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7.한일관계총서

중세의 왜구와 한일관계 (2022)

동방박사님 2023. 4. 13. 08:37
728x90

책소개

여말 선초 왜구의 주요 근거지와 주체세력에 대해 독자적인 왜구론을 전개하다

본서의 저자 김보한 선생님은 ‘왜구 연구’에 한평생을 바쳤다. 그를 추모하기 위해 2021년 12월 ‘해양?해역으로 본 한일관계-갈등과 공생의 동아시아’라는 주제로 국내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본서는 주로 왜구의 주체로서 마쓰우라(松浦) 지역에 주목하였다. 13세기 왜구를 적극적으로 부각시키면서 왜구의 시기 구분 및 시기별 명칭에 대한 새로운 구상을 밝혔다. 그에 따라 보통 일본에서 사용되어온 ‘전기 왜구’, ‘후기 왜구’라는 시기 구분 대신 ‘전기 왜구’에 13세기 왜구가 사실상 제외되어있는 점을 비판하였다. 동시에 ‘일본사’를 기준으로 ‘가마쿠라기 왜구’?‘무로마치기 왜구’?‘센고쿠기 왜구’라는 명칭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아직도 남은 일이 많은데 고인의 갑작스러운 타계로 연구가 더 이루어지지 못한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동료 연구자들이 마음을 모아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의 발간을 계기로 후학들이 고인의 연구를 비판적, 발전적으로 계승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우리 학계의 왜구 연구에 조그만 디딤돌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목차

발간사

제1부 중세 일본과 왜구

제1장 중세의 왜구 -학술 성과와 고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왜구의 학술연구사 정리
Ⅲ. 일본과 한국 사료의 인용 문제
Ⅳ. 역사교과서 왜구 서술내용의 비교분석
Ⅴ. 결론

제2장 東아시아 海域의 아웃로(Outlaw) -13·14세기 倭寇 출현의 관점에서-
Ⅰ. 머리말
Ⅱ. 약탈자·교란자·아웃로(Outlaw)의 출현
Ⅲ. 「異國征伐」과 해적금지 효과
Ⅳ. 「觀應擾亂」과 해양활동성의 확대
Ⅴ. 今川了俊의 정치공작과 「해양무사단」의 증가
Ⅵ. 맺음말

제3장 중·근세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경계인식 고찰
Ⅰ. 머리말
Ⅱ. 일본인의 관념적 경계인식의 성립과 그 전개
Ⅲ. 중·근세 일본인의 ‘경계영역’ 활동과 경계인식
Ⅳ. 맺음말

제4장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Ⅰ. 머리말
Ⅱ. 가마쿠라 왜구의 경계침탈과 한·일 외교의 양상
Ⅲ. 무로마치 왜구의 경계침탈과 한·일 외교의 양상
Ⅳ. 맺음말

제2부 왜구의 실체

제1장 고려 말 왜구 근거지의 일고찰 -마쓰우라(松浦)와 마쓰우라토(松浦黨)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마쓰우라군(松浦郡)과 마쓰우라토(松浦黨)의 구성
Ⅲ. 마쓰우라토의 고려 약탈과 왜구의 출현
Ⅳ. 마쓰우라(松浦) 일족의 유동성과 왜구의 근거지
Ⅴ. 시모마쓰우라(下松浦)의 해적 금지와 어장 분배
Ⅵ. 맺음말

제2장 ‘가마쿠라기 왜구’와 ‘무로마치기 왜구’의 성격과 그 주체 연구
Ⅰ. 머리말
Ⅱ. ‘가마쿠라기 왜구’의 성격과 주체 규명
Ⅲ. ‘무로마치기 왜구’의 고려·조선·명 출몰과 주체
Ⅳ. 맺음말

제3장 고려·조선의 금구외교(禁寇外交)와 일본의 대응
Ⅰ. 머리말
Ⅱ. ‘가마쿠라 왜구’의 출현과 금구외교(禁寇外交)
Ⅲ. ‘무로마치 왜구’와 고려의 금구외교
Ⅳ. ‘무로마치 왜구’와 조선의 금구외교
Ⅴ. 맺음말

제4장 고려·조선의 對일본 외교와 왜구 -13~15세기 금구(禁寇)외교와 그 성과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가마쿠라기 왜구’의 고려 출현과 왜구 금지(禁寇) 외교의 출발
Ⅲ. 고려 말 ‘무로마치기 왜구’의 창궐과 왜구 금지 외교
Ⅳ. 조선 초 ‘무로마치기 왜구’와 강·온의 대일 외교
Ⅴ. 맺음말

제3부 중세 일본의 왜인들

제1장 고려와 조선 전기 왜인 집단거주지의 형성과 운영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 투화인의 집단거주지와 그 정책
Ⅲ. 조선 전기 투화왜인과 삼포
Ⅳ. 맺음말

제2장 중세 일본 표류민·피로인의 발생과 거류의 흔적
Ⅰ. 머리말
Ⅱ. 송 상인의 집단거주지와 일본 상선의 고려 진출
Ⅲ. 진봉과 고려 표류민의 송환 의도
Ⅳ. 왜구의 활동과 피로인 송환의 경제적 가치
Ⅴ. 맺음말

제3장 몽골의 고려·일본 침공과 해안성곽의 성격에 대한 고찰
Ⅰ. 머리말
Ⅱ. 몽골의 일본 초유사신 파견과 고려의 개경환도
Ⅲ. 삼별초의 진도항쟁과 ‘환해장성’의 축조
Ⅳ. ‘고려첩장불심조조’와 여몽연합군의 일본 침공
Ⅴ. ‘원구방루’의 축조와 여몽연합군의 일본 재침공
Ⅵ. 맺음말

제4장 海洋文化와 倭寇의 소멸 -五島列島 공동어업권과 관련해서-
Ⅰ. 머리말
Ⅱ. 「契約」과 해양경계의 설정
Ⅲ. 어업권과 「중재재판」의 규정
Ⅳ. 공동어업권의 창출과 倭寇의 소멸
Ⅴ. 結論

찾아보기
편집후기
 

저자 소개

저 : 김보한
 
1960년 7월 1일 出生 1986년 2월 단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1989년 8월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1999년 2월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1995년 3월 단국대학교 역사학과 강사 1996년 5월 교토대학교 문학부 연구원 2001년 1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연구원 2004년 3월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 연구교수 2008년 3월 단국대학교 인재개발연구원 조교수 2012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