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동양철학의 이해 (독서>책소개)/7.동양철학이해

제자백가 諸子百家 (2009)

동방박사님 2023. 9. 18. 07:41
728x90

책소개

백가쟁명의 사상가·고전들, 한학자 김영수 교수의 명역

제자백가(諸子百家)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활약한 수많은 학파와 사상가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사상과 학문을 자유롭게 펼치며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세계를 살았는데, 그중 유가·묵가·명가·도가·법가·음양가의 사상이 대표적이다.

이 책은 한학자 김영수 선생이 제자백가 가운데 주요 세력을 차지한 유가·묵가·도가·법가·음양가·병가 등의 대표저작·중국고전 28책을 주제에 따라 간추려 번역, 해설한 책이다. 여기서는 논어, 맹자, 순자, 노자, 장자, 묵자, 열자, 한비자, 손자, 오자, 관자 등과, 그밖에 제자백가의 활약상을 담은 전국책, 여씨춘추, 회남자, 사기, 좌전 등 많은 고전을 다루고 있다

목차

제자백가란 무엇인가

제자백가와 동양사상

서장 새로 출토된 문헌과 제자백가
1 부활하는 고대문헌 / 2 제자백가의 시대

제1장 제자백가 이전의 역사-새로 출토된 문헌이 이야기하는 것
1 왕에 대한 훈계 / 2 태자의 지성 / 3 합장의 소원을 들어준 왕

제2장 군자란 어떤 사람인가-공자의 사상
1 화전으로 보는 공자의 생애 / 2 공자의 탄식
3 군자와 공자 / 4 공자의 사상

제3장 인간에 대한 신뢰-맹자의 사상
1 맹자의 생애와 《맹자》의 편찬
2 맹자의 사상 / 3 맹자의 재평가

제4장 특이한 사랑의 모습-묵가의 사상
1 겸애의 사상
2 비공과 의병 / 3 충신과 간쟁

제5장 세계의 진실을 구하여-도가의 사상
1 《노자》의 사상과 새로운 문헌의 발견
2 호접지몽과 《장자》의 사상 / 3 ‘도’의 탐구

제6장 정치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법가의 사상
1 ‘모순’과 ‘수주’
2 한비자의 사상 / 3 법치의 한계

제7장 싸우지 않고 이긴다-손자의 사상
1 손무와 《손자》
2 《손자》 13편의 사상 / 3 손자병법의 전개

제자백가와 중국고전

좌전
《좌전(左傳)》에 대해서 / 《좌전》의 말 / 《좌전》의 재미 / 진(晉) 문공(文公)의 조직강화법 / 서융(西戎)의 패자, 진(秦)나라의 목공(穆公) / 자기 무덤을 판 ‘송양(宋襄)의 인’ / ‘오월(吳越)의 싸움’에서 배우다 / 안영(晏 / )의 외교 교섭

전국책
전국책에 대해서 / 《전국책》의 말 / 응대사령(應對辭令)의 보고 / 의표를 찌르는 설득법 / 만만치 않은 술수 / 인간 관계의 기미(機微) / 부하의 전의를 고양시키는 방법 / 우선 외(未)부터 시작하라

사기
《사기》에 대해서 / 《사기》의 말 / 간부는 역사책을 / 배짱이 두둑했던 초(楚)나라의 장왕(莊王) / 오기(吳起)의 부하 통솔법 / 강(剛)과 유(柔)의 조직 관리 / 협객의 인심 수람술(人心收攬術) / 범려(范孼)의 명철보신(明哲保身)

삼국지
《삼국지》에 대해서 / 《삼국지》의 재미 / 난세의 간웅(奸雄) 조조 / 덕이 있는 사람, 유비 / 생존에 성공한 손권(孫權) / 건전 경영에 철저했던 공명 / 솔선수범의 명재상 / 사마중달의 실력

십팔사략
《십팔사략(十八史略)》에 대해서 / 《십팔사략》의 말 / 훌륭한 보좌역의 정치 자세 /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의 대결 / 한신과 소하의 활약 / 명군사(名軍師) 장량 / 재상은 사소한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 / 리더가 자멸하는 구도

