10세까지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 673
1) 비오 9세 673
2)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 677
3) 레오 13세와 「영원하신 아버지」 678
4) 비오 10세와 근대주의의 위기 681
6.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제1차 세계 대전 사이의 가톨릭 신학 682
1) 교회 학문들의 발전 683
2) 신스콜라 학자들: 쉐벤과 비요 685
3) 근대주의자들: 루아지, 르 루아 687
4) 근대주의에 대한 가톨릭 신학의 반응 690
제2장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까지 692
1. 근대성의 위기와 신학자들의 대답 692
1) 문화적 지평: 근대 문화의 시대적 위기 693
2) 철학적 지평: 현상학, 실존주의, 언어 분석학 694
3) 종교적 지평: 세속화, 무신론, 대화 702
4) 1915-1965년: 신학적 흐름의 구체화와 계층화 705
2. 1915-1965년의 개신교 신학 706
1) 칼 바르트: 신정통주의 707
2) 헬무트 틸리케 710
3) 루돌프 불트만: 신약 성경의 비신화화 711
4) 본회퍼: 세속화 신학 715
5) 해석학적 신학: 푹스와 에벨링 718
6) 폴 틸리히: 신학의 존재론화 722
7) 오스카 쿨만: 구원 역사 신학 724
8) 아메리카적인 사회-정치 신학 728
3. 1915-1965년의 가톨릭 신학 731
1) 아우구스티누스적 경향: 로마노 과르디니, 드 뤼박 732
2) 토마스의 흔적 안에서의 신학: 가리구-라그랑주, 셰뉘, 콩가르 738
3) 샤를 주르네 747
4) 에리히 프르치바라 749
5) 초월적 토미즘: 카를 라너, 버나드 로너간 751
6) 문학가, 예술가, 과학자를 위한 신학: 샤르댕, 발타사르 756
7) 장 다니엘루: 역사 신학, 문화 신학, 종교 신학 764
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신학 769
1) 요한 23세와 공의회 소집 769
2) 바오로 6세, 공의회의 인도자 771
3) 공의회의 가르침 772
4)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신학자들의 역할 775
제3장 제2천 년기 말의 신학: 쇄신과 토착화 777
1. 비오 11세부터 요한 바오로 2세까지 교황 교도권의 가르침 777
1) 비오 11세 777
2) 비오 12세 779
3) 요한 23세 782
4) 바오로 6세 784
5) 요한 바오로 2세 786
2. 급진주의 신학 또는 사신 신학 790
1) 20세기 말의 신학 790
2) 급진주의 신학 793
3. 희망의 신학 803
1) 에른스트 블로흐 804
2) 위르겐 몰트만 805
4. 정치 신학 809
1) 신학의 정치적 관심의 기원 810
2) 요하네스 밥티스트 메츠: 정치 신학의 창시자 811
5. 해방 신학 815
1) 해방 신학의 기원 815
2) 해방 신학의 세 단계 816
3) 해방 신학의 주된 방향 817
4) 해방 신학의 근본 논지 817
5) 해방 신학의 특징 818
6) 해방 신학의 주역들 819
7) 해방 신학에 대한 교회 교도권의 개입 824
6. 가톨릭의 신학적 쇄신 825
1) 요제프 라칭거: 교도권의 신학 825
2) 한스 큉: 보편적인 교회 일치 신학 829
3) 에두아르트 스힐레벡스: 그리스도교적 실천의 신학 832
7. 신학의 새로운 토착화 835
1) 흑인 신학 836
2) 여성 신학 838
3) 아프리카 신학 839
4) 아시아 신학 842
 

저자 소개 

저 : 윤주현
 
가르멜 수도회 소속 수도 사제. 1987년에 입회하여 1995년 가톨릭대학교 신학 대학을 졸업한 후 1998년에 사제품을 받았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로마 그레고리아눔에서 영성 신학을, 테레시아눔에서 신학적 인간학을 전공하고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2006년 아빌라 신비 신학 대학원에서 가르멜 영성 마스터 과정을 수료하고 2011년까지 동同대학원의 교수로 활동했다. 또한 2017년부터 2019...

