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한국역사의 이해 (독서>책소개)/1.고대.삼국.신라

한국 고대사를 해부한다

동방박사님 2022. 11. 23. 23:18
728x90

책소개

우리나라의 가장 찬란했던 역사 고조선과 고구려.
그 찬란함 속에 들어가 있는 왜곡된 모습을 냉철하게 파헤친다.

선사시대부터 고구려까지의 한국 고대사를 설명한 책. 단군신화와 선사시대 유적, 한민족의 기원과 고조선 문자의 새로운 해석을 정리했다.

목차

권두언

1장 『단군신화』의 새로운 해석
1 유사토템과 동일혈통설 비판
1.동물 유사토템과 혈통 관계
2.토템과 부족의 생활, 건강과의 밀접한 관계
2 토템과 선사시대 인류의 일상생활
1.수목(樹木) 토템
2.돌 숭배와 한국-몽골의 유사토템 비판
3.마늘과 쑥에 대하여

2장 단군은 진정 개국시조인가

3장 선사시대 유적의 새로운 해석
1 빗살무늬토기와 한민족 시베리아 기원설 비판
1.빗살무늬토기의 형성
2.한민족 북방 기원설 비판
3.신석기시대 집락(集落)과 무덤에 대한 분석
2 국가의 형성과 고조선의 실체
1.국가 성립과 권력 형성의 과정
2.비파형 동검의 정체

4장 한민족 기원의 새로운 해석
1 한민족의 기원
1.한민족의 외래 기원설
2.한민족의 본토 기원설
2 혼혈의 용광로에서 사라진 동이와 예맥

5장 고조선 문자의 새로운 해석
1 문자의 역사적 의미
1.문자와 사회
2 가림토(加臨土)문자는 없다

6장 『朝鮮』과 『阿斯達』에 대한 새로운 해석

7장 “대제국 고구려”의 평범한 역사

8장 간도는 한국 땅이 아니다
1.현대판 『한중 역사 전쟁』에 대하여
2.백두산정계비에 대하여
3.간도지방의 함경도, 평안도 행정구역 편입 설에 대하여
4.국내 학계의 간도 영유권 문제 신중론 대두

나가는 말
부록
 

저자 소개

저자 : 장혜영
소설가. 저서로 『붉은 아침』, 「그림자들의 전쟁」, 『한국의 고대사를 해부한다』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왜곡되고 미화된 우리의 고대사를 재조명한다.

진리탐구가 아닌 애국애족의 관점으로 학문에 접근할 때 역사는 이기주의의 제물이 된다. 그러므로 학문 연구의 시발점은 객관적 진리의 장소여야지 목적의 협소한 암도(暗道)를 밀행해서는 안 된다. 헛된 자긍심은 허영과 결탁하여 잠시 추진력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종국적으로는 실패를 부르는 화근이 된다. 실속 있는 파악만이 탄탄한 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그 기틀 위에서 굴욕의 역사로부터 탈피하여 빛나는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 추진력이 될 것이기에 허영으로 굴절된 역사는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작가의 말 中)

자기 나라의 역사에 대한 자긍심은 역사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가지고 있을 법하다. 하지만 이러한 자긍심만으로 역사를 바라본다면 진실은 가려지고 부풀림만 강해져 결국 역사 왜곡이라는 상황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입장에서, 작가는 한국의 고대사를 당시의 문물과 상황에 맞춰 자긍심이라는 것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조명한다.

『한국의 고대사를 해부한다』는 선사시대부터 고구려 시기까지를 다루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자랑스럽게 느끼는 시기들인 만큼 왜곡도 많은 시기에 작가는 날카로운 비판을 드러낸다. 처음 나오는 신화시대라 불리는 단군의 고조선 시대, 이 시기는 역사의 범주가 아닌 신화시대로 불린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당시 대륙까지 뻗쳐있던 고조선이라는 영역을 역사의 범주에 넣으려고 한다. 작가는 이러한 의견에 유물, 환경을 증거로 삼아 반론을 펼친다.

우리의 영역이 대륙까지 퍼져 있었다는 의견에는 같은 동물을 토템으로 삼은 것, 비슷한 거주지, 비슷한 토기 등이 증거로 제시된다. 작가는 이러한 것에 ‘동일’이 아닌 ‘유사’라는 말을 들며 반박한다. 즉, 그들이 섬기는 것, 만드는 것은 동일한 한 가지 것이 아니며 단지 그들이 살아온 환경에 의해 유사하게 만들어진 것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똑같이 한반도에 살았음에도 산 지역인지 바다 지역인지에 따라 무덤의 형식 등에서 차이점을 보이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렇게 따졌을 때 단지 비슷한 유물이 출토되었다는 것만으로 같은 민족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그들이 살아온 방식과 비슷한 유물 외의 차이점들을 보이는 것들도 함께 연구하여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비슷하다는 이유로 자신들의 조상이라 하며 우리의 옛 땅을 넓히려만 하지 말고 철저한 고증을 거쳐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시작한 책은 차례차례로 우리가 그냥 받아들였던 내용들을 비판한다. 족외혼과 민족 이동 등을 말하며 한민족이 단일민족일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단군신화가 만들어진 시기의 상황을 예로 들며 그 허구성을 알린다.
이러한 허구성 가지치기는 고구려로 넘어와서도 계속된다. 우리는 고구려를 너무 미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고조선이 한족의 지배를 받은 현도군에 속해있었다는 것을 부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광개토대왕이 중국을 정벌한 시기가 중국의 혼란기였다는 사실, 그리고 고구려의 중국에 대한 조공이 신라와 백제보다 심했다는 사실 등은 숨기지 말고 인정해 두어야 한다.

역사 왜곡의 문제는 지금도 끊이지 않고 거론되는 화두이다. 특히 우리는 중국, 일본과 국경을 맞대고 있기에 이러한 문제가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다른 나라의 역사 왜곡에 반박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역사 왜곡이 없는지 확실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고 나서야 다른 나라의 왜곡 상황을 확실히 파악하고 그들에게 제대로 된 설명을 해줄 수 있을 것이다. 과거사에는 찬란함만 있는 것이 아니다. 분명 어느 나라든 부끄러운 시기, 알리고 싶지 않은 시기가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도 모두 수용하고 받아들이고 나서야 비로소 역사는 올바른 자리에서 후손들에게 알려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