손자
《손자(孫子)》에 대해서 / 《손자》의 말 / 승산이 없으면 싸우지 않는다 / 싸우지 않고 승리한다 / 병력의 형태는 물을 본뜬다 / 곡선 사고(曲線思考)의 권유 / 지(智), 용(勇), 신(信) / 엄(嚴)과 인(仁)의 조절

오자
《오자(吳字)》에 대해서 / 《오자》의 말 / 병법가 오기 / 우선 조직을 다져라 / 조직 관리의 핵심 / 신상필벌(信賞必罰)과 온정주의 / 유연한 전략 전술 / 장수를 말하다

육도 / 삼략
《육도(六韜) / 삼략(三略)》에 대해서 / 《육도 / 삼략》의 말 / 태공망과 연관이 있는 병법서 / 정치의 요체란 / 인재 등용의 안목 / 중국식 병법의 비법 / ‘싸우지 않고 이기는’ 법 / 장수가 된 자의 조건

제갈량집
《제갈량집》에 대해서 / 《제갈량집》의 말 / 《삼국지》의 주역 / 통솔력의 비밀 / 공명의 지도자론 / 조직 활성화의 지혜 / 부하의 지도와 인물 감정 / 평범함으로 일관한 비범

삼십육계
《삼십육계》에 대하여 / 《삼십육계》의 말 / 제1부 승전의 계 / 제2부 적전(敵前)의 계 / 제3부 공전(攻戰)의 계 / 제4부 혼전(混戰)의 계 / 제5부 병전(倂戰)의 계 / 제6부 패전(敗戰)의 계

논어
《논어》에 대해서 / 《논어》의 말 / 언필신(言必信), 행필과(行必果) / 인생의 고행인, 공자 / 긍정적이고 꿋꿋한 삶의 방식 / 인간 관계의 요체 / 이상적인 인간상 / ‘군자’의 조건

맹자
《맹자(孟子)》에 대해서 / 《맹자》의 말 / 전투적인 이상주의자 / 인간에 대한 깊은 신뢰 / ‘이를 바로 대장부라고 한다’ / 부동심의 경지 / 유연한 처세 태도 / 박력이 풍부한 설득술

순자
《순자》에 대해서 / 《순자》의 말 / 순자와 ‘성악설’ / 자신을 단련한다 / 균형이 잡힌 조직 관리 / 조직 속의 인간학 / 왕이 된 자의 병법이란 / 잘못이 없는 판단을 내린다

근사록
《근사록(近思錄)》에 대해서 / 《근사록》의 말 / 인간 형성의 지침으로서 / 배우지 않으면 노쇠한다 / 일상의 수양에 대해서 / 위에 선 자의 마음가짐 / 약함을 자각한다 / 실의에 빠졌을 때에도 태연하게

전습록
《전습록(傳習錄)》에 대해서 / 《전습록》의 말 / 양명학과 《전습록》 / ‘지행합일(知行合一)’에 대해서 / 인간 형성의 네 가지 지침 / ‘성찰극치(省察克治)’의 수양법 / 사상연마(事上鍊磨)의 마음가짐 / 왕양명의 인물 됨됨이와 명언

노자
《노자(老子)》에 대해서 / 《노자》의 말 / 끈질긴 처세의 지혜 / 재능을 과시하지 마라 / 만족함을 아는 마음 / 얻으려고 한다면 우선 주라 / 노자식 조직 관리의 요체 / 지도자의 4등급

장자
《장자》에 대해서 / 《장자》의 말 / 발상의 전환을 촉구 / 인간의 그릇을 크게 한다 / 무용(無用)한 것에서 필요한 것을 발견하라 / 잊는 것의 효용 / 이상적인 지도자는 목계(木鷄)와 같다 / 명리(名利)에 사로잡히지 않는 삶의 방식

관자
《관자(管子)》에 대해서 / 《관자》의 말 / 관포지교(管鮑之交) / 현실에 바탕을 둔 이상 / 위정자의 마음가짐 / 천하를 얻으려면 우선 사람을 얻는다 / 신의를 존중한 외교 / 관중의 병법론

한비자
《한비자(韓非子)》에 대해서 / 《한비자》의 말 / 인간 불신의 지도 철학 / 말없이 위압한다 / 술(術)에 의한 부하의 통솔법 / 리더가 자멸하는 원인 / 남의 힘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 건의는 비위에 거슬리지 않게