책 속으로

교부들의 신학은 위대하고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교회 역사상 최초의 신학이며 교회의 전승과 정통 이론의 발전에 결정적으로 기여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이 남긴 방대한 작품은 그리스도교 진리에 대한 심오한 성찰을 담고 있는 교회의 중요한 영적 유산이다. 그 작품에 배어 있는 문체와 전개 방식 그리고 언어 표현의 다양성은 탁월하며 후대의 신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교부들이 남긴 신학적 유산은 근본적인 기초로, 이후의 모든 신학이 참고해야 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그리로 되돌아가야 하는 기준이다. 그것은 어떤 개별 교회에 독점되지 않은 모든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속한 최고로 중요한 유산이다. 교부들은 후대의 신학자들에게 탁월한 신앙의 스승이자 모범이다. 그들이 남긴 영적, 학문적 유산은 모든 시대의 신앙인들을 위해 성경 다음으로 진정한 그리스도인으로 살고 완성하도록 인도하는 근본적인 규범의 역할을 해 왔다. 그러므로 교회의 지속적인 쇄신과 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교부들의 가르침과 작품을 깊이 있게 알고 연구해야 한다.
---「제1부 교부 시대의 신학: 도입」중에서

“믿기 위해 이해하라”는 말을 통해 신앙의 합리성을 보증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제 “이해하기 위해 믿어라”는 말을 통해 신앙을 이해하고 심화하는 과정을 착수했다. 이는 다름 아닌 신학을 말한다. 신학은 먼저 그 대상이 하느님께서 선조들과 예언자들의 입을 통해서,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입을 통해서 계시하신 신비스러운 진리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신학은 여타 인문 과학이나 자연학들과 구분된다. 신학이 내세우는 진리의 기준은 그것을 증언하는 자의 권위다. 그에 따르면, 권위는 신앙에 어떤 합리적인 과정도 부여하지 못하는 절대적 확실성을 부여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충만한 신뢰를 보냈다. 성경은 신적 권위에 힘입어 틀림없고, 참되며, 지고하고, 확실하다. 전승과 교회 역시 무류적인 권위를 향유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사도적 전승을 충만하게 믿었으며, 사도적 전승의 고대성과 보편성을 주장했다. 그는 교회 안에서 ‘권위의 정점’을 발견하고 경의를 표했다.
---「제1부 교부 시대의 신학: 제2장 제국 교회 시대의 신학(4-5세기)」중에서

13세기로 들어와 마침내 신학은 ‘학문’으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12세기가 자율적 학문으로서의 신학이 배태된 세기였다면, 13세기는 그 실제 탄생과 충만한 성장의 세기이다. 신학에 한정해서 본다면, 이러한 현상은 분명 모든 시대를 통틀어 최대의 성취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이고 개념적인 노작 기술에 불과한 3학의 소박한 학예인 변증법으로부터 이성적 정식들을 넘어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인식을 담지하는 영의 철학으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고전 세계의 부흥은 13세기의 인본주의와 자연주의를 포함한다. “지성을 추구하는 신앙”으로 대변되는 안셀무스적인 신학이 이렇게 확장된 것은 토마스의 업적이다. 12세기에 아벨라르두스는 ‘거룩한 가르침’에 ‘신학’(theologia)이라는 이름을 주었으며, 알랭 드 릴은 신학적 학문 안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명확하게 고정하려 시도했다.
---「제2부 스콜라학 시대의 신학: 제2장 전성기 스콜라학」중에서

근대 신학을 특징짓는 것은 교부 신학과 스콜라 신학을 구별하는 표징들을 구체화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 근대 당시 유럽에서 일어난 종교적, 정치적, 문화적, 영성적 단절은 신학적인 연구에서도 깊은 반향을 일으켰다. 근대 신학은 더 이상 교부 신학과 스콜라 신학처럼 단일체 또는 총체적인 하나의 기관처럼 드러나지 않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이성적 체계로부터 해체시키는 과정에서 형성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교회에 타격을 가한 극적인 사건들(서방 대이교, 개신교 종교 개혁)과 이로 인해 야기된 신앙의 세계와 문화의 세계 사이에 심각한 단절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 더욱이, 근대 신학의 발전 그리고 그 특징과 관련해서 거대한 종교적, 문화적 사건들은 다양한 정치적 사건들, 그리고 사회적 변화를 바탕으로 깊이 숙고되었다.
---「제3부 근대 신학: 도입」중에서

