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한일관계사 연구 (전공분야>책소개)/4.한일관계역사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와 한일관계

동방박사님 2021. 12. 4. 08:31
728x90

책소개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한일관계』은 문제관심의 중심을 한ㆍ일 외교상의 '적례', '교린', '일본국왕'의 인식 규명, 그리고 조선의 대마도에 대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책이다. 때문에 이 책은 그 구성상 시대적 연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제1부「조선전기 한ㆍ일관계와 명」은 주로 15세기를 중심으로 하고, 제2부「임진왜란 이후의 조선ㆍ막부ㆍ대마도 관계」는 17세기 전반을, 제3부「아라이 하쿠세키와 한ㆍ일관계」는 18세기 초기를 각각 다루고 있다.

목차

번역 증보판에 부쳐
序 論

제1부 朝鮮前期 朝·日관계와 明

제1장 조선전기 ‘교린’으로 보는 대외관계
머리말
제1절 조선전기 ‘교린’ 용례의 검토
제2절 ‘교린’의 사상적 배경
제3절 일본 학계의 ‘교린’ 견해에 대한 검토
맺음말- 동아시아史上의 ‘교린’

제2장 조선 전기의 ‘일본국왕’ 인식
-‘적례’를 중심으로
머리말
제1절 ‘국왕간 외교설’에 대한 검토
제2절 ‘일본국왕사’ 접대에 나타난 조선의 ‘일본국왕’관
제3절 조선의 對막부 사절파견에 보이는 ‘일본국왕’관
제4절 막부에의 禮的 외교 전개의 배경
맺음말?明朝의 입장에서 보는 ‘조선국왕’과 ‘일본국왕’

제3장 明代 초기 일본정벌론과 조선의 대응
머리말
제1절 여말선초의 사료에 보이는 明의 일본정벌론
제2절 明의 일본정벌론에 대한 조선의 인식
제3절 明의 일본정벌론에 대한 조선의 대응
제4절 明에 입장에서의 일본정벌론
맺음말

제2부 임진왜란 이후의 조선·막부·대마도 관계

제4장 임진왜란 직후 朝·日 講和교섭과 대마도
-‘許和’를 중심으로
머리말
제1절 朝·日 강화교섭의 개시
제2절 明軍의 조선 철수 전후의 朝·明관계
제3절 조선의 대마도에 대한 기미정책의 성립
제4절 전계신의 대마도 파견과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서한
제5절 사명당의 대마도 파견과 ‘허화’부여
맺음말

제5장 임진왜란 이후 朝·日 講和교섭과 대마도
-‘二件’을 중심으로
머리말
제1절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사명당 접견
제2절 조선의 ‘差官’ 파견 계획
제3절 조선의 강화조건 ‘二件’의 의미
제4절 일본의 ‘二件’ 이행의 진위
제5절 강화를 둘러싼 조선의 제반 동향
맺음말

제6장 17세기 중반의 조선·막부·대마도 관계
머리말
제1절 기유약조와 조선·대마도 관계
제2절 ‘야나가와 잇켄’ 판결의 의미
제3절 大君 칭호 설정의 의미
맺음말-‘通商之國’과 ‘海禁’

제3부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와 朝·日관계

제7장 아라이 하쿠세키의 ‘일본국왕’ 復號論의 의도
머리말
제1절 ‘일본국왕’ 복호론의 검토
제2절 硏究史의 여러 동향
제3절 하쿠세키의 복호론 의도
제4절 18세기 쇼군의 ‘국왕’화 조류
맺음말

제8장 아라이 하쿠세키의 조선과의 聘禮 개혁의 의도
머리말
제1절 아라이 하쿠세키의 對조선 빙례개혁
제2절 조선 측의 대응
제3절 國諱 논쟁의 원인
제4절 易地聘禮의 제기
맺음말 - 동아시아 전통왕조를 지향한 하쿠세키

후 기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 : 민덕기 (閔德基,)