안씨가훈
《안씨가훈(顔氏家訓)》에 대해서 / 《안씨가훈의 말》 / 난세에 살아남는 예지 / 가정에서의 예의범절 / 학문의 권유 / 극단을 혐오한다 / 사회인으로서의 소양 / ‘양생(養生)’을 역설한다

정관정요
《정관정요(貞觀政要)》에 대해서 / 《정관정요》의 말 / 지키는 시대의 제왕학 / 부하의 간언(諫言)에 귀를 / 우선 내 몸을 바로잡는다 / 최초의 긴장감을 지속시킨다 / 자기통제로 일관한다 / 태도는 겸허, 언어는 신중

송명신언행록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대해서 / 《송명신언행록》의 말 / 송대의 사풍(士風) / ‘선우후락(先憂後樂)’의 마음가짐 / 능력인가 인격인가 / 타인과의 주도면밀한 배려 / 관맹(寬猛), 중(中)을 얻는 데 있다 / ‘관(寬)과 엄(嚴)’의 조화

위정삼부서
《위정삼부서(爲政三部書)》에 대해서 / 《위정삼부서》의 말 / 절의(節義)에 산 장양호 / 자신에게 엄격하라 /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인재의 등용을 도모하라 / 자기를 살리고 남을 살린다 / 물러날 때의 깨끗함

채근담
《채근담(菜根譚)》에 대해서 / 《채근담》의 말 / 《채근담》은 인생의 지침서 /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지혜 / 타인에게 관용하라 / 균형 감각을 기르자 / 역경에 견디는 마음가짐 / 일상적으로 끊임없는 수양

여씨춘추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대해서 / 잃어버린 활 / 낳기보다 기르기 / 맹호는 아직 살아 있다 / 바보 임금의 넋두리 / 당하고도 모르는 바보 / 탕왕(湯王)의 그물 / 자신 살을 뻬어먹는 용기 / 법률 때문에 / 그리워하는 마음 / 적국(敵國)의 기근 / 모르면 강해진다 / 설득 수법 / 과분한 욕망 / 가장 나쁜 옷 / 편법으로 노래하다 / 이중 공격 / 난세단계(亂世段階) / 말 없는 대답 / 정세의 변화 / 각주구검(刻舟求劍) / 보는 눈의 원근(遠近) / 사람을 보는 눈 / 여자들 싸움이 나라 싸움으로 / 차별의 원한 / 의견을 듣는 법 / 작은 지혜 / 사람은 알기 어렵다 / 믿는 방법이 다르다 / 자기 위주 /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다 / 말이 없는 말 / 태도로 안다 / 피차일반 / 엉터리 이유 / 제 무덤을 파다 / 지나친 비유 / 분수를 모른다 / 주제넘은 소리 / 언행 불일치 / 반전론(反戰論) / 몸이 첫째 / 허물을 가리다 / 책임감 / 충과 효 / 신(信)은 나라의 보배 / 국사(國士)의 의기(義氣) / 인덕(仁德)의 재상 / 현사(賢士)는 임금의 거울 / 수치(羞恥)는 덮지 않는다 / 말 없는 부탁 / 인간의 심리 / 여구(黎丘)의 괴상한 귀신 / 상 받는 거짓말 / 바보가 따로 없다 / 논공(論功)의 비결 / 종(鐘) 도둑 / 직언(直言)의 신하 / 죽은 사람을 살리는 약 / 오늘이 뭐가 추운가

열자
《열자(列子)》에 대해서 / 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 태어남과 죽음 / 기우(杞憂) / 도둑질의 차이 / 도술이 따로 없다 / 갈매기의 교훈 / 속세의 고락(苦樂) / 꿈과 현실 / 건망증의 고마움 / 틀리지 않은 사람은 없다 / 슬픔은 뿌리 없는 풀 / 우공이산(愚公移山) / 태양문답(太陽問答) / 마음을 바꿔 넣은 이야기 / 궁술의 극치 / 말 모는 비결 / 인력과 천명 / 병도 운명이다 / 죽음은 슬프지 않다 / 동문오가 슬프지 않은 이유 / 쾌락주의를 충고했으나 / 생사(生死)는 그것대로 맡겨야 / 둔인(遁人)과 순민(順民) / 남의 뒤가 되어라 / 앞을 내다보다 / 때가 결정한다 / 앞보다 뒤를 보라 / 도둑을 없애는 법 / 흰 송아지 / 두 광대 / 도둑의 밥 / 원한의 자살행위 / 갈림길과 양(羊) / 옷이 달라지면 / 죽지 않는 재주 / 동심천심(童心天心)