현대는 19-20세기를 가리키며, 정확히는 1789-1989년까지의 시기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프랑스 혁명에서 소련의 해체 사이의 시기를 의미한다. 이 틀 안에는 현대 세계 속에 깊이 새겨진 중요한 정치적, 문화적, 전쟁적, 과학적, 종교적, 경제적, 기술 공학적 사건들이 농축되어 있다. 이 두 세기가 흐르면서 인간이 처한 환경은 완전히 변했다. 나누어진 세계로부터 공동의 정치 조직(UN)의 지도 아래, 그리고 대중 매체의 보편적 제국 아래 지구 전체는 통합되었다. 종교 영역에서는 한층 더 큰 무게와 반향을 지닌 사건들, 곧 제1차 및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최되었고, 교회 일치 운동과 선교 운동이 이어졌다.

반면, 개별 국가들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국가 간 서열과 지구라는 행성 전체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지배를 위한 대륙과 세계의 패권을 두고 다투는 지속적인 전쟁의 대립으로 인해, 기초부터 흔들리는 세계에서 그리고 국가들과 대륙 전체를 노예화한 괴물 같은 이데올로기들(나치즘, 파시즘, 공산주의)로 인해, 기본적인 도덕적 가치들과 원리들이 흔들리고 사라짐으로써 영적으로 메마른 세계에서 교회와 신학의 행보는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의 교회는 그러한 파도에서 오는 충격을 잘 견뎌 냈고, 마침내 끔찍한 폭풍우로부터 3천 년기의 새벽을 벅찬 희망을 품고 바라볼 수 있을 정도로 성공적으로 빠져나올 수 있었다. 신학자들도 자신들의 작업을 통해 이러한 성공에 기여했다.
---「제4부 현대 신학: 도입」중에서
 

출판사 리뷰

그리스도교 신학의 시작과 현재,
그 진리의 역사를 탐구하다


그동안 많은 이들은 신학을 탐구하며 그리스도론, 교회론, 삼위일체론과 같은 식으로 주제를 나누어 다루곤 했다. 하지만 신학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맥락에서 신학을 바라보는 신학사도 중요하다. 신학의 원천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기 지금까지 걸어온 발자취를 살피며 신학의 중요한 부분들을 점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할 때, 우리가 알고 있는 신학은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이번에 새로 출간된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는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와 흐름을 어느 한 시대도 놓치지 않고 빠짐없이 한 권에 정리하였다. 전체 신학사의 흐름을 살펴보며 기존에 신학사들이 놓쳤던 부분들을 빠짐없이 채웠으며, 교부 시대의 신학부터 현대 신학까지 모든 내용을 실었다. 그러면서도 핵심만 추려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였기에 신학사를 한 권으로 간략하게 볼 수 있다.

이제 여러분을 2천 년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 전체를 샅샅이 살펴볼 수 있는 흥미진진한 여행으로 초대합니다. 주님께서 이 여행을 통해 여러분에게 진리이신 그분과 그분께서 인류를 위해 이룩하신 장대한 구원 역사를 더욱 깊이 알고, 그분을 사랑하고자 하는 원의를 일으켜 주시길 기원합니다.
― 본문 중에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모든 신학적 흐름을 한눈에 살펴보다


신앙의 진리는 어느 한 시대와 장소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대든지 깨어 있는 이들의 부단한 노력을 통해 오늘날까지 새롭게 전해지고 있다. 그래서 각 시대마다 신학이라는 학문이 어떻게 발전했으며, 그 흐름은 어떻게 이어져 왔는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이 책은 각 시대에 따라 학파별, 인물별로 신학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또한 시대를 풍미했던 신학자들의 일생과 사상, 업적까지 다룸으로써 우리가 신학적 분야의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이런 구성 덕분에 신학을 공부하는 이들은 이 책을 통해 그리스도교 사상 전체를 시대별, 학파별, 인물별, 교도권의 결정에 따라 파악할 수 있다. 그러기에 자신이 심화하고자 하는 신학 분야의 배경, 그와 연관된 다양한 요소들을 찾아보며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다. 하지만 꼭 신학을 공부하는 이들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신학이라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해 온 학문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그리스도인으로 부름받은 우리는 이 책을 통해 하느님께서 전해 주신 진리를 탐구하며, 인간의 역사 안에서 함께하신 그분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이제 그 위대한 여정이 여러분 앞에 펼쳐져 있다. 2천 년 역사의 그리스도교 사상이 얼마나 풍부하게 발전해 왔는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해 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