묵자
《묵자(墨子)》에 대해서 / 겸애(兼愛)와 별애(別愛) / 꾸짖는 보람 / 미치광이가 소중하다 / 도벽 / 정의(正義)는 귀하다 / 한 사람뿐이라서 / 유세(遊說)의 필요 / 책임 소재 / 큰 것은 모른다 / 식인국(食人國) / 마음가짐과 그 행동 / 살인과 도벽 / 공자(孔子)는 위선자

회남자
《회남자(淮南子)》에 대해서 / 이겼기 때문에 걱정한다 / 큰 목소리도 재능의 하나 / 사람은 쓰기에 달렸다 / 새옹지마(塞翁之馬) / 결사의 각오 / 교묘한 간언

제자백가 연보
 

저자 소개

역자 : 김영수
와세다대학교 정경학부를 수학,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홍익대학교·충남대학교 교수를 지내고, 동서문화고전번역편찬위원을 역임했다. 지은책에 『소설 사서오경』, 『이야기 논어』 등과, 옮긴책에 사마천 『사기열전』, 한비 『한비자』, 정약용 『실학총서』, 박지원 『열하일기』, 『명심보감』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제자백가와 중국사상 황금기
중국사상에는 신비한 힘이 있다. 어느 때는 사람을 가르쳐 인도하고 어느 때는 사람을 격려해 위로한다. 고전이 수천 년에 걸쳐 이미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을 가르쳐 인도하였고 때로는 격려하고 위로했다는 사실이,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미 우리들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제자백가(諸子百家)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활약한 수많은 학파와 사상가들이다. 그들은 자신의 사상과 학문을 자유롭게 펼치며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세계를 살았는데, 그중 유가·묵가·명가·도가·법가·음양가의 사상이 대표적이다.
유가(儒家)는 공자를 시조로 맹자·순자로 이어진다. 유가는 전통적 예(禮)에 따라 인간질서와 도덕을 중시하고, 이것을 실천할 수 있는 인격(덕)의 수련을 목표로 한다. 그 실천덕목으로 인·의·예·지·신을 강조하며 그 성과를 정치의 장으로 확대시킨다. 훌륭한 인격형성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덕치주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라 하여, 유가사상의 기본이 된다.
묵가(墨家)는 묵자로 대표되며, 유가처럼 인·의를 주장하면서도 유가를 비판하고 겸애교리(兼愛交利)·절용(節用)·비전론(非戰論) 등 공리주의를 주장한다. 명가(名家)는 혜시·공손룡으로 대표되며 인간인식과 언어논리를 분석 연구한다. 노자·장자로 대표되는 도가(道家)사상은 ‘무’의 성격을 지닌 ‘도’를 만물근원으로 내세우고, 무위자연을 주장하며 세속 가치관에 얽매임없이 여러 집착에서 벗어나 절대경지에 이르는 길이 자기완성의 삶이라 했다.
법가(法家)는 상앙과 한비자로 대표되며 유가에서 중시하는 ‘예’를 시대에 뒤떨어짐이라 부정한다. 시대변화에 맞는 법을 제정해 귀족·평민을 막론하여 법을 엄수, 백성을 농업생산과 전쟁에 힘쓰도록 해 부국강병을 꾀하고 군주권을 강화했다. 음양가(陰陽家)는 추연으로 대표되며, 자연철학과 역사철학을 내세운 사상으로 음양오행 원리로 자연계·인간계를 망라해 사물이 성립·변화하는 현상을 설명한다.
제자백가시대는 중국사상의 황금기로 동양사상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 우리는 그들의 활동을 통해 정치·사회사상뿐만 아니라 지리·농업·과학·문학 등 여러 방면에서 인생 예지를